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8408312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0-09-30
책 소개
목차
서문
Ⅰ. 한국인들은 왜 실용을 추구하게 되었나? ……13
Ⅱ. 실용주의 이론과 개념의 검토 ……27
1. 서양 실용주의의 이론과 현실 ……29
(1) 미국 실용주의 철학의 출현 ……29
(2) 미국 실용주의 철학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 ……35
(3) 미국 실용주의 개념의 특성 ……43
(4) 사회이론에서의 실용주의와 현대사회 ……47
2. 한국 실용주의의 사상과 현실 ……61
(1) 실학사상과 실용주의 ……63
(2) 개화기 이후 실용주의의 확산 ……70
3. 한국사회 실용주의의 역동성 이해를 위한 개념적 접근 ……74
(1) 한국 실용주의 논의의 흐름 ……75
(2) 실용주의 개념의 재구성: 실용주의와 역동성 ……83
Ⅲ.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의 실용주의 : 명분주의에서 현세지향 실용주의로 ……99
1. 애국계몽운동과 실용주의 ……102
2. 사회주의·민족주의 운동과 실용주의 ……115
Ⅳ. 해방 이후 실용주의의 변천과 역동성 : 현세지향 실용주의에서 실리지향 실용주의로 ……127
1. 분단국가 형성과 실용주의: 생존경쟁과 실리지향 실용주의 ……130
2. 개발독재 하의 자본주의적 경제성장과 실리지향 실용주의 ……134
(1) 박정희 정권의 조국 근대화와 국가정책의 실용주의 ……137
(2) 자본주의 경제성장과 기업가의 실리지향 실용주의 ……142
(3) 자본주의 시장경제하의 농민과 노동자의 실리지향 실용주의 ……148
3. 민주화운동과 실용주의: 공적·집합적 실용주의 ……158
4. 실리지향 실용주의의 확산과 한국인의 역동성 ……166
Ⅴ. 한국사회 실용주의의 전망 ……171
1. 근현대 한국사회 실용주의의 역사: 현세지향에서 실리지향으로 ……174
2. 1980년 이후 실용주의의 전개: 실리지향 실용주의의 효과들 ……178
3. 실용주의의 미래: 사회적·공적 실용주의의 발전을 위하여 ……189
4. 실용주의의 유용성과 과제 ……196
참고 문헌 ……209
찾아보기 ……215
저자소개
책속에서
▶ 서문에서
필자는 실용주의가 다른 철학과 달리 사람을 세계의 자발적 창조자로 간주하며, 사회생활에서의 실천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세계와 존재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유용성이 있다고 본다. 실용주의의 특징인 탐색·진취·혁신·다차원적 접근, 정체(停滯)의 거부는 현대사회의 지향과 요구와도 적극적으로 조응한다고 본다. 특히 실용주의의 긍정성이라고 할 수 있는 협력, 자율, 네크워크, 협업, 창조성, 실천성 등을 우리 사회의 사회혁신, 지속가능발전과 연결한다면 열린사회로 전진할 수 있는 행동철학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한국인들은 때로는 명분주의, 원칙주의에 맞서기도 하고 또 때로는 현실적 실리를 추구하기도 하면서, 때로는 갈등을 겪기도 하고 또 때로는 갈등을 회피하면서, 가족이나 경제활동을 비롯한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실용주의를 추구해왔다. 그리고 이러한 실용주의의 추구는 현실에 적응하면서도 현실을 꾸준히 변화시키고 또 발전시켜온 한국인의 역동성의 원천이 되었다.
농민들과 노동자들의 근면과 근검절약 등 실리지향 실용주의는 단순히 국가(정부)와 자본(기업)에 의해 강요되고 또 이에 순응할 수밖에 없었던 현실에서 나타난 강제된 수동적 반응으로만 보기는 어렵다. 가난에서 벗어나고 또 성공한 삶을 성취해야 한다는 욕망 속에서 그들은 현실에 적응하면서도 역동적인 삶을 살아가야 할 이유와 목표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