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문문법 기본상식64

한문문법 기본상식64

이종호 (지은이)
지성인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950원 -5% 0원
600원
19,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문문법 기본상식6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문문법 기본상식64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97631759
· 쪽수 : 279쪽
· 출판일 : 2017-02-25

목차

역자 머리말 5

1. 품사활용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활용현상이 있는가? / 15
2. 명사의 동사 활용 판별법은? / 22
3. 명사의 부사어 활용과 주술구조를 어떻게 구별하는가? / 31
4. 부사어로 활용되는 시간명사의 용법이 현대중국어와 다른 점은? / 48
5. 어떠한 실사가 사동(使動)과 의동(意動)을 가능하게 하는가? / 51
6. 사동용법과 의동용법을 어떻게 구별하는가? / 56
7. 사동 의동 이외의 특수한 술목관계는? / 64
8. 동량(動量)과 물량(物量)을 어떻게 나타내는가? / 70
9. 허수(虛數)란 무엇이며 기수(基數) 3 9 등을 왜 허수로 보는가? / 75
10. 기수 일(一)은 수사기능 이외에 또 어떤 용법이 있는가? / 78
11. 양(兩)과 이(二)의 용법은 어떻게 다른가? / 81
12. 어떻게 배수(倍數) 분수(分數) 약수(約數)를 나타내는가? / 83
13. 대명사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가? / 89
14. 겸류사(兼類詞) 지(之)와 기(其)의 용법을 어떻게 구별하는가? / 92
15. 자(自)와 기(己)는 용법상 어떤 차이가 있는가? / 96
16. 인칭대명사의 복수를 표시하는 방법은? / 98
17. 2인칭대명사 여(汝;女) 이(爾) 약(若) 이(而) 내(乃)의 차이점은? / 101
18. 경칭(敬稱)과 겸칭(謙稱)을 구별하여 이해하는 방법은? / 103
19. 방지(旁指)대명사의 유형과 용법은? / 107
20. 특수 지시대명사 언(焉)을 이해하는 방법은? / 110
21. ‘혹(或)’과 ‘막(莫)’을 왜 무정형 대명사라고 하는가? / 113
22. ‘자(者)’의 사어 성질과 용법은? / 116
23. 보조성 대명사 소(所)의 용법은? / 121
24. ‘소이(所以)’가 ‘그래서’로 해석되는 이유는? / 127
25. 자(者)자 구조와 소(所)자 구조의 차이점은? / 129
26. 부사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 133
27. 정도부사 ‘소(少)’, ‘초(稍)’, ‘파(頗)’, ‘익(益)’의 차이점은? / 137
28. 어떤 범위부사를 특히 주의해야 하나? / 140
29. 부사 ‘증(曾)’과 ‘상(嘗)’은 기능상 어떤 차이가 있나? / 143
30. ‘재(再)’와 ‘부(復)’는 어떤 점에서 구별되는가? / 145
31. 부정부사 ‘불(不)’와 ‘불(弗)’, ‘무(毋)’와 ‘물(勿)’은 서로 어떻게
다른가? / 147
32. 공경과 겸손을 나타내는 부사를 바르게 이해하는 방법은? / 149
33. 동사 ‘청(請)’이 어떤 경우 표경(表敬)부사로 쓰이는가? / 153
34. ‘개(蓋)’의 문법적 특징과 용법은 무엇인가? / 156
35. ‘상(相)’과 ‘견(見)’을 왜 특수부사라고 하는가? / 159
36. 전치사는 어떤 특징이 있나? / 164
37. ‘우(于)’의 용법이 ‘호(乎)’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 / 168
38. ‘이(以)’의 전치사용법과 접속사용법을 구별하는 방법은? / 172
39. 겸류사 ‘위(爲)’의 용법을 판별하고 분석하는 방법은? / 178
40. ‘이(以)’의 고정구조를 이해하는 방법은? / 182
41. 접속사 ‘而’의 특징은 무엇인가? / 186
42. 접속사 ‘則’의 용법은 무엇인가? / 191
43. 접속사 ‘여(與)’와 전치사 ‘여(與)’를 어떻게 구별하는가? / 195
44. 접속사 ‘수(雖)’·‘수연(雖然)’·‘연(然)’·‘연이(然而)’·‘연즉(然則)’의
차이점은? / 199
45. 문미 어기사 ‘야(也)’와 ‘의(矣)’는 어떻게 다른가? / 203
46. 문미 어기사 ‘호(乎)’, ‘야(邪;耶)’, ‘여(與;歟)’는 어떻게 다른가? / 207
47. ‘부(夫)’는 문두, 문중, 문미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 / 212
48. 문미 어기사가 잇달아 사용되는 현상을 어떻게 이해할까? / 216
49. 겸사(兼辭) ‘저(諸)’, ‘언(焉)’, ‘합(?)’, ‘파(?)’의 용법은 무엇인가? / 220
50. 판단사 ‘是’의 용법과 의미는? / 224
51. 판단구란 무엇이며 그 용법은 어떠한가? / 228
52. 무엇을 의미상의 피동이라고 하는가? / 231
53. 구조적으로 특징이 있는 피동문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 234
54. 목적어가 어떠한 경우에 전치하는가? / 238
55. 목적어가 ‘지(之)’, ‘시(是)’를 사용하여 복지(複指)하는 이유는? / 243
56. 어떤 상황에서 위어가 주어 앞에 놓이는가? / 247
57. 쌍목적어란 무엇인가? / 249
58. 동사 ‘위(爲)’를 따르는 쌍목적어를 식별하는 방법은? / 254
59. 어떤 경우에 문장 성분이 생략되는가? / 257
60. 중심사 생략이 주어, 목적어 생략과 다른 점은? / 261
61. 어떠한 유형의 관용 구문이 있는가? / 264
62. ‘孰與’의 의미와 용법은? / 269
63. ‘以~爲~’형의 구문으로 어떠한 것이 있는가? / 272
64. 복문을 나타내는 관련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275

저자소개

이종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문학 박사를 받았다. 논저로는 『유교경전의 이해』, 『월천 조목의 삶과 생각 그리고 문학』, 『조선의 문인이 걸어온 길』, 『퇴계학에세이: 온유돈후』가 있으며, 안동대학교에서 퇴계학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문학과 교수로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