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 태정관과 독도

일본 태정관과 독도

이성환 (지은이)
지성인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350원 -5% 0원
950원
3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 태정관과 독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 태정관과 독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정학
· ISBN : 9788997631674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6-06-30

목차

책머리에 -한·일 영유권 문제의 기원과 전개
일러두기

1부 한·일 영유권 문제의 기원: ‘죽도 외 일도’ (竹島外一島, 〔울릉도와 독도〕)관련 태정관지령 전사(前史)
1장 울릉도쟁계(죽도일건)
* 서언(序言)
1. 조선인의 죽도(울릉도) 도해를 금지하라
2. 죽도냐 울릉도냐: 조선과 일본의 외교교섭
3. 막부와 쓰시마 번의 대립
4. 막부의 죽도(울릉도) 도해 금지령
5. 도해금지령 이후의 조선과 쓰시마의 알력
6. 울릉도쟁계(죽도일건) 연표
2장 관련 문서
1. 조선과 쓰시마의 왕복 서간
2. 막부와 돗토리 번의 문답

2부 ‘죽도 외 일도’(竹島外一島, 울릉도와 독도) 관련‘태정관지령’
1장 태정관과 태정관지령
1. 태정관-국가최고통치기관
2. 태정관지령의 의미와 효력
3. ‘죽도 외 일도’ 관련 태정관지령
2장 ‘태정관지령’ 관련 문서에 대하여
1. 문서의 전체 구성
2. ‘죽도 외 일도’(竹島外一島) 관련 ‘태정관지령’에 관한 문서철
3. 내용 전개와 문서의 배열
4. ‘죽도 외 일도’ 관련 ‘태정관지령’의 결정 과정
3장 ‘죽도 외 일도’ (竹島外一島, 울릉도와 독도) 관련 태정관 문서
1. 태정관 본국 문서
2. 시마네 현 문서
3. 내무성 문서

3부 관련 참고 문서
1. 『태정류전(太政類典)』 3
2. 『공문록(公文綠)』

색인
참고문헌
에필로그

저자소개

이성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인문국제학대학 교수 및 국경연구소 소장, SSK(Social Science Korea)사업단장 등을 역임하고 명예교수로 있다. 2023년부터 중국 광저우이공대학(广州理工学院)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독도문제의 재구성-시마네 현 고시는 무효

이성환(계명대학교 교수)

1876년 메이지 정부는 지적(地籍) 편찬 사업을 위해 시마네 현에 울릉도에 대한 조사를 지시한다. 이에 대해 시마네 현은 1696년 막부가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의 영유로 인정한 결정(울릉도쟁계, 죽도일건)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하면서 독도와 울릉도를 일본의 지적에 편제할 것을 요청한다. 울릉도쟁계는 1693년 안용복의 도일사건을 계기로 울릉도와 독도 영유를 둘러싸고 치열하게 전개된 한일 간의 외교논쟁을 가리키며, 막부는 울릉도와 독도의 조선 영유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내무성은 시마네 현의 요청은 지적 편찬이 아니라 영토 문제라 판단하고, 울릉도쟁계 관련 기록을 검토하여 1696년의 막부 결정은 정당하며 독도와 울릉도는 일본의 영토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린다. 내무성의 결론은 1696년 막부가 인정한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조선의 영유권을 재확인하고 메이지 정부도 이를 계승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내무성은 이를 태정관에 상신하고, 태정관은 최종적으로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 땅이 아니다”는 취지의 결정을 내린다. 이것이 1877년 3월의 독도 영유권에 관련한 ‘태정관지령(太政官指令)’이다. 이 지령을 통해 일본정부는 17세기 말 이래 확립되어 온 독도의 조선 영유를 다시 확인한 것이다.
태정관의 결정이 내무성과 시마네 현에 대한 ‘지령’이라는 형태를 띠고 있지만, 영토(주권적) 문제이기 때문에 그 효력은 일본 전체에 미치는 것이었다. 당시 일본의 권력구조를 규정한 정체서(政體書)에는 “천하의 권력은 태정관에 귀결”된다고 명시되어 있다. 삼권분립이 명확하지 않았던 당시에는 태정관이 국가최고통치기관으로서 입법, 행정, 사법을 총괄하고 있었고, 태정관지령에 의해 법원의 판결이 무효화되기도 했다. 태정관이 영토(주권적) 문제에 대해 내린 이 지령은, 오늘날에 있어서는 헌법과 같은 의미를 가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토의 범위 등은 주권적 사항이기 때문에 일반 법률이 아니고 헌법에 명시된다. 오늘 날 대부분의 국가는 헌법에 영토 조항을 담고 있다.
그리고 1899년에 발포된 메이지헌법 제76조 “명칭에 관계없이 이 헌법에 모순되지 않는 현행의 법령은 모두 준유(遵由, 지키고 따르다)의 효력을 가진다.”는 규정에 의해 이 태정관지령은 그 후 계속 효력을 유지한다. 나아가 현재의 일본 헌법에는 영토에 관한 조항이 없기 때문에 ‘태정관지령’과 모순을 야기하지 않으므로 울릉도와 독도의 조선 귀속을 확정한 1877년의 ‘태정관지령’은 현재도 유효하다. 태정관지령은 역사가 아니라 지금도 살아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헌법적 가치를 지닌 ‘태정관지령’을 무시하고 일본이 1905년 2월 시마네 현 고시를 통해 독도를 편입한 것이 법리적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된다. 극단적으로 이야기하면, 일본 정부가 태정관지령의 변경을 명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취한 시마네 현 고시는 상위 법령(태정관지령)을 위반한 무효의 행위로 볼 수 있다. 이것은 1696년 이래 200년 이상 계승해온 독도 영유권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자기부정이다. 시마네 현 고시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기장 근본적인 증거이다. 시마네 현의 고시가 무효라면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은 전적으로 근거를 상실한다. 이러한 의문이 성립하면 한일 간의 지루한 독도논쟁은 해결의 기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며, 독도문제는 역사적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주장은 얼마 전 경상북도의 독도정책관의 지원을 받아 태정관과 태정관지령의 분석 작업을 1차적으로 마무리하면서 얻은 결론이다. 아직은 거칠게 문제제기를 하는 단계이며 보다 정치한 이론화 작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독도연구는 일본의 주장을 반박하거나 지엽적인 문제에 대한 사실 확인과 해석 등을 중심으로 논쟁이 진행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독도문제 연구는 파편화되고 왜소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독도문제는 울릉도쟁계-태정관지령-시마네 현 고시를 축으로 하여 근세 이후 한일 간의 국경문제라는 관점에서 일관성있게 재구성되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