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

(평등주의와 서열주의의 모순적 공존, 2019년 출판컨텐츠 창작지원사업 선정작)

정태석 (지은이)
피어나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3,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 (평등주의와 서열주의의 모순적 공존, 2019년 출판컨텐츠 창작지원사업 선정작)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8408244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20-01-31

책 소개

역동적 한국인 총서 2권. ‘평등’이라는 관념이 제대로 서지 않았던 조선말 유교 신분제 사회에서 어떻게 정치, 경제, 사회문화 영역의 평등 지향이 나타났는지, 그것이 지난 100년 동안 서구와는 어떻게 다른 길을 걸으며 불균등하게 발전해왔는지 추적한 책이다.

목차

서문 … 5
Ⅰ. 한국인은 과연 평등하기를 원하는가? … 13

Ⅱ. 평등과 평등주의의 개념적 이해 … 31
1. 평등과 불평등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 34
(1) 불평등의 다양한 영역과 쟁점들 … 35
(2) 다양한 맥락의 평등: 본체론적 평등과 기회/조건/결과의 평등 … 58
(3) 왜 ‘과정의 불평등’이 중요한가? … 63
2. 능력우선주의는 평등의 원리가 될 수 있을까? … 68
(1) 능력우선주의와 중간계급 이데올로기 … 68
(2) 조건/과정의 불평등과 능력우선주의의 한계 … 72
(3) 경쟁의 불공정성과 능력우선주의의 정당성 딜레마 … 77
3. 평등주의의 정의 … 80
(1) 이념으로서의 평등주의 … 80
(2) 심성 및 행위양식으로서의 평등주의: 아비투스와 행위 … 85
4. 한국사회의 평등주의를 조망하기 위한 개념틀 … 89
(1) 지식사회학의 관점과 평등주의 아비투스 … 89
(2) 전통과 현대의 모순적 융합 속의 평등주의 … 95
(3) 평등과 평등주의의 역사적 유형들 … 102
(4) 평등주의 행위전략과 그 사회적 결과: 몇 가지 가설 … 114

Ⅲ.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평등주의의 불균등 발전: 전통과 현대의 엇갈림 … 121
1. 개화기의 평등주의와 신분차별에 대한 저항 … 124
(1) 조선후기 신분제도의 동요와 실학 및 서학의 탈신분제적-인격적 평등주의 … 124
(2) 평민문화의 신분해방 의식과 탈신분제적-인격적 평등주의 …130
(3) 민중들의 탈신분제적-인격적 평등주의와 신분제도에 대한 도전 … 132
2. 개화기 평등주의의 분화: 시민적 평등주의와 분배적 평등주의 … 137
(1) 개화사상의 시민적-인격적 평등주의 … 137
(2) 동학사상의 탈신분제적-인격적 평등주의와 분배적 평등주의 … 141
(3) 갑오개혁과 구체제 개혁에서의 인격적 평등주의와 시민적 평등주의
(4) 백정들의 반란: 형평운동의 탈신분제적-인격적 평등주의와 분배적 평등주의 … 148
3. 민족주의와 평등주의의 연대와 갈등: 주권평등운동과 사회주의운동 … 154
(1) 식민지배 시대의 민족운동과 평등주의 …154
(2) 농민과 노동자들의 저항: 주권평등운동과 분배적 평등주의 … 160
(3) 3.1운동의 주권평등운동: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연대 … 166
(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이념: 민족주의와 평등주의 … 168
(5) 신간회의 사회운동: 민족주의와 평등주의의 연대와 균열 … 171
(6) 민족계몽과 교육운동에서의 민족주의와 평등주의 … 174
4. 사회주의 이념의 확산과 분배적 평등주의 … 177
(1) 식민지배 시대의 사회주의운동과 평등주의 … 177
(2) 사회주의운동과 조선공산당의 분배적 평등주의 … 180
(3) 계급문학운동과 분배적 평등주의 … 186
5. 전통적 위계서열주의와 현대적 평등주의의 모순적 공존 … 189
(1) 전통적 위계서열주의의 존속과 시민적-인격적 평등주의의 저발전 … 190
(2) 시민적-인격적 평등주의의 저발전과 분배적 평등주의를 향한 투쟁 … 199
(3) 평등주의와 인격적 위계서열주의의 모순적 공존 … 202

Ⅳ. 해방 이후 반공주의·권위주의 통치 시기 평등주의의 모순적 분출 … 205
1. 해방공간에서 반공자유주의의 지배와 평등주의의 억압 … 207
(1) 건국준비위원회의 시민적·정치적 평등주의와 분배적 평등주의 … 207
(2) 해방공간의 이념 갈등과 평등주의의 억압 … 209
(3) 미군정과 한국민주당의 제한적인 분배적 평등주의 … 213
(4) 미군정의 남한 단독정부 수립과 민중의 시민적·분배적 평등주의 요구 … 215
(5) 이승만 정권의 농지개혁: 분배적 평등주의 수용과 시민적 평등주의 억압 … 220
(6) 이승만 정권의 반공주의 통치와 이념 갈등 … 224
(7) 이승만의 권위주의·반공주의 통치와 시민적·정치적 평등주의의 억압 … 231

2. 권위주의·반공주의적 발전국가와 시민적·분배적 평등주의의 저발전 … 237
(1) 박정희 정권의 경제개발 정책: 시민적·분배적 평등주의의 억압 … 237
(2) 전태일의 분신과 노동운동의 분배적 평등주의 … 242
(3) 반공주의·권위주의 통치와 시민적·정치적 평등주의의 저발전 … 244
(4) 부마항쟁과 정치적·분배적 평등주의의 분출 … 246
(5) 자본주의적 공업화와 지위상승 경쟁: 사적 평등 지향의 확산 … 249
3. 평등주의의 딜레마: 사적 평등 지향의 확산과 공적 평등주의의 저발전 … 254
(1) 시민적·정치적 평등주의의 억압과 분배적 평등주의의 분출 … 255
(2) 사적 평등 지향의 확산과 공적 평등주의의 저발전 … 258

Ⅴ. 근현대사 속 다원적 평등주의의 분출과 인격적 위계서열주의의 존속 … 263
1. 성 평등주의와 여성운동의 분출 … 265
(1) 개화기 여학교의 설립과 성 평등주의 … 265
(2) 근현대 여성운동의 출현과 성 평등주의 … 268
(3) 문학 속의 성 평등주의 … 276

2. 다원적 평등주의의 확산과 인격적 위계서열주의의 저항 …280
(1) 제헌헌법 속의 다원적 평등주의 … 280
(2) 교육기회 확대와 개인적 평등 지향 확산 … 283
(3) 학교교육과 다원적 평등주의의 확산: 탈권위주의와 성 평등주의 … 292
(4) 존대법과 문화적 평등주의의 억압: 인격적 위계서열주의의 저항 … 297
3. 인격적 위계서열주의의 존속과 다원적 평등주의의 억압 … 300
(1) 존대법의 존속과 인격적 위계서열주의: 시민적-인격적 평등주의의 저발전 … 300
(2) 지위서열 사회 평등주의의 모순: 상향적 평등의식과 하향적 차별의식의 공존 … 303
(3) 시민적-인격적 평등주의의 저발전과 다원적 평등주의의 억압 … 306
Ⅵ. 한국사회의 평등주의 전망: 제도적 평등 실현과 인격적 서열주의 해체 … 311
1. 근현대 한국사회의 평등주의와 시민적-인격적 평등주의의 저발전 … 313
2. 1980년 이후의 평등주의: 다원적 평등주의의 불균등 발전 … 317
3. 평등주의의 과잉?: 시민적-인격적 평등주의의 저발전과 인격적 서열주의 … 324
4. 현대적 신분사회로서 지위서열 사회: 인격적 서열 매기기와 존대법 … 331
5. 평등주의의 미래: 시민적-인격적 평등과 다원적 평등의 실현을 위하여 … 335
(1) 제도적 평등의 실현: 경제적·분배적 평등과 시민적·정치적 평등의 과제 … 336
(2) 문화적·인격적 평등의 실현: 평등한 언어생활과 인격적 서열주의 해체 … 340
(3) 다원적 평등의 실현: 문화적 다양성 및 차이의 인정과 공존 … 347
참고 문헌 … 351
찾아보기 … 357

저자소개

정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 이론, 시민사회, 사회운동, 환경문제 등을 연구해왔고, 최근에는 ‘파편사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비판사회학회의 학술지 《경제와사회》 편집위원,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부소장,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 『행복의 사회학』,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사회이론의 구성』,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능력주의와 공정의 딜레마」, 「다원화된 민주주의 사회와 지식인론의 성찰: 경합하는 공공적 지식인」, 「시민자격의 역사적 발달과 세계화 및 위험사회에서의 그 함의」, 「한국 비판사회이론의 흐름과 쟁점」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 서문에서

인류의 삶이 시작된 이래로 평등은 아마도 끊임없는 화두였을 것이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물질적이든 감정적이든 서로의 처지를 비교하기 마련인데, 이것이 차별과 불평등에 민감하게 한다. 물론 힘없고 가난한 사람일수록 더 민감해지겠지만, 그렇다고 힘 있고 부유한 사람이라고 해서 모두 차별과 불평등에 둔감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사람은 이기적이기도 하지만 이타적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차별과 불평등이 눈에 보이는 사회에서 이것들을 외면하거나 관심을 두지 않고 살아가기란 그 누구도 쉽지 않을 것이다.…
… 나는 이 시대 한국사회에서 던져야 할 핵심적 질문이 무엇일까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한국 사람들은 그동안 평등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역동적인 삶을 살아왔는데도, 지금 현실은 ‘갑질’로 상징되는 권위주의와 강한 서열의식이 만연해 있다. 그래서 한국사회에서 서로 모순이라고 할 수 있는 평등주의와 서열주의가 어떻게 공존하였는지 질문하면서 그 역사적, 사회적 근원을 찾아보고 싶었다.


한국사회의 평등주의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평등주의의 불균등 발전과 엇갈림, 전통과 현대의 모순적 융합, 특히 탈인격적 평등주의와 인격적 차별주의의 모순적 공존을 이해하면서 진행해야 할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과정의 불평등은 조건의 불평등이 만들어내는 결과의 격차 이상으로 큰 격차를 만들어내는데, 이것은 무엇보다도 착취, 즉 분배의 불평등이 과정 속에서 반복되고 또 누적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조건의 평등이 공정한 결과를 낳을 수 있도록 하려면 분배의 규칙이 공정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