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46074293
· 쪽수 : 768쪽
· 출판일 : 2023-03-10
책 소개
목차
제1부 사회학의 문제의식과 기본 개념
01 사회학의 관심과 사회학적 상상력
02 사회학의 형성과 발달
03 사회구조와 사회변동
제2부 문화와 일상생활
04 사회화와 상호작용
05 사회집단과 사회조직
06 대중문화와 일상생활
07 젠더와 섹슈얼리티, 가족
제3부 자본주의와 정치
08 자본주의의 원리와 역사적 변동
09 일과 노동세계
10 사회불평등과 계급·계층
11 국가, 시민사회, 민주주의
제4부 사회문제와 사회운동
12 일탈행동과 범죄
13 인구, 도시, 지역
14 사회복지와 삶의 질
15 집합행동과 사회운동
제5부 변화하는 세계와 일상
16 매체와 지식정보
17 세계화와 정체성
18 과학기술, 위험, 환경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회학적 상상력은 다양한 인식 방법을 활용하는 사회과학적 사고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밀스는 특히 ‘생활환경에 대한 개인문제’와 ‘사회구조에 관한 공적 문제’를 구별하는 것이 사회학적 상상력의 기본 도구가 된다고 보았다. 말하자면 일상적으로 개인문제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사회구조적 변동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환경과 조건 속에서 이러한 연관성을 찾아가는 것이 바로 ‘사회학적 상상력’이다. _ “01 사회학의 관심과 사회학적 상상력”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사회화 과정은 이데올로기적 지배를 위한 갈등과 투쟁의 과정이기도 하다.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인 알튀세르(Louis Althusser)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 이론을 발전시켰다. 마르크스가 이데올로기를 대체로 물질적인 것과 대조되는 ‘관념’적이고 ‘의식’적인 것에 국한했던 것과 달리 알튀세르는 이데올로기가 구체적인 물질적 장치와 실천을 통해 존재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따라서 그는 자본주의적 사회관계가 유지되도록 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이 국가인데, 국가권력은 경찰이나 군대와 같은 ‘억압적 국가기구’를 통해서 행사되기도 하지만, 학교나 언론과 같은 이데올로기적 기구들을 통해서도 행사된다고 보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는 자본가계급의 대변자로서 물질적 힘(자본)을 소유한 자본가계급의 이익을 위해 기능하게 되는데, 알튀세르는 학교, 교회, 언론, 대중매체 등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는 기구들 역시 시민사회에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 국가권력의 행사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들’로 규정한다. _ 04 사회화와 상호작용”
가부장제는 경직된 남성 중심적 성 규범을 배타적으로 강요하면서 이성애에서 벗어난 주변적 집단, 예컨대 동성애자와 같은 성적 소수자들(sexual minorities)을 거부하고 차별하는 태도를 강화했다. 그리고 가부장적 성별분업의 논리는 여성들이 개성을 발휘할 기회를 제약했다. 나아가 이러한 성별분업 논리는 ‘여성답지 못한 여성’과 더불어 ‘남성답지 못한 남성’도 비난의 대상이 되게 하여 남녀 모두에게 다양성을 억압하는 힘이 되었다. 이러한 가부장제에 대한 저항은 19세기 말 여성의 참정권운동을 통해 사회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이후 여성운동은 20세기 초에 사회적 기회와 법적 권리의 평등을 요구하는 여성해방운동으로 발전하여 남녀평등의 확대를 가져왔으며, 여성해방을 위한 노력은 지구적 차원의 여성 연대를 형성하는 등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_ “07 젠더와 섹슈얼리티,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