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든스의 『제3의 길』 읽기

기든스의 『제3의 길』 읽기

(시대 전환에 발맞춘 정치 전환)

정태석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100원 -10% 2,500원
450원
10,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200원 -10% 360원 6,120원 >

책 이미지

기든스의 『제3의 길』 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든스의 『제3의 길』 읽기 (시대 전환에 발맞춘 정치 전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88955867282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2-06-25

책 소개

앤서니 기든스가 영국 진보정치의 진정한 변혁과 혁신을 위해 약 20년 전 <제3의 길>이라는 대안을 내놓은 것처럼, 이 책은 오늘날의 한국사회가 가져야할 정치 상황들을 진단하고 혁신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4

제1장 한국사회의 정치와 제3의 길

제2장 영국UK 노동당의 위기와 제3의 길의 의의

제3장 사회민주주의 혁신과 제3의 길

1. 제3의 길에 이르는 지적 여정·33
2. 제3의 길과 사회민주주의의 혁신·37
3. 사회민주주의 대 신자유주의·45
4. 정치적 지지구조의 변화와 사회민주주의 혁신의 방향·56

제4장 사회민주주의 정치의 다섯 가지 딜레마와 제3의 길 정치
1. 세계화:국민국가의 변화와 새로운 역할들·66
2. 개인주의: 개인과 집단적 책임 사이의 새로운 균형·72
3. 좌파와 우파: 좌우를 넘어서는 새로운 급진적 중도·76
4. 정치적 행위(주)체: 새로운 행위주체들과 하부 정치·83
5. 생태적 쟁점들: 새로운 위험성에 대한 대응과 모험의 기회·88
6. 다섯 가지 딜레마에 맞서는 사회민주주의: 제3의 길 정치·94

제5장 제3의 길 정치의 프로그램과 전략
1. 국가와 시민사회: 이중의 민주주의·104
1) 제3의 길 프로그램과 민주주의의 민주화·104
2) 시민사회의 쇄신과 공동체의 회복·106
3) 민주적인 가족·107
2. 사회투자 국가: ‘사후 재분배’에서 ‘사전 잠재력 개발’로·109
1) 제3의 길 정치와 국가·109
2) 평등에서 포용으로·112
3) 적극적 복지사회·118
4) 사회투자 전략·121
3. 세계화 시대: 세계주의적 국민과 지구적 거버넌스를 향해·127
1) 세계주의적 국민과 문화 다원주의·127
2) 세계적 민주주의와 거버넌스·134

제6장 제3의 길 논쟁에서 배운다
1. 제3의 길에 대한 좌파의 비판과 기든스의 대응·144
2. 제3의 길은 신자유주의로의 길인가? 시장의 역동성, 기업과 개인의 기회와 책임·150
3. 한국사회와 제3의 길의 함의·163

참고문헌·167

저자소개

정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 이론, 시민사회, 사회운동, 환경문제 등을 연구해왔고, 최근에는 ‘파편사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비판사회학회의 학술지 《경제와사회》 편집위원,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부소장,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 『행복의 사회학』,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사회이론의 구성』,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능력주의와 공정의 딜레마」, 「다원화된 민주주의 사회와 지식인론의 성찰: 경합하는 공공적 지식인」, 「시민자격의 역사적 발달과 세계화 및 위험사회에서의 그 함의」, 「한국 비판사회이론의 흐름과 쟁점」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파와 좌파 또는 보수와 진보의 기준이나 경계선이 복잡해지고 또 모호해지는 다원화된 한국사회에서, 『제3의 길』은 진보정당이 대중적 지지를 어떻게 넓혀 갈 수 있을 것인지에 관한 중요한 착상들을 제공해 준다고 하겠다.


‘제3의 길’이라는 말을 들으면, 아마도 사람들은 “그러면 제1의 길과 제2의 길은 뭐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3의 길은 두 개의 양극단의 길이 있고 이들이 서로 대립하고 있을 때, 양자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으려는 시도들로 나타나게 된다. 이런 점에서 제3의 길은 중도의 길로 볼 수 있는데, 중도는 ‘원칙을 포기하는 타협’ 또는 ‘기회주의’라는 부정적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고 ‘극단적 대립을 극복하는 화해’ 또는 ‘통합’이라는 긍정적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이처럼 그가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의 가치와 이상을 강조하면서도 제3의 길을 주장한다는 것은, 그가 사회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추구했던 이전의 정치적 노선이나 전략이 더 이상 실현되기 어렵다는 점을 분명히 깨달았기 때문이다. 기든스가 제3의 길을 사회민주주의의 혁신이라고 말한 것은 이제 사회민주주의마저도 새로운 노선이나 전략을 모색하지 않으면 낡은 길이 되고 말 것이라는 위기감을 느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5867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