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독도를 지키는 우리 야생화

독도를 지키는 우리 야생화

(국내 최초 독도 식물 57종 총수록)

박선주, 정연옥 (지은이)
깊은나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4,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000원 -10% 450원 7,650원 >

책 이미지

독도를 지키는 우리 야생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독도를 지키는 우리 야생화 (국내 최초 독도 식물 57종 총수록)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꽃과 나무
· ISBN : 9788998822422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7-11-20

책 소개

독도에서 가장 오래된 터주대감 나무는 무얼까? 독도에는 소나무가 있을까, 없을까? 봄부터 겨울까지 계절별로 독도의 야생식물들을 구분하고, 오늘의 독도 야생화 57종에 대해 각각의 현지 촬영 사진을 수록하는 한편 생태적 특성, 식물학적인 여러 기작과 서식지 천이과정 등을 잔잔한 이야기로 풀어 쓰고 있다.

목차

서문 독도의 야생화가 갖는 의미

1장 독도의 봄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갓 독도의 봄을 알리는 식물 14
갯괴불주머니 괴불주머니를 닮은 독도의 장난감 18
개쑥갓 태어나자 마자 늙어 버린 꽃 22
갯장대 굿판에 사용하는 깃대 26
댕댕이덩굴 채반, 조리, 소쿠리를 만드는 식물 32
도깨비쇠고비 독도의 유일한 고사리 종류 36
땅채송화 독도의 귀염둥이 40
마디풀 독도의 아픔을 대변하는 마디풀 44
민들레 결혼하지 않고 자식을 낳는 꽃 48
방가지똥 노란똥을 분비하는 만능풀 52
별꽃 독도의 땅에 뿌려진 별 56
비짜루 기침에 아주 좋은 야생화 60
산달래 마늘의 대용 식물 64
새포아풀 햇빛을 싫어하는 식물 69
섬괴불나무 괴불을 닮은 꽃 72
질경이 밟아도 밟아도 살아남는 끈기 있는 식물 76
참빗살나무 먹으면 설사를 일으키는 식물 80
참소리쟁이 독도의 소리꾼 84
초종용 독도의 유일한 기생식물 88
콩다닥냉이 냉이의 가장 가까운 친구 92
큰개미자리 개미를 먹여 살리는 풀 96
큰두루미꽃 보석처럼 아름다운 꽃 99
큰이삭풀 보리처럼 생겼지만 먹지 못하는 식물 102

2장 독도의 여름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가는갯는쟁이 독도의 염생식물 108
가는명아주 꽃잎이 없는 식물 112
개머루 곤충들이 가장 좋아하는 꽃 116
개밀 먹지 못하는 밀가루 120
갯까치수영 독도의 향기 124
갯사상자 뱀이 좋아하는 풀 129
갯제비쑥 연미복처럼 예쁜 잎을 가진 야생화 133
까마중 독도의 귀화식물 137
닭의장풀 닭의 혓바닥을 닮은 풀 141
돌피 공기총 탄환으로 이용하는 종자 145
바랭이 강인한 생명력을 소유한 식물 149
박주가리 겨울을 날 수 있는 보온재 식물 153
사철나무 독도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157
산쑥 울릉도와 독도에만 자라는 쑥 162
선괭이밥 고양이에게 좋은 식물 166
섬기린초 전 세계에서 울릉도와 독도에만 자라는 식물 170
섬초롱꽃 남을 위해 기도하는 식물 174
쇠무릎 무릎관절에 특효약 178
쇠비름 우리 몸의 독을 빼주는 장수식물 182
술패랭이꽃 독도의 추위에 머리를 풀어헤친 꽃 186
왕호장근 독도 어부들의 비상 식량 190
참나리 가장 지체 높은 꽃 196
큰방가지똥 단백질이 풍부한 식물 200

3장 독도의 가을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강아지풀 개의 꼬리를 닮은 풀 208
갯강아지풀 바닷가 근처에서만 자라는 강아지풀 212
금강아지풀 노란 강아지 꼬리를 닮은 식물 216
둥근잎나팔꽃 나팔을 닮은 꽃 220
번행초 위장에 좋은 한국산 시금치 224
보리밥나무 새들이 좋아하는 열매 228
왕김의털 김에 붙어 있는 가느다란 털 232
참억새 옛날에 지붕을 만드는 데 사용했던 식물 235
해국 독도의 대표꽃 239
흰명아주 독도의 약용식물 246

4장 독도의 겨울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동백나무 추운 겨울에 꽃을 피우는 야생화 252

참고자료 258
학명색인 263

저자소개

박선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생물학과에서 식물분류학전공으로 이학박사를 취득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자원식물학회 부회장, 지방대구환경청 전문위원, 과학기술부 엠버서더(과학홍보대사), 경상북도 문화재 전문위원, 자연보호 중앙협의회 학술이사, 자연보존협회 대구, 경북지부장, 한국식물분류학회 이사, 자원식물학회 편집위원 및 상임이사, 한국식물학회 이사, 미국식물분류학회, 미국식물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통령상, 환경부장관상, 식물분류학회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저서로는《생물의 세계》, 《기초생명과학》, 《자연생태길라잡이》, 《식물계통분류학》, 《생명과학》, 《압량벌에 핀 아름다운 야생화》, 《식물형태학》 외 다수의 국내외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연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대학원 농학박사.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과 교수(현).야생화연구소 소장[원우바이오텍](현). 경남 산청 한방항노화 포름 산업위원(현). 야생화 개인사진전 6회 개최. 한국자원식물학회 상임이사, 한국약용작물학회 정회원. 한국임상보건과학회 이사. 저서로는 『야생화 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 『야생화 약초도감>, 『야생화 백과사전-봄편/여름편/가을편』, 『지리산의 야생화 약용식물-상/하』, 『야생화 산약초도감』, 『사계절 야생화 도감』, 『우리 야생난』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독도에 자생하는 귀화식물 갓은 꽃말이 ‘무관심’인 것처럼 다른 식물에 무관심하면서 빠른 속도로 자기 영역을 넓혀가고 있기 때문에 주변 식물들과의 관계를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독도에 잘 정착하는 것은 좋은데 자생식물을 밀어내어 자기 영역을 너무 넓히면 독도 식물의 다양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되는 것이다. 독도에 다른 식물들이 자연스럽게 들어와서 생태계를 이루는 것은 좋지만 일부 식물들이 자생식물들을 몰아내는 현상도 경계해야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독도의 식물을 연구하다 보면 독도의 식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하는 궁금증이 많아진다. 우리나라의 내륙, 울릉도, 일본, 러시아, 아니면 필리핀 쪽일까? 도대체 독도의 식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궁금해진다. 요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DNA를 이용한 집단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 독도의 식물 기원이 어디인지 밝힐 수 있으며, 독도의 식물들이 다른 지역으로 어떻게 이동하고 확산되었는지 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98822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