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군정기 억압기구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97759330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2-05-29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97759330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2-05-29
책 소개
1980년대 중반 이후 본격화된 현대사 연구의 축적에도 불구하고 역사학과 정치학 분야의 기존 연구들 역시 민족운동에 초점을 두고 있거나 미국의 대한정책, 국내 정치세력들 간의 갈등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미군정의 지배'라는 측면을 소홀히 다루고 있는 게 현실이다.
목차
[1].서론
1. 연구의 범위
2. 개념 정돈과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과 분석들
4. 연구 내용과 자료
[2]. 해방 직후의 사회 상황
1. 전후 세계 체제의 변화와 해방의 성격
2. 해방 직후의 사회 상황과 역사적 과제
3. 미국의 점령 정책
4. 미군의 진주
[3]. 해방 직후 사회 제세력의 갈등과 미군정
1. 해방 직후 민족 독립 국가 수립 운동
2. 이승만- 한민당 세력
3. 임시정부 세력
4. 조선공산당 세력
5. 중간 세력
[4]. 미군정 행정 관료제의 재편
1. 행정 관료 기구의 재조직 과정
2. 관료의 충원과 그 특징
3. 군정 관료제의 특징
[5]. 미군정 경찰의 재편과 그 성격
1. 군정 경찰의 조직
2. 군정 경찰의 충원
3. 군정 경찰의 활동
4. 군정 경찰의 특성
[6]. 조선국방경비대의 창설과 성격
1. 해방 직전 해외 무장 독립군의 활동 상황
2. 해방 직후 사설 군사 단체의 현황
3. 조선국방경비대의 창설과 충원
[7]. 군정 사법 체제의 재편 과정
1. 미군정의 법적 지위와 군정 법령들의 주요 내용
2. 군정 사법 체제의 재편
3. 사법부 관료의 충원
4. 미군정 사법 체제의 기능과 특징
[8]. 결론
1. 국가 기구 형성의 구조적 조건
2. 미군정기 국가 기구 형성의 특징
3. 이론적 논의
-부록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