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97871100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4-02-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부 3반(反)의 시대
출생신고서
-이 한장의 사진
1. 반미(反美), 심장에 불을 지르는 매혹적인 슬로건
-좌우가 망설이지 않고 동의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 역사적 사실을 중심으로
2. 반공(反共)은 이제 그만,
오늘부터 우리 친북(親北)해요 ~ 같은 민족이잖아요
80년대 대북 정서를 바꾼 방북기 열전 -방문기만 읽으면 반하지 않을 수 없는 나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물론 인터넷이 생기기 전 까지만
3. 아비의 얼굴에 침을 뱉어라~ 반(反)대한민국
구국의 강철대오, 전대협
임수경, 평양에 가다
Intermission
한 ex-communist와의 인터뷰
80년대를 대표하는 다섯 권의 책 -해방 전후사의 인식| 8억 인과의 대화|자본주의 경제의 구조와 발전 |어떻게 할 것인가 (what is to be done)| 주체사상에 대하여
2부 아직도, 깨어나서 외치는 철 없는 함성
1. 김정일 위원장을 한마음으로 모시겠습니다,
일심회(一 心會) 사건
후일담, 반성문 그리고 성찰의 기록 가끔 의지의 재다짐
2. 80년대에서 멈춘 실천연대의 시계
3. 국회진입 직전에서 좌절한 간첩단, 왕재산 사건
4. 통진당, 경기동부연합
- 좌익, 드디어 국회 입성에 성공하다
5. RO, 석기시대의 종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5.18의 추체험을 통해 수많은 청춘들의 가슴에 불길이 일었고 이전까지의 소박한 민주주의와 결별한 끝에 기꺼이 동서양의 급진적인 운동관을 가지고 학생 운동에 뛰어 들었다, 고 386을 설명하면 참 아름답고 휴머니즘이 넘치는 결말인데 사실은 그와 좀 다르다. 일단 386 운동권은 6.25 전쟁 이후 꾸준하게 명맥을 이어온 남한 좌익 운동의 연장선상에 있으며(실은 이 뿌리는 192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둘째로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이미 1950년대부터 학습되기 시작한 운동권의 기본 커리큘럼이었다. 이 사진의 진정한 의미는 따로 있다. 바로 좌익 운동권에게 ‘대중’이라는 선물을 안겨준 것이다. 이전까지 남한 좌익 운동권의 숙원은 혁명적 전위정당의 결성이었다. 실제로 몇 번 만들었다. 뭐 큰 역할을 하거나 위협적이라고 보기에는 좀 무리가 있지만 인혁당, 통혁당, 남민전 등이 그것들이다. 문제는 당시에는 전위정당을 만들어봐야 막상 지도할 대중이 없다는 사실이었다. 그래서 당시의 좌익운동은 그 색깔을 잃지 않고 있는 것만으로도 운동이나 다름없었다. 그런데 굳이 포섭하지 않아도 알아서 협조해주는 어마어마한 대중 자원(資源)이 생긴 것이다. 게다가 두려움 때문에 운동에 투신하지 못했던 분위기가 일소되면서 좌익분자들을 양산할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이 갖추어졌다. 해방 이후 최고조로 타올랐던 좌익운동, 그래서 감히 소생은 386 운동권을 남한 좌익 운동의 절정이라고 부른다.
서울대 도서관에서 10시 방향으로 보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세 개의 동(棟)이 있다. 보통 5, 6, 7동으로 불리던 정치과, 사학과, 철학과, 인류학과 등의 학과 사무실이 모여 있는 곳인데 80년대 초반 학생들은 이곳을 ‘모스크바’라고 불렀다. 약간의 치기와 오만이 곁들여져 있기는 하지만 이 호칭은 이미 이 구역이 마르크스레닌주의로 단풍잎처럼 빨갛게 물들어 있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관악산내 모스크바는 86년 말 평양으로 개명된다. 이름은 중요하다. 명칭이 바뀐 것은 그 사이 학생운동의 지향점이 소련에서 북한으로 이동했으며 한국 사회 혁명의 논리가 북한의 대남 전략과 동일하게 확정되었음을 뜻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 속명 종북 좌파, 학명으로 주사 NL이 있었다.
386은 일부 왜곡, 일부 오인, 일부 무지로 반(反)대한민국 정서를 함양했다. 아직도 벗어나지 못했거나 않으려고 발버둥치는 게 문제다. 처칠은 20대에 리버럴이 아니면 가슴이 없는거고 40대에 보수가 아니면 머리가 없는 거라고 했다. 리버럴은 가슴만 있으면 된다. 분노하면 되고 그저 뛰쳐나가기만 하면 된다. 그런데 40대에 보수가 되기 위해서는 ‘머리’가 필요하다. 공부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얘기다. 후기 386의 가장 큰 문제다. 공부는 더 하기 싫고 그래서 20대에 배운 것으로 어떻게든 때우다가 죽을 생각들인 모양이다. 안쓰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