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문답의 세계와 깨달음

선문답의 세계와 깨달음(悟道)

(화두, 모름(不會)에 대하여 분석하다)

자명 (지은이)
민족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2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000원 -10% 900원 15,300원 >

책 이미지

선문답의 세계와 깨달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문답의 세계와 깨달음(悟道) (화두, 모름(不會)에 대하여 분석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98742393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4-12-20

책 소개

선사들에게 깨달음은 도달해야 할 목표가 아닌 일상의 매순간 구현해야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선승들이 이용한 수단은 '언어'였다. 언어는 질문자의 알음알이를 깨부수고, 질문자의 의도를 해체하는, 그의 무명을 지적하는 수단이었다.

목차

제1부, <선문답의 세계와 깨달음>

Ⅰ. 서론-연구의 목적과 그 방법

Ⅱ. 조사·간화선의 선문답
1. 覺省的 선문답
1) 선문답 발생 2) 覺省的 질문
2. 覺性的 선문답
1) 覺性的 질문
(1) 無念 추구 (2) 성품 자각
2) 無修的 수행
3. 간화적 선문답
1) 公案 연구 2) 화두 참구 3) 疑情 유지

Ⅲ. 선문답의 疑情
1. 覺省 유도
1) 논리적 충돌 2) 자기 통찰 3) 격외적 논리
2. 疑情 발생
1) 疑情의 발생원리 2) 疑情 발생 4단계
(1) 疑心 (2) 疑問 (3) 疑情 (4) 疑團

Ⅳ. 선문답의 원리와 특징
1. 선문답의 內在的 원리
1) 緣起法的 원리 2) 중관철학적 원리 3) 表詮遮詮의 원리 4) 全揀全收의 원리
2. 선문답의 표현 논리
1) 卽時的 표현 2) 不二的 표현 3) 逆說的 표현 4) 格外的 표현
3. 선문답의 특징
1) 탈개념적 대화 2) 일상생활 대상 3) 일상용어 사용

Ⅴ. 선문답의 구조적 분석
1. 내용적 분석
1) 마음의 두 가지 의미 2) 머물 수 없는 경지 3) 잡을 수 없는 平心
2. 형식적 분석
1) 일상 當處 2) 意圖 해체 3) 無明 지적 4) 本來 모습 5) 反問적 覺省

Ⅵ. 선문답의 傳法的 성격
1. 覺省的 성격
1) 問答的 성격 2) 指月的 성격
2. 相談的 성격
1) 선문답과 상담의 방향 2) 선문답과 상담의 차이
(1) 대상의 차이 (2) 접근 방식의 차이
3. 覺省과 相談의 상호작용
1) 상담시 覺省의 효과 2) 覺省時 상담의 효과

Ⅶ. 선문답의 한계와 적용
1. 간화선의 문제점
1) 大慧看話의 정신
2) 蒙山看話의 변질
3) 간화수행의 문제
(1) 문제의 원인 (2) 화두인식의 문제
2. 선문답의 활성화
1) 선문답의 복합 구조 2) 疑情 발생의 필연성 3) 선문답의 상담 효과
4) 현대적인 간화수행

Ⅷ. 결 론

제2부, <간화선의 핵심 주제들>

Ⅰ. 화두의 모름[不會]에 대하여 분석하다.
1. 서론
2. 화두의 속성
1) 모르는 것 2) 논리적 충돌
3. 화두의 구조
1) 화두의 외면적 구조 2) 화두의 내면적 구조 3) 화두의 중의성
4. 결론

Ⅱ. 알음알이(분별심)의 분석
1. 서론
2. 알음알이의 정의
3. 알음알이의 시원
4. 알음알이의 원리
5. 알음알이의 특징
1) 한 가지 기준을 가진 사고방식
2) 일관된 논리이므로 마침내 벽이 있다
3) 개념화 되어 있는 논리구조이다
6. 알음알이의 변천
1) 초기선 시대의 알음알이
2) 혜능의 알음알이
(1) 淸淨 (2) 見性 (3) 無念 (4) 無住
7. 알음알이의 영향
1) 비밀주의와 인가 2) 주체에 대한 오해 3) 無念, 無憶, 無着의 오해 4) 境地的 추구
8. 결론

Ⅲ. 간화 간병론과 화두 참구
1. 서론
2. 간화 이전의 禪病
1) 초기선의 경책
2) 無門慧開의 禪箴
(1) 禪箴의 이해 (2) 禪箴의 壁觀的 이해

3. 간화간병론
1) 대혜의 간화십종병
(1) 간화십종병의 내용 (2) 간화십종병의 벽관적 이해
2) 몽산의 無字十節目
(1) 무자십절목의 내용 (2) 무자십절목의 벽관적 이해
4. 간화병의 주된 내용
1) 馳求心
2) 知解
3) 간화십종병에 대한 대응책
5. 疑心의 출처
6. 결론

Ⅳ. 달마 벽관의 개념과 정의
1. 서론
2. 壁觀의 개요
1) 벽관의 정의 2) 벽관의 원리 3) 벽관의 한계 4) 벽관의 발생구조
5) 벽관의 문제점
(1) 수행자의 심리상황 (2) 질문의 素材 변화
3. 壁觀의 형태
1) 受動的 벽관
(1) 달마의 벽관 (2) 혜가의 벽관 (3) 승찬의 벽관
2) 內在的 벽관
(1) 道信의 벽관 (2) 弘忍의 벽관
3) 能動的 벽관
4. 벽관의 사상적 변화
1) 변화의 원인
2) 변화의 경향
(1) 벽관의 內在化 (2) 알음알이의 附加 (3) 알음알이의 拒否
3) 변화의 영향
(1) 諸祖苦功節要 (2) 壁觀의 話頭化 (3) 알음알이를 부정 (4) 相談的 傳法 불능
(5) 文字禪 발생의 원인
5. 결론

Ⅴ. 고봉『 선요』 비판

1. 서론
2. 고봉의 수행과정
1) 고봉의 출가와 수행
2) 개오
(1) 生從何處來 死向何處去 (2) 無字화 수행 (3) 萬法歸一話 수행 (4) 개가 뜨거운 기름 솥을 핥다 (5) 꿈 속에도 주인공이 있더냐? (6) 大悟
3.『 선요』와『서장』의 시각 차이
1) 화두의 개념
2) 화두를 드는 방식
3) 疑情을 유지하는 과정
(1) 대혜의 간화 (2) 고봉의 간화
4) 득력처의 차이
(1) 대혜의 省力處 (2) 고봉의 득력처
5) 깨달음에 대한 입장
6) 대분심
4. 결론

Ⅵ. 몽산 간화 비판
1. 서론
2. ‘발견하는 화두’와 ‘만드는 화두’
1) 대혜의 ‘발견하는 화두’
(1) 화두의 소재 (2) 壁觀적 화두
3. 몽산의 생애분석
1) 간화 동기 2) 출가동기 3) 悟道
4. 몽산의 좌선과 화두개념
1) 좌선의 개념 2) 무자화두의 일구
5. 수행과정
1) 三程節 2) 思量分別 3) 惺惺 4) 話頭十節目
6. 삼관어와 인가
1) 三關語 2) 印可
7. 결론

-색 인-

저자소개

자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필자 자명스님은 1979년 해인사 백련암으로 출가하였습니다. 그후 지리산 벽송사를 비롯하여 문경봉암사, 괴산 공림사, 현풍도성암등 당시에 쟁쟁하던 선원에서 참선을 수행하였습니다. 1988년 상경하여 잠실 불광사에서 전법의 길에 매진하였습니다. 1996년에는 신림동에 마하보리사를 창건하였고 불교방송에서 강의하였으며, 2000년에는 서울대 불교학생회를 시작으로 이화여대, 포항공대, 경희한의대, 제주교대등 전국적으로 대학생에게 불법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2011년에는 동국대에서 선문답으로 논문을 써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제방에서 참선지도와 고성염불 수행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선문답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생활 속에 존재하는 화두를 찾아서 발견하는 것이다. 생소하고 황당한 화두를 연구하여 생활과 연결시키는 데는 장기간의 수행이 필요하다. 특히 옛 조사들의 공안은 문법이나 사회분위기를 이해할 때까지는 남의 나라 이야기일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많은 수행자들은 특별한 주제에서 의정을 찾았기 때문에 의심이 돈발하는 기회가 오기 어려웠다.
그래서 먼저 우리 사고방식의 복합구조(現在意識과 潛在意識)를 이해한 후 선문답도 같은 구조라는 것을 발견하면 선문답은 아주 쉬운 수행이 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우리 생활에 일어나는 모든 문제는 전부 의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특히 부부생활이나 육아문제, 직장생활, 인간관계 등 처처에 존재하는 의문점을 발견하고 연구한다면 누구나 짧은 시간에 쉽게 지혜를 발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런 다음 내담자가 의문을 가진 사람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때 선문답의 상담효과가 드러난다. 그때 상담자의 입장은 선문답으로 의정을 살려서 무명을 각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 그냥 상담하는 순간에만 선문답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의정을 발견하고 난 후에는 日用四時에 어디서나 선 수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하여 현대인들에게 일상생활 속에서 문제의식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의정을 확인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현대인의 생활에서 간화선이 살아날 수 있는 길이며 부처님의 원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누구나 자신의 앎에 근거하여 말하고 자신의 사고방식을 기준으로 세상을 인지하고 살아간다. 그러나 이렇게 자신의 세계를 만들고 자신만의 사고방식에 근거하여 말하고 보고 있다는 사실을 몰각하므로 선지식이 수행자에게 자신의 앎에 근거해서 보는 지해(知解)가 모순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식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공부는 하나를 더 아는 것이 아니라고 말할 뿐 아니라 오히려 자신만의 앎을 포기할 때, 즉 자신만의 알음알이를 포기할 때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앎(眞理)을 얻고 깨달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때의 알음알이는 수행자가 가지고 있는 어떠한 생각이라도 빼놓지 않고 모두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것은 알음알이가 되고 저것은 알음알이가 아닌 것이 아니라, 보고 듣고 아는 모든 것을 수행자의 알음알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행자가 얼핏 잘못 생각하면 선지식이 아무 이유 없이 모든 것을 부정하기만 하거나 고정관념을 부수기 위한 것이 목적이라고 잘못 생각하여 오해할 수도 있다.


이 세상의 모든 법은 한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인간의 사고방식은 감각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언제나 하나의 기준을 가지고 이루어져 있다. 즉 나란 존재를 기준으로 원급법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래서 언제나 사물을 자신만의 기준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으므로 하나의 기준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하나의 기준으로 이루어진 사고방식으로 형성된 앎을 알음알이라고 부른다. 알음알이는 반드시 하나의 기준과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단 그 하나의 기준과 근거가 모호하다는 사실을 몰각하고 있을 뿐이므로 알음알이라고 칭한다. 이것이 알음알이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869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