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98241353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4-04-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재무제표 지식이 경쟁력이다
제1장 신입사원 왕초보, 재무제표의 필요성을 느끼다
재무제표를 알면 회사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안다
왕초보, 재무제표의 필요성을 느끼다
경영진과 직원들의 재무제표 활용법
재무제표 지식이 기획서를 돋보이게 한다
기업 성공에는 재무제표 지식이 필요하다
제2장 신입사원 왕초보, 재무제표 원리를 깨치다
재무제표가 뭐예요
재무제표의 작성원리는 뭐예요
꼭 회계원리를 알아야 하나요
재무제표가 복잡해 보이는 이유는 뭐예요
가짜 거래가 기업을 좀먹는 이유는 뭐예요
제3장 신입사원 왕초보, 재무제표를 보고 기업을 평가하다
재무제표를 읽는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재무제표를 읽으면 기업의 체질을 알 수 있다
대차대조표는 기업 가치를 알려준다
손익계산서 상의 이익을 쪼개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금흐름표에서 영업 현금흐름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를 보면 배당과 사내 유보액을 알 수 있다
왕초보, 드디어 재무제표 분석을 하다
경영자가 좋아하는 재무제표 만들기
회계조작을 하면 안 되는 이유
재무제표 완전 분석
제4장 신입사원 왕초보, 재무제표에 필요한 원가계산을 하다
원가가 뭐야
원가를 따질 줄 알아야 하는 이유
경영지원부서의 원가가 가격 경쟁력을 좌우한다
원가발생 부서별로 원가를 통제한다
업무태도도 원가에 영향을 준다
원가정보는 재무제표 어느 부분에 반영되는가
신제품 컴퓨터 대당 가격 정하는 방법
원가배분을 잘못하면 판매가격이 잘못 책정된다
제조업의 제품원가 계산 방법
서비스 기업의 원가 계산 방법
제5장 신입사원 왕초보, 기획서에 손익분기점 분석을 반영하다
고정비와 변동비는 무엇인가
경영관리 목적용 손익계산서는 어디에 사용하나
손익분기점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손익분기점 계산 방법
손익분기점을 통해 기업의 안정성을 판단한다
원가구조가 다르면 이익도 달라진다
원가구조를 알면 의사결정이 쉽다
레버리지 분석이란 무엇인가
원가정보도 마케팅에 활용된다
특별주문, 받아들일 것인가
증분원가란
장비교체를 어떻게 할 것인가
제6장 신입사원 왕초보, 재무제표에서 경영 마인드를 얻다
경영 마인드가 기업 가치를 결정한다
직원들도 경영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판매계획서 작성 방법
중장기 계획 수립 방법
자금관리 요령
예산을 통한 경영관리
판매예산 편성 방법
매출차이 분석 방법
인센티브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제7장 신입사원 왕초보, 드디어 재무제표를 자유자재로 활용하다
경영흐름과 재무제표와의 관계를 파악하라
자산을 키워야 부자기업이 된다
재무위험의 징후
매출이 감소할 때 대처하는 법
자금이 부족할 때 대처하는 방법
투자를 통해 현금을 확보하는 방법
기업의 미래를 읽는 방법
재무제표 지식을 활용해 흑자회사를 만드는 방법
우량기업을 찾아내다
저평가 기업을 찾아내다
기업의 재무전략을 생각하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재무제표가 담고 있는 정보들은 표면상 나타난 것들보다는 훨씬 그 내용이 넓다. 재무제표상의 각 항목들이 다른 항목과 결합할 때 다양한 정보가 파생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손익계산서상의 매출액과 대차대조표상의 총자본 등의 항목을 결합해 자산의 활동성을 측정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같은 손익계산서상의 항목 간에도 다양한 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
이절세 팀장은 원가계산 과정을 이해하고는 매우 흡족해했다. 이제야 손익계산서 상의 매출원가 과정이 피부로 와 닿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재무제표 작성을 위해 원가계산을 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경영이나 관리 측면에서 원가정보가 필요한 이유를 모르겠어.”
이 팀장은 기업 내부 관리를 하는 데 원가정보가 필요하다는 아내 야무진의 말을 듣고 이에 대한 내용이 궁금해졌다.
“앞에서 본 원가도 경영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되지. 예를 들어 기업이 제조한 제품에 대한 가격을 결정한다고 하자구. 이 기업은 제조에 들어간 원가와 판매관리비를 포함한 총원가에 적절한 마진을 붙여 소비자가격을 정하겠지. 결국 제품 원가계산을 위한 원가정보도 이렇게
경영 의사결정에 사용되고 있어.”
이 팀장이 궁금해하는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기업은 변화무쌍한 환경에서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비를 지금 순간에 미리 하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게 말처럼 쉬운가! 그래서 많은 기업들은 미래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미래를 그려 보고 그에 따른 계획과 대응책을 현시점에서 마련함으로써 경영목적을 달성해가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바로 예산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