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수학 > 쉽게 배우는 수학
· ISBN : 9788998286057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7-01-31
책 소개
목차
1.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주역 수메르인, 60진법… 17
기원전 3500년 메소포타미아 문명
2. 영혼의 집 피라미드를 건설하다, 작도… 27
기원전 3000년 고대 이집트
3. 중국 문명을 연 전설의 삼황오제, 천문학과 거듭제곱… 41
기원전 3000년 중국
4. ‘눈에는 눈, 이에는 이’ 함무라비 법전, 곱셈과 나눗셈… 51
기원전 1800년 바빌로니아왕국
5. 유목민 아리아인의 인도 정착, 베다 수학 … 63
기원전 1500년 고대 인도
6. 봉건제 주의 분할과 동맹, 거듭제곱과 조합… 77
기원전 700년 중국
7. 정직한 페르시아 사람들, 명제와 진릿값… 95
기원전 500년 오리엔트
8. 신탁을 풀지 못한 아테네인, 불가능한 3대 작도… 107
기원전 400년 고대 그리스
9. 담대한 이상가인 알렉산드로스 대왕, 매듭 이론 … 121
기원전 300년 알렉산드로스 제국
10. 황제가 되지 못한 카이사르, 달력의 비밀 … 135
기원전 100년 고대 로마
11. 유대인 요셉에서 로마인 요세푸스로, 순열… 151
1세기 로마와 유대
12. 로마로 가는 길, 생성수형도… 163
2세기 대로마제국
13. 싸움의 달인 삼국의 명장들, 원의 성질 … 177
3세기 중국 삼국시대
14. 로마의 영광을 되살린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성 소피아 성당의 돔… 189
6세기 비잔티움 제국
15. 당 현종이 매료된 양귀비의 미모, 금강비와 황금비… 201
8세기 중국 당
16. 우정을 지킨 오마르 하이얌, 삼차방정식의 근의 공식… 215
11세기 셀주크튀르크]
17. 중세 유럽의 꽃 기사, 토너먼트 … 226
11세기 중세 유럽
18. 서유럽 십자군의 이슬람 세계 원정, 로마 주판과 인도-아라비아 숫자 … 239
12세기 유럽
19. 르네상스와 원근법, 수열… 255
14세기 이탈리아
20. 대항해 시대의 탐험가들, 원의 둘레와 원주율… 269
15~16세기 유럽
21. 국가와 결혼한 엘리자베스 1세와 월터 롤리, 케플러의 추측 … 281
16세기 에스파냐와 영국
22. 의회파와 대립한 프랜시스 베이컨, 귀납법… 297
17세기 영국
23. 서구주의자 표트르 대제, 이발사의 역리… 311
17세기 러시아
24. 증기기관차와 분업의 산업혁명, 사이클로이드와 분할… 323
18~19세기 서양
25. 혁명가 나폴레옹만 지지한 베토벤, 피보나치수열 … 343
19세기 유럽
26. 모든 사람의 선거권을 요구한 차티스트운동, 선거의 정당성… 359
19세기 유럽
27. 생물진화론을 기계적으로 수용한 사회진화론, 집합… 373
19세기 서양
28. 전투보다 더 치열한 첩보전, 암호… 387
20세기 세계대전
저자소개
책속에서
베다는 신에 대한 찬미를 시와 같은 형태로 표현하여 문학적으로 아주 뛰어나다. 베다의 내용에 바탕을 두고 시적인 문학성과 함축성으로 수학을 표현하는 베다 수학의 전통은 오랫동안 지속됐다. 인도 수학자 바스카라는 딸 리라바티를 위해 쓴 수학책 <리라바티(L lavat , 아름다운 것)>에서 아름다운 시의 형식으로 수학 문제를 표현했다.
순수한 연꽃 다발에서 / 3분의 1, 5분의 1, 그리고 6분의 1이 / 각각 바쳐졌네. /
시바 신에게 / 비슈누 신에게/ 수리야 신에게 / 4분의 1은 브하바니 신에게 선물됐네. /
나머지 여섯 송이 꽃은 / 훌륭한 스승에게 바쳐졌네. /
연꽃이 모두 몇 송이였는지 얼른 나에게 말해 보게./
- 5. 유목민 아리아인의 인도 정착, 베다 수학
로마 군대가 포위하고 있는 상황에서 죽음을 각오한 결사대원들에게 요세푸스의 제안은 강력한 설득력을 지녔다. 자살하지 않음으로써 하느님의 뜻을 거스르지 않아도 됐고, 결국은 모두가 장렬하게 죽음으로써 끝까지 로마에 저항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요세푸스는 대제사장이자 지휘관이었기 때문에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아주 합리적인 방식을 제안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때 요세푸스도 예외는 아니었을 것이다. 그런데 요세푸스는 살아남았다. 그러면 요세푸스는 어떤 방법으로 마지막까지 살아남았을까?
- 11. 유대인 요셉에서 로마인 요세푸스로, 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