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제1공화국/제2공화국
· ISBN : 9788997871087
· 쪽수 : 692쪽
· 출판일 : 2013-08-28
책 소개
목차
제1부 비교인물
제1장 외교와 독립
1. 연구의 동기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범위
4. 인물의 선택
1) 독립정신 2) 평화주의 3) 문필가 4) 실학 5) 독선 6) 세계관 7) 약소국 8) 외교방략 9) 한국과 체코 10) 건국대통령 11) 민주주의 12) 정치사상
제2장 선전과 외교
1. 시대와 인물 2. 선전 3. 외교
제2부 이승만
제1장 왕가의 후예
1. 서세동점(西勢東漸) 2. 유년시절 3. 배재학당
제2장 개혁자
1. 언론인 2. 중추원 의관 3. 대역죄인 4. 감옥학교 5. 감옥교회 6. 출옥
제3장 교육자
1. 상동청년학원 2. 밀사 3. 존 헤이 4. 루즈벨트 5. 한국 선전 6. 박사 7. 헤이스팅스 대학 8. 기독교청년회 9. 망명 10. 한인기독학원
제4장 이승만의 사상
1. 배경 2. 가설
3. 실학사상
1) 실천실학 2) 자유주의 3) 일민주의 4) 실학의 재발견 5) 기독교청년회 6) 기독교 7) 반일
4. 독립사상
1) 통상
(1) 선교와 통상 (2) 통상과 평화 (3) 문호개방 (4) 우호통상과 영구평화 (5) 프린스턴 (6) 권리 대 무력(7) 미국 (8) 독립의 권리 (9) 독립의 조건(10) 통상과 위임통치
2) 교육
3) 외교
(1) 영구평화와 외교 (2) 중립통상 = 자유통상
4) 민주주의
(1) 조약위반 시대 (2) 민주주의 위기
5) 자유
5. 맺는말
제5장 외교독립
1. 삼일운동 2. 동경유학생 독립선언 3. 서울 기미독립선언 4. 필라델피아 독립선언 5. 대통령 6. 워싱턴회의 7. 하와이 8. 만주사변 9. 중일전쟁 10. 태평양전쟁 11. 한인자유대회 12. 국무성
제6장 국가건설
1. 제2의 독립운동 2. 건국 3. 한미상호방위조약
제3부 마사리크
제1장 마부의 아들
1. 체코 약사 2. 절대주의와 자유주의 3. 유년시절 4. 견습공 5. 김나지움 6. 비엔나 대학생 7. 철학박사 8. 비엔나대학 강사
제2장 개혁자
1. 대학교수 2. 언론인 3. 문서사건 4. 평화주의자 5. 국회의원 6. 민족자결주의자
제3장 교육자
1. 비판적 문필가 2. 국제주의자 3. 유대인의 친구 4. 정당의 개혁자 5. 제1차 미국강연 6. 종교자유 옹호자 7. 다시 국회로 8. 제2차 미국강연 9. 학문자유 옹호 10. 발칸의 합병 11. 세튼-와트슨 12. 외교정책 비판 13. 발칸의 친구 14. 사실추구
제4장 마사리크의 정치사상
1. 철학과 기독교
1) 역사철학 2) 기독교민주주의 3) 도덕주의 4) 인본주의
2. 평화사상
제5장 외교독립
1. 제1차 세계대전 2. 마사리크의 비결 3. 마사리크 비망록 4. 마사리크의 유럽지도 5. 마사리크의 망명 6. “마피아” 7. “환상적 방략” 8. 도덕과 인본주의 9. 킹스 칼리지 10. 선전포고 11. 파리 공동성명12. 체코슬로바키아 국민회의 13. 아들의 사망 14. 반 오스트리아 정서 15. 독립운동자금 16. 선전 17. 전쟁목적 18. “빛나는 성공” 19. 페트로그라드 20. 체코슬로바키아 포로 21. 암투 22. 러시아 3월 혁명 23. “독재자” 마사리크 24. 영국 정보원 25. 케렌스키와 체코포로군대 26. 체코포로군대의 승전27. 체코군단 28. 루트 사절단 29. 마사리크와 볼셰비키 30. 러시아 11월 혁명 31. 연합군 32. 대장정33. 체코군단의 불개입 34. 로마의 피압박민족대회 35. 마사리크와 마트 36. 마사리크의 도미 37. 피츠버그 합의 38. 체코군단의 동진 39. 체코군단의 반란 40. 식스투스 사건 41. 국내의 변화 42. 마사리크와 윌슨 43. 미국의 출병 44. 독립선언 45. 중부유럽연합 46. 두 개의 정부 47. 프라하 혁명 48. “마지막 순간” 49. 마사리크의 귀국 50. 체코슬로바키아 국가탄생 51. 외교와 무력
제6장 국가건설
1. 마사리크 신화 2. “민주주의 챔피언” 3. 유럽정치의 변화 4. 국내문제 5. 프라하 “궁성” 6. 대통령청 7. 외무성 8. 금요인사 9. 마사리크 전설
이승만 연보
토마스 거리그 마사리크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이 시대를 만드는가 아니면 시대가 사람을 만드는가. 이 질문은 진부하고 상투적이기는 하지만 그 대답에 앞서서 사람과 시대가 불가분의 연관을 맺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어서 한 사람의 전기는 반드시 시대상황이 뒷받침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약소국가 출신인 이승만과 마사리크의 외교독립론은 식민주의·제국주의 말기의 산물이다.
이승만은 휴전을 극력 반대하였다. 그는 한민족과 함께 벼랑 끝에서 다 함께 죽을 정도의 결의를 보였다. 마지막 수단으로 그는 반공포로를 연합국과 상의도 없이 석방하였다. 공산권은 분노하여 휴전회담이 결렬될 위험이 생겼다. 미국은 비로소 이승만이 원하는 바를 들어주지 않으면 휴전이 불가능함을 깨달았다. 이승만이 원한 것은 한미상호방위동맹, 군사원조, 경제원조였다. 군사동맹은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 소련, 일본, 그 어느 국가의 침략으로부터 방어하는 것이다. 이승만의 뇌리에는 일본의 재침이 생생하게 살아있었다.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 이승만은 말했다. “이제 한미방위조약이 체결되었으므로 우리의 후손들은 누대에 걸쳐 이 조약으로 말미암아 갖가지 혜택을 누릴 것이다.” 체결을 직접 지켜 본 현장에서 그는 아마 70년 전 조미우호통상조약을 둘러싼 조국의 파란만장한 운명을 생각했을 것이다. 이 조약으로써 그가 평생 고집하던 외교방략의 화룡점정이 되었다.
가정교사로 숙식을 해결하는 가운데 수많은 강의를 듣고 독서 삼매경에 빠지면서 마사리크는 청년기 특유의 신체적 유혹의 위기를 경험할 새가 없었다. 체력유지를 위한 운동도 할 시간이 없었지만 대신 소콜 운동(Sokol movement)에 참여하였다. 그것은 1862년에 창립된 ‘건강한 육체에 건강한 정신’을 내걸은 체육 운동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합스부르크 지배하에 구심점 없었던 체코 청년에게 지대한 영향을 준 사회운동이었다. 이것이 발전하여 체육뿐만 아니라 문학과 예술운동으로 체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체코 이민사회에까지 퍼져나갔다. 이것이 후일 그의 독립운동에 크나큰 힘이 된다는 것을 당시에는 몰랐으리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