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97631704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6-11-30
목차
들어가며
藍溪 表沿沫
◆ 남계의 의식 정립 배경
1) 남계의 출생과 交遊
2) 남계의 학문과 자질
3) 咸陽에서의 꿈과 희망
◆ 문학에 나타난 지향의식
1) 存德性과 道問學의 도학정신
2) 春秋史觀을 바탕 한 正名精神
3) 王道政治와 道德的理想主義 추구
◆ 맺음말
一? 鄭汝昌
◆ 형식을 통해 본 一? 시의 특성
◆ 시의 要素와 一? 시의 의미
1) 音樂的 요소와 그 의미
2) 繪畵的 요소와 그 의미
3) 시의 雰圍氣와 그 의미
4) 시의 意味와 그 志向意識
◆ 맺음말
寒齋 李穆
◆ 한재 시의 형식과 내용적 특성
1) 疊字를 통한 시의 리듬성
2) 賦體를 통한 描寫의 寫實性
3) 밝은 이미지와 깊은 意味
4) 詩體의 多樣性과 浪漫的 情調
◆ 寒齋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
1) 도덕적 理想世界와 王道政治
2) 天下一家의 大同世界를 지향
3) 젊음의 용기와 正名意識
4) 광대한 局量의 豪傑之士
◆ 맺음말
后溪 金範
◆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1) 修養을 통한 선비정신
2) 교육을 통한 道學實踐
3) 和平을 통한 修德立言
4) 有形과 無形의 存在論
◆ 맺음말
西臺 金?
◆ 西臺 문학의 생성 배경
◆ 선비의 멋과 風流精神
◆ 存心養性의 義理精神
◆ 閒雅와 古拙의 미학
◆ 맺음말
石川 金覺
◆ 忠孝를 통한 義理精神
◆ 浩然之氣의 道學精神
◆ 獨樂을 통한 與人同樂
◆ 物我一體의 人文精神
◆ 맺음말
愚谷 宋亮
◆ 愚谷의 학문과 交遊
◆ 문학에 나타난 志向意識
1) 心統性情論을 바탕 한 心學
2) 禮治를 통한 道德的 理想主義
3) 天人合一의 人文精神 繼承
◆ 맺음말
松巖 李魯
◆ 松巖 문학의 생성 배경
◆ 松巖 문학의 형식과 의미
1) 형식을 통하여 본 松巖 문학의 의미
2) 詩의 의미와 松巖의 志向意識
② 憂患意識을 통한 肯定的 世界의 志向
③ 어두움을 벗어난 文明世界로의 志向
④ 과거의 역사를 통한 春秋大義를 志向
◆ 맺음말
泰村 高尙顔
◆ 實事求是와 憂患意識
◆ 人物의 褒貶과 正名意識
◆ 安分自足과 樂道存心
◆ 맺음말
葛峯 金得硏
◆ 갈봉이 남긴 작품 수와 형식
1) 詩(賦 포함)
2) 散文과 국문작품
◆ 갈봉의 삶과 문학의 상관성
1) 안빈낙도와 선비정신의 함양
2) 物我一體의 지향과 歸巢意志
3) 憂患意識과 救國의 實踐意志
◆ 處士로서의 삶과 ?淡蕭散의 미학
◆ 맺음말
葛峯 金得硏의 「元朝」 詩
◆ 元朝 詩의 史的 展開
◆ ‘元朝’시의 형식적 특성
◆ ‘元朝’시의 내용과 의미
◆ ‘元朝’시의 文學史的 意義
◆ 맺음말
葛峯 金得硏의 「止水亭」詩와 「止水亭歌」
◆ 「止水亭」詩와 歌의 生成背景
◆ 「止水亭」詩와 「止水亭八景」시
1) 「止水亭」에서 止水의 의미
2) 「止水亭」 시와 自我
3) 「止水亭八景」시와 自我
◆ 「止水亭歌」의 구성과 특징
◆ 맺음말
?齋 曺友仁의 「卽事」詩
◆ 「卽事」 시의 외형적 특징
◆ 古拙 沈潛을 지향하는 學問觀
◆ 仁慈 謙遜의 人格觀
◆ 志操와 節介의 出處觀
◆ 맺음말
紫巖 李民?
◆ 자암 시의 外形的 特質
◆ 唐詩風을 주로 한 어두운 情緖 표출
◆ 融會貫通을 통한 至道 追求
◆ 죽은 사람에 대한 哀悼와 情理
◆ 맺음말
臺巖 崔東
◆ 대암(臺巖)의 학문 연원과 교유인물
◆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1) 孝와 友愛를 통한 人間本分 중시
2) 精誠과 謙遜을 바탕 한 생활 철학
3) 爲己之學을 통한 安分과 不羈
4) 자연 질서에 順應과 民衆意識 表出
◆ 맺음말
無?齋 鄭道應
◆ 無?齋가 남긴 작품 수와 형식
◆ 無?齋의 삶과 문학의 상관성
1) 擬古詩와 復古精神 志向
2) 憂患意識과 救國의 의지
3) 合理性과 普遍主義 志向
4) 선비정신과 ?澹의 미학
◆ 맺음말
朱子 「觀書有感」 詩의 韓國的 受容
◆ 「觀書有感」에 대한 諸家의 解說
◆ 「觀書有感」의 受容 樣相
1) 題目 자체만을 수용한 경우
2) 和·次韻을 통한 形式과 內容의 수용
3) 用事를 통한 語彙의 수용
◆ 맺음말
참고문헌
색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