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9112405401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5-10-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_4
*1부. 토기 시대_ 용기(容器)의 분화(分化)
1장. 흙을 활용한 그릇, 토기 _16
1. 고산리유적, 원시 토기 _17
2. 신석기시대, 민무늬 토기-덧무늬토기-누른무늬토기-빗살무늬 토기 _20
3.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 _33
4. 철기시대, 민무늬토기-덧띠 토기-검은간토기 _40
5. 원삼국 시대(초기 철기시대) _44
2장. 그릇의 과도기-토기와 도기 _59
1. 고구려 시대 _60
2. 백제 시대 _70
3. 가야 시대 _94
4. 신라 시대 _118
3장. 토기 시대를 넘어 자기 시대로 _150
1. 후기신라(통일신라) 시대 _150
2. 발해 시대 _164
*2부. 도자기 시대_ 옹기, 청자, 분청자, 백자
1장. 토기의 맥을 잇는 현대식 토기, 옹기 _170
1. 옹기의 개념과 역사 _170
2. 옹기의 종류 _171
3. 옹기 제작 및 장식 디자인 _175
2장. 자신을 비워 삼라만상을 담은 사발, 사기 그릇으로 _180
1. 사발의 종류 _180
2. 시대로 보는 사발 _185
3장. 옥과 같은 비취색의 화려함, 청자 _189
1. 청자의 생산과 특징 _189
2. 고려청자의 역사 _200
3. 청자의 종류와 기법 _210
4장. 거침없는 개성미, 분청사기 _224
1. 분청사기의 개념 _224
2. 분청사기의 특징 _228
3. 분청사기의 종류 _233
5장. 절제된 고급스러움, 유교의 정신을 잇다- 백자 _243
1. 백자의 개념 _243
2. 시대별로 보는 조선백자 _247
3. 제기로 보는 조선 도자기 _251
4. 백자의 종류와 특징 _255
6장. 근대 시기의 도자기 _274
1. 격변의 시기를 맞은 전통 도자기 _274
2. 전통 도자기 재현을 위한 노력 _280
저자소개
책속에서
1장. 흙을 활용한 그릇, 토기
인류는 지난한 기후와 환경을 극복하며 도구의 혁신과 함께 역동적으로 생활방식의 변화를 이어왔다. 구석기시대(뗀석기)에서 신석기시대(간석기)로 발전하며, 그 토대 위에 청동기시대를 열었다.
지구상에 토기가 처음 출현한 시점은 1만 2천 년 전으로 추정하나 공예적 감각의 토기가 등장한 것은 신석기시대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선사시대先史時代 유적지,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1000여 점의 토기 편片은 기원전 1만 년 전 전기 신석기인들 삶이 응축된 조각들이다. 고성 문암리, 전곡리 한탄강 유역, 공주 석장리 금강 유역 등의 유물은 당시 사람들의 주거지 형태와 토기 발전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유적지로는 제주 고산리, 고성 문암리, 서울 암사동, 시흥 오이도, 인천 삼복동, 오산 가장동, 하남 미사리, 서산 휴암리, 충주 조동리, 강릉 초당동, 강릉 판교리·지변동, 양양 오산리, 김해 수가리, 창녕 비봉리, 울산 성암동, 통영 연대도, 부산 동삼동·범방동·금곡동 율리, 청주 소로리, 황해북도 봉산 지탑리, 평양 청호리·어은동 장촌 등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선사유적지에서 신석기시대의 석기 유물(타제석기, 마제석기, 타제석촉, 숫돌, 갈돌 등)과 함께 골각기, 그물추, 패총, 각종 동물 뼈, 움집,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석기시대 수렵과 채집에 있어서, 활용 도구는 돌과 나무였다. 따라서 돌을 분석하고 다루는 기술과 사용법을 공유하고 전달되면서 그 정보를 축적해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