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비평
· ISBN : 9791112000057
· 쪽수 : 170쪽
· 출판일 : 2025-05-28
목차
서문: AI 시대, 다산에게 복지를 다시 묻다 ․ 10
1부. AI 시대, 왜 지금 다산인가
1. 왜 다시 다산인가: 공공성과 인간성의 회복 ․ 21
2. 『목민심서』, 실천가를 위한 철학서 ․ 26
3. AI 시대, 복지의 얼굴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 32
4. 복지의 자동화와 인간 소외의 그림자 ․ 37
5. 복지 철학을 다시 세우다: 다산에서 AI까지 ․ 42
2부. 복지 실천의 근본, 율기(律己)의 태도
1. 율기의 본질: 복지사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 ․ 49
2. 청렴과 절제: ‘나부터’의 복지 윤리 ․ 55
3. 성실과 자기 수양: 일상의 태도가 복지를 결정한다 ․ 61
4. 인간을 향한 책임, 권력보다 겸손 ․ 66
5. AI가 대체할 수 없는 ‘태도’의 힘 ․ 72
3부. 공공을 위한 역량, 봉공(奉公)의 실천
1. 봉공의 의미: 복지사, 리더인가 협력자인가 ․ 79
2. 직무에 대한 이해와 헌신 ․ 85
3. 공공성과 책임, 제도 속 실천의 어려움 ․ 91
4. 행정과 인간의 균형: 수치로 환산되지 않는 것들 ․ 96
5. 기술시대의 복지 조직, 어떤 역량이 필요한가 ․ 101
4부. 마음으로 실천하는 복지, 애민(愛民)의 길
1. 애민의 정신: 사람을 위한 제도, 마음을 잃지 말라 ․ 109
2. 돌봄의 감정노동: 복지사의 상처와 회복 ․ 114
3. 약자를 향한 시선: 통계 너머의 한 사람 ․ 120
4. 감정과 정책 사이, 공감의 균형 찾기 ․ 125
5. AI 시대, 진짜 애민은 어떻게 가능한가 ․ 131
5부. 다산의 눈으로 다시 묻다: AI시대, 인간 중심 복지
1. 복지의 자동화? 인간은 어떤 일을 해야 하는가 ․ 139
2. 인간 중심 복지 모델의 조건 ․ 145
3. 다산 리더십의 현대적 복원 ․ 151
4. 감정·윤리·실천의 균형: 새로운 복지사의 탄생 ․ 156
5. 다산이 오늘의 복지사에게 던지는 질문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