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협조적 노사관계의 행방

협조적 노사관계의 행방

(전후 일본의 노동과 경영의 변용)

정진성, 우종원, 임채성, 선재원, 김삼수, 김양태, 에노키 가즈에 (지은이)
박문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50원 -5% 0원
95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협조적 노사관계의 행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협조적 노사관계의 행방 (전후 일본의 노동과 경영의 변용)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98468132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3-12-10

책 소개

현재 일본에서는 비정규직의 급증, 과로사의 다발, 워킹푸어(the working poor)의 등장 등 과거 노동현장 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내외적 충격으로 인해 일본 노사관계가 변용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목차

서장/ 일본 경제와 노사관계의 전개
1. 과제 설정
2. 전전 일본 노사관계의 전개와 이를 둘러싼 논점
3. 전후 일본 노사관계의 전개와 이를 둘러싼 논점

제1부/ 전전기(戰前期) 일본 노사관계의 전개와 공장위원회
1. 공장위원회의 역사적 위용과 문제의식
2. 1920년대 공장위원회의 설치와 운영
3. 1930년대 공장위원회의 확대와 변용
4. 전전기 노사협조의 경험과 전후사적 의의

제2부/ 패전 직후 일본의 구조조정정책과 노사관계
1. 전후 협조적 노사관계의 출발
2. 구조조정정책과 노사관계
3. 개별 기업의 구조조정과 노사관계: 쇼와전공 사례 분석
4. 구조조정과 노동조합의 공인

제3부/ 고도성장기 일본의 노사관계: 기업별조합 체제의 성립을 중심으로
1. 고도경제성장과 기업별조합 체제
2. 집단적 노사관계 정책과 일경련의 노사관계 구상
3. 산업별조합 운동의 좌절과 기업별조합 체제의 성립
4. 춘투의 기능과 한계
5. 기업별조합 체제와 노사협의제

제4부/ 에너지혁명기 일본 석탄산업의 노동운동: 석탄정책전환투쟁을 중심으로
1. 에너지혁명과 석탄산업의 사양화
2. 탄로의 합리화반대투쟁의 좌절
3. 정책전환투쟁의 전개
4. 탄로의 방향 전환
5. 정책전환투쟁의 성과
6. 정책전환투쟁의 귀결

제5부/ 저성장기 일본 노사관계의 동요와 재편: 1970-1980년대를 중심으로
1. 문제제기: 저성장기 노사관계의 변화
2. 고도경제성장과 분쟁적 안정구조의 노사관계
3. 석유 위기와 노사관계의 동요와 재편
4. 비(非)분쟁적 협조주의 노사관계와 노동조합
5. 결론을 대신해서: 개별적 노사관계 강화의 귀결

제6부/ 세계화와 일본의 기업별조합: ‘종업원 주권’의 패러독스
1. 문제 제기: 세계화와 노동조합
2. ‘종업원 주권’의 행사주체로서의 기업별조합
3. 렌고와 기업별조합
4. A사의 고용관리 및 임금관리
5. ‘현장력’의 행방
6. 결론을 대신해서: ‘종업원 주권’의 패러독스

제7부/ 일본의 고용 관행과 젠더: 결혼퇴직을 중심으로
1. 젠더 문제로서의 결혼퇴직 관행
2. 역사적 전제
3. 전후 결혼퇴직의 제도화
4. 결혼퇴직제의 ‘해소’
5. 고도성장기 이후의 여성 노동
6. 결혼퇴직 관행의 경제적 합리성과 젠더 문제

참고문헌/영문초록/찾아보기/부록

저자소개

정진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경제사학회 회장 『일본비평』 편집위원장 역임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명예교수 최근 주요 연구 『일본경영사』, 한울, 2001(원저: 宮本又郞 외 4인, 『日本經營史』, 有斐閣, 1995) 「석유위기 후 가마이시제철소의 합리화 사례 연구: 원만한 구조조정 조건의 모색」, 『일본비평』 제20호, 2019. 2 “Japan’s Special Procurement in the 1950s and the Cold War Structure,” Seoul Journal of Japanese Studies, Vol. 6, No. 1,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0. 10 「함경선 개통과 원산의 지역 경제」, 『경제사학』 제46권 제3호(통권 제80호), 2022. 12
펼치기
우종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도쿄 대학교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일본 사이타마 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임 중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身分の取引」と日本の雇用慣行 ―??の事例分析―』,『?使?係の日韓比較 ―トヨタ自動車と現代自動車を素材として―』,『社?政策??誌』등이 있다.
펼치기
임채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경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일본 릿쿄대학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주제는 일본 경제의 역사적 전개이지만, 분석의 관점을 일본에만 한정하지 않고 오히려 조선・한국, 대만, 중국대륙 등 동아시아의 상호 교류에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위생과 건강, 식료 등 새로운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 일본, 대만, 중국의 비교사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화북교통의 중일전쟁사』『동아시아 안의 만철: 철도 제국의 프론티어』『건강조선: 식민지에서의 감염증・위생・신체』가 있고, 그 외 공저 및 논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선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평택대학교 국제지역학부에서 2002년부터 가르치고 연구해 왔으며, 2017년부터 사학혁신 교육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학생들의 잠재능력과 합의경험을 키우는 토론수업 방식을 고수하며 개선해 왔고, 노사관계의 역사를 노동자의 능력에 대한 평가의 역사로 재해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헌법으로 합의된 교육기회 균등 추구의 권리(31조)를 대학생에게 적용시키기 위해 사학혁신 교육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학력] 1986 서울시립대 경상대학 무역학과 졸업 1993 일본 동경대 경제학연구과 석사 1996 일본 동경대 경제학연구과 박사 1996~1999 일본 동경대 경제학연구과?경제학부 조수(文部敎官) 2000~2002 미국 하버드대 방문학자(라이셔워일본연구소?경제학부) [저서] 『近代朝鮮の雇用システムと日本: 制度の移植と生成』(東京大學出版會, 2006) 『사회적 합의의 역사적 교훈: 일본의 구조조정과 노사정관계, 1890-1990』(해남, 2015) [편저] 『韓????展への?路: 解放????復興』(日本??評論社, 2013) 『韓????展の始動』(日本??評論社, 2018) [공저] 『復興期の日本經濟』(東京大學出版會, 2002) 『高度成長始動期の日本??』(日本??評論社, 2010) 『高度成長展開期の日本??』(日本??評論社, 2012) 『일본의 기업과 경영』(한국방송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https://jaewonsun.wordpress.com/
펼치기
김삼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경제학박사)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University of Sydney 객원교수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논문 및 저서: “Wage System Reform in Japan: From Seniority to Performance”, 『韓国資本主義国家の成立過程』(東京大学出版会) 등
펼치기
김양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메이지(明治)대학교 경영학 박사 현)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연구원
펼치기
에노키 가즈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호세이대학 오하라사회문제연구소 준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