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88997429103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2-10-30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_ 우리의 문화이고 역사이고 정신인 특산물 이야기
제1부 _ 장인의 숨결로 완성된 한국의 전통공예
전남 담양 죽산물 | 충남 서천 한산 모시 | 경북 안동 하회탈 | 전북 전주 합죽선과 태극선 | 전북 남원 목기 | 경기 안성 유기 | 충남 보령 남포벼루 | 광주 진다리붓 | 경기 구리 북 | 경기 강화 화문석 | 강원 원주 나전칠기 | 경기 이천 도자기 | 전북 장수 석기 | 강원 춘천 옥 | 전북 익산 보석 | 경북 청송 꽃돌
제2부 _ 생활 속에 함께 발효된 한국의 맛
경기 포천 이동막걸리 | 경기도 전통주 | 전남 진도 홍주 | 경남 남해 유자주 | 전북 전주 이강주 | 전남 창평 쌀엿 | 경남 합천 한과 | 경북 경주 황남빵 | 충남 서산 간월도 어리굴젓 | 충남 논산 강경젓갈 | 충남 광천 새우젓 | 충남 태안 까나리젓 | 전남 순창 고추장 | 전남 여수 돌산 갓김치 | 전남 구례 토종꿀 | 전북 부안 죽염 | 강원 강릉 초당두부 | 전남 영광 굴비 | 강원 진부령 황태 | 충남 논산 연산 오골계
제3부 _ 땅이 기르고 바다가 선물한 한국의 지방 특산물
충남 금산 인삼 | 충북 단양 마늘 | 경북 영양 고추 | 전남 무안 양파 | 강원 양양 송이버섯 | 경남 하동 녹차 | 충남 청양 구기자 | 경기 연천 율무 | 강원 정선 옥수수 | 강원 평창 메밀 | 강원 인제 치커리 | 경북 상주 곶감 | 경북 청도 반시 | 전남 광양 매실 | 광주 무등산수박 | 대구 사과 | 전남 나주 배 | 충남 성환 개구리참외 | 전남 해남 참다래 | 충남 논산 딸기 | 충남 천안 입장 거봉 | 경북 영덕 대게 | 전남 완도 김 | 강원 양양 연어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산은 몰라도 한산 모시는 모를 수 없는 세모시의 고향. 매월 끝자리 1일과 6일에 서는 한산 모시장은 새벽 4시부터 6시까지 열리는 반짝시장이다. 서천군 일대 아낙들이 닷새간 짠 모시 한 필씩을 품에 안고 나와 도매상이나 거간들에게 넘기는 거래처다. 길게 늘어선 나무 벤치 위에서 알전구는 부신 빛을 발하고, 돈주머니를 찬 도매상들의 눈빛은 안경 너머로 광채를 발한다.
25쪽, <충남 서산 한산 모시>
7월 백중을 전후해 경남 진주와 하동, 전남 구례 등지에서 한죽을 베면서부터 시작되는 합죽선 만들기는 대를 말리고, 길이로 끊어 진을 빼고, 3일 정도 양잿물에 삶아 표백한 후 열흘 이상 쨍쨍한 햇볕에 말려 껍질을 뜨는 것에서부터 무려 100여 차례의 손길이 간다. 한 개를 만들거나 열 개를 만들거나 시간 걸리기는 매한가지다. 비라도 오면 제작기간이 한없이 길어진다. 그렇다고 어느 한 과정 빼먹을 수도 없어서 1년이면 2000~2500개밖에 만들지 못한다.
41쪽, <전북 전주 합죽선과 태극선>
남도의 풍류를 대표하는 고장 광주에는 옛법에 따라 북을 매고 금속에 조각을 넣으며 화살통과 화살을 만드는 장인들이 많이 살았다. …… 나라 안의 이름난 서화가들이 ‘최고의 붓’이라고 그 질을 인정하며 즐겨 사용해온 진다리붓 역시 이곳 광주에서 만들어졌다. ‘진다리’란 이름에는 이 나라 붓공예의 역사와 필장들의 지난했던 과거사가 숨어 있다.
69쪽, <광주 진다리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