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키워드로 읽는 ESG·SDGs

키워드로 읽는 ESG·SDGs

이창언, 차영주, 한정은, 이원영, 김지현, 오용운 (지은이), 이창언 (엮은이), 이승열, 이현민 (옮긴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0원
3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키워드로 읽는 ESG·SDGs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키워드로 읽는 ESG·SDGs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60688429
· 쪽수 : 506쪽
· 출판일 : 2024-09-30

책 소개

내 나라, 내 고장에 뿌리를 내린 학문과 이론체계, 내외를 아우르는 담론 체계를 형성하여, 자기 나라 특색이 반영된 학문 구축을 위한 버팀목을 제공하는 책이다. SDGs·ESG를 국가-도시 정책과 삶에 녹여내는 것(주류화)과 우리 실정에 맞게 전략 실행(현지화)의 중요성을 염두에 두고 집필되었다.

목차

서문

1부 지속가능발전에 말 걸기
001 지속가능발전
002 지속가능발전의 재구성
003 지속가능발전 규범
004 우리 공동의 미래
005 환경과 발전에 관한 리우선언
006 요하네스버그 선언
007 열린사회와 지속가능한 도시
008 열린사회,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다섯 가지 전제
009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만들기
010 지속가능성 과정과 지속가능발전협의회
011 지방의제21(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도전과 성과
012 지속가능한 몸과 지구를 위한 길, 채식
013 지속가능발전과 문화
014 지속가능발전문화와 충실한 삶
015 지속가능한 소비문화의 재설계
016 지속가능한 사회와 평화
017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민주시민교육
018 지구 지속가능성의 ‘경고등’ 기후위기
019 지속가능발전과 거버넌스
020 시간과 꿈을 배반하지 않는 삶, 그리고 사람다움, 지속가능발전
021 ‘전환’의 의미

2부 SDGs에 다가서기
022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023 SDGs의 합의채택 과정
024 SDGs의 의제수립 과정
025 SDGs 가치와 지향, 핵심 키워드 그리고 세계관
026 SDGs의 3개 기둥과 SDGs 웨딩 케이크 모델
027 SDGs의 3층 구조: 목표, 세부목표, 지표
028 SDGs 5P와 목표들 간 연계성
029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유엔의 역할과 과제
030 MDG와 SDGs
031 유엔과 SDGs
032 유엔 지속가능발전보고서
033 SDGs와 자발적 국가보고(VNR)
034 SDGs와 자발적 지역보고(VLR)
035 SDGs와 문화적 여백
036 불평등・격차와 SDGs
037 격차 해소와 공정한 사회를 위한 SDGs의 노력
038 SDGs는 평등이 아닌 공정을 중시한다

3부 SDGs, ESD, SDGs 거버넌스의 현지화
039 빈곤과 SDGs
040 와 지속불가능한 농업의 백신 SDGs
041 SDGs와 보건, 복지, 웰빙
042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과 평생학습
043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교육 접근법: ESD(지속가능발전교육)
044 ESD, ESDGs, 지속가능발전대학
045 ESDGs(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와 대학혁신
046 대학 ESDGs와 연구 영역
047 대학 ESDGs의 의미와 효과
048 지속가능발전 도시와 대학
049 SDGs 5. 성평등과 모든 여성의 역량 강화
050 SDGs와 깨끗한 물과 위생
051 SDGs와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052 협동조합과 SDGs
053 기후위기와 SDGs
054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
055 생물종 다양성과 SDGs
056 SDGs 이행을 위한 주민참여예산제
057 SDGs 선언
058 SDGs 매니페스토
059 SDGs와 지방정부
060 Urban SDGs 현지화
061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시행령과 지자체 SDGs 대응 과제
062 지자체 SDGs 이행・실천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와 프로세스
063 SDGs 현지화 추진 과정과 원칙
064 SDGs 현지화와 사회적 학습
065 정부(지자체)와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도입, 채택 시 얻는 효과
066 SDGs 거버넌스의 전제: 사회적 학습과 경험의 교환
067 SDGs와 거버넌스(Governance)
068 도시 SDGs 거버넌스와 제도화
069 SDGs 이행실천을 위한 시정 협치 역량 점검과 평가
070 지자체 SDGs-ESG 로컬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의 3가지 관점
071 일본 정부의 SDGs 이행 실천

4부 ESG
072 ESG 개괄
073 ESG 개념
074 사회적 책임(CSR), 사회적 가치(CSV), ISO 26000과 ESG·SDGs
075 ESG와 SDGs의 관계
076 ESG와 SDGs의 기대효과
077 ESG의 세계적 확산 요인
078 ESG의 관련 규제 가속화와 공시 의무화
079 ESG 인프라 고도화 방안
080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
081 ESG 규정
082 ESG 조례
083 ESG 투자
084 택소노미(Taxonomy)
085 파리협정(Paris Agreement)과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086 탄소중립(Net zero)
087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088 탄소세
089 탄소 정보공개 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CDP)
09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091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 범위(Scope 1, 2, 3)
092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
093 전력 직거래(Power Purchase Agreement, PPA)
094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s, RPS)
095 RE100과 CF100
096 녹색채권(Green Bond)
097 사회적 임팩트 투자(Social Impact Investment, SII)
098 글로벌 보고 이니셔티브(Global Reporting Initiative, GRI)
099 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SASB)
100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CFD)
101 국제표준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ISSB)
102 해외 ESG 평가기관
103 국내 ESG 평가기관
104 이해관계자(Stakeholder)
105 ESG 거버넌스
106 SDGs 경영 나침반
107 기업과 SDGs·ESG 경영
108 SDGs·ESG 경영 전략과 과제
109 중소기업 ESG 경영 (1)
110 중소기업 ESG 경영 (2)
111 ESG 경영과 기업 행동 헌장
112 인문학과 ESG 경영
113 ESG와 문화의 만남
114 ESG 행정
115 지자체 ESG
116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작성 프로세스
117 실용주의와 SDGs·ESG (1)
118 실용주의와 SDGs·ESG (2)

<좌담> ESG 경영, 기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ESG 경영, 기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 1
ESG 경영, 기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 2: 중소기업 ESG
ESG 경영, 기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 2: K-ESG 가이드라인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이창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하며 사회운동, 지속가능발전과 협치, 도시 지속가능성을 연구했다. 한국방송통신대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이’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중국 남경대학(南京大學)에서 SDGs 한·중·일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 2021년부터 신경주대학교 대학원 SDGs·ESG 경영학과와 학부 ESG 경영학과 교수(학과장)로 재직했고, 신경주대 SDGs·ESG 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관심 분야는 도시와 대학 SDGs, ESG 경영, 거버넌스(협치·협동), 지방상생이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평가 자문위원으로 활동했고 현재는 한국NGO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편집위원장,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위원, SDSN Korea 집행위원, 한국지속가능캠퍼스협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공저, 이학사, 20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선정),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로컬거버넌스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공저, 살림터,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작 지원 선정), 『열린사회와 21세기: 마을에서 희망을 찾다』(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 한국형 마을 만들기의 역사·이론·실제』(공저, 지식의 날개, 2015), 『옛길이 들려주는 이야기 (삶과 문화의 현장을 찾아서)』(공저, 지식의 날개, 2017.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시민행동지수로 본 한국시민사회역량』(공저, 유나기획, 2020), 『한국인의 에너지, 실용주의: 현세주의에서 실리주의로』(피어나, 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역동적 한국인의 탄생: 한국인의 5가지 에너지를 분석한다』(공저, 피어나, 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역동적 한국인의 미래: 개인과 존중의 시대를 향해 』(공저, 피어나, 202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SDGs 교과서』(선인, 2022), 『SDGs 다가서기』(공저, 선인, 20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예술과 예술교육』(공저, 한국예술연구소, 2024) 등이 있고 『지속가능성의 도전』(공역, 도요새, 2013. 환경부 우수환경도서 선정) 등의 번역서가 있다. 최근 4년 간 「SDGs 현지화를 위한 자발적 지역 검토(VLR) 프로세스 연구」, 「중국의 ESG 연구 및 정책 동향 분석」 등 20여 편의 SDGs?ESG 논문을 등재했다.
펼치기
한정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보기록학과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박사를 수료했다. 현재 평택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외래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논문으로는 「주민주도형 아카이브 만들기: 구술기록을 활용한 마을이야기」, 「평택시 생애사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민간아카이브 활동 방안 연구」 등이 있고, 단행본으로는 『우리 마을을 기록합니다: 지역 아카이브 이론에서 사례까지』(공저, 선인, 2023), 『평택을 기억하다, 기록하다』(공저, 책마을 해리X친친북스, 2019), 『사회문제를 보는 새로운 눈』(공저, 선인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오용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음성군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에서 건축학을 수료하고 현재 신경주대학교 대학원에서 SDGs·ESG경영학을 전공하고있다. 협치와 도시의 지속가능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인구 소멸과 SDGs미래도시에 관한 연구 및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차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를 취득했다. 신경주대학교 SDGs·ESG 연구센터 연구위원으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 논문으로는 「한국 SDGs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경상북도 ESG 행정 활성화를 위한 이해관계자 인식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원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으며,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시민사회학과에서 지속가능발전 전공 트랙을 맡아 강의와 연구 지도를 하고 있다. 연구 논문으로는 「복합 위기와 지속가능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효과성과 효능성을 중심으로」, 「MDGs와 SDGs 비교 연구」, 「새로운 시민교육 패러다임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 홀리스틱 교육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한국 사회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지속가능발전, ESG 경영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신경주대학교 대학원에서 SDGs・ESG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부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처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한국NGO학회 편집간사로 활동하며 SDGs와 ESG 경영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SDGs 다가서기』(공저, 선인, 2023)가 있다.
펼치기
이창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하며 사회운동, 지속가능발전과 협치, 도시 지속가능성을 연구했다. 한국방송통신대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이’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중국 남경대학(南京大學)에서 SDGs 한·중·일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 2021년부터 신경주대학교 대학원 SDGs·ESG 경영학과와 학부 ESG 경영학과 교수(학과장)로 재직했고, 신경주대 SDGs·ESG 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관심 분야는 도시와 대학 SDGs, ESG 경영, 거버넌스(협치·협동), 지방상생이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평가 자문위원으로 활동했고 현재는 한국NGO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편집위원장,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위원, SDSN Korea 집행위원, 한국지속가능캠퍼스협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공저, 이학사, 20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선정),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로컬거버넌스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공저, 살림터,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작 지원 선정), 『열린사회와 21세기: 마을에서 희망을 찾다』(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 한국형 마을 만들기의 역사·이론·실제』(공저, 지식의 날개, 2015), 『옛길이 들려주는 이야기 (삶과 문화의 현장을 찾아서)』(공저, 지식의 날개, 2017.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시민행동지수로 본 한국시민사회역량』(공저, 유나기획, 2020), 『한국인의 에너지, 실용주의: 현세주의에서 실리주의로』(피어나, 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역동적 한국인의 탄생: 한국인의 5가지 에너지를 분석한다』(공저, 피어나, 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역동적 한국인의 미래: 개인과 존중의 시대를 향해 』(공저, 피어나, 202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SDGs 교과서』(선인, 2022), 『SDGs 다가서기』(공저, 선인, 20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예술과 예술교육』(공저, 한국예술연구소, 2024) 등이 있고 『지속가능성의 도전』(공역, 도요새, 2013. 환경부 우수환경도서 선정) 등의 번역서가 있다. 최근 4년 간 「SDGs 현지화를 위한 자발적 지역 검토(VLR) 프로세스 연구」, 「중국의 ESG 연구 및 정책 동향 분석」 등 20여 편의 SDGs?ESG 논문을 등재했다.
펼치기
이승열 (옮긴이)    정보 더보기
新潟大學 法學部
펼치기
이현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株式會社サンデジタルシステム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