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꽃과 나무
· ISBN : 9788998822422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7-11-20
책 소개
목차
서문 독도의 야생화가 갖는 의미
1장 독도의 봄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갓 독도의 봄을 알리는 식물 14
갯괴불주머니 괴불주머니를 닮은 독도의 장난감 18
개쑥갓 태어나자 마자 늙어 버린 꽃 22
갯장대 굿판에 사용하는 깃대 26
댕댕이덩굴 채반, 조리, 소쿠리를 만드는 식물 32
도깨비쇠고비 독도의 유일한 고사리 종류 36
땅채송화 독도의 귀염둥이 40
마디풀 독도의 아픔을 대변하는 마디풀 44
민들레 결혼하지 않고 자식을 낳는 꽃 48
방가지똥 노란똥을 분비하는 만능풀 52
별꽃 독도의 땅에 뿌려진 별 56
비짜루 기침에 아주 좋은 야생화 60
산달래 마늘의 대용 식물 64
새포아풀 햇빛을 싫어하는 식물 69
섬괴불나무 괴불을 닮은 꽃 72
질경이 밟아도 밟아도 살아남는 끈기 있는 식물 76
참빗살나무 먹으면 설사를 일으키는 식물 80
참소리쟁이 독도의 소리꾼 84
초종용 독도의 유일한 기생식물 88
콩다닥냉이 냉이의 가장 가까운 친구 92
큰개미자리 개미를 먹여 살리는 풀 96
큰두루미꽃 보석처럼 아름다운 꽃 99
큰이삭풀 보리처럼 생겼지만 먹지 못하는 식물 102
2장 독도의 여름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가는갯는쟁이 독도의 염생식물 108
가는명아주 꽃잎이 없는 식물 112
개머루 곤충들이 가장 좋아하는 꽃 116
개밀 먹지 못하는 밀가루 120
갯까치수영 독도의 향기 124
갯사상자 뱀이 좋아하는 풀 129
갯제비쑥 연미복처럼 예쁜 잎을 가진 야생화 133
까마중 독도의 귀화식물 137
닭의장풀 닭의 혓바닥을 닮은 풀 141
돌피 공기총 탄환으로 이용하는 종자 145
바랭이 강인한 생명력을 소유한 식물 149
박주가리 겨울을 날 수 있는 보온재 식물 153
사철나무 독도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157
산쑥 울릉도와 독도에만 자라는 쑥 162
선괭이밥 고양이에게 좋은 식물 166
섬기린초 전 세계에서 울릉도와 독도에만 자라는 식물 170
섬초롱꽃 남을 위해 기도하는 식물 174
쇠무릎 무릎관절에 특효약 178
쇠비름 우리 몸의 독을 빼주는 장수식물 182
술패랭이꽃 독도의 추위에 머리를 풀어헤친 꽃 186
왕호장근 독도 어부들의 비상 식량 190
참나리 가장 지체 높은 꽃 196
큰방가지똥 단백질이 풍부한 식물 200
3장 독도의 가을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강아지풀 개의 꼬리를 닮은 풀 208
갯강아지풀 바닷가 근처에서만 자라는 강아지풀 212
금강아지풀 노란 강아지 꼬리를 닮은 식물 216
둥근잎나팔꽃 나팔을 닮은 꽃 220
번행초 위장에 좋은 한국산 시금치 224
보리밥나무 새들이 좋아하는 열매 228
왕김의털 김에 붙어 있는 가느다란 털 232
참억새 옛날에 지붕을 만드는 데 사용했던 식물 235
해국 독도의 대표꽃 239
흰명아주 독도의 약용식물 246
4장 독도의 겨울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동백나무 추운 겨울에 꽃을 피우는 야생화 252
참고자료 258
학명색인 263
책속에서
독도에 자생하는 귀화식물 갓은 꽃말이 ‘무관심’인 것처럼 다른 식물에 무관심하면서 빠른 속도로 자기 영역을 넓혀가고 있기 때문에 주변 식물들과의 관계를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독도에 잘 정착하는 것은 좋은데 자생식물을 밀어내어 자기 영역을 너무 넓히면 독도 식물의 다양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되는 것이다. 독도에 다른 식물들이 자연스럽게 들어와서 생태계를 이루는 것은 좋지만 일부 식물들이 자생식물들을 몰아내는 현상도 경계해야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독도의 식물을 연구하다 보면 독도의 식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하는 궁금증이 많아진다. 우리나라의 내륙, 울릉도, 일본, 러시아, 아니면 필리핀 쪽일까? 도대체 독도의 식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궁금해진다. 요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DNA를 이용한 집단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 독도의 식물 기원이 어디인지 밝힐 수 있으며, 독도의 식물들이 다른 지역으로 어떻게 이동하고 확산되었는지 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