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삶을 덧입은 공예, 우리 도자기

삶을 덧입은 공예, 우리 도자기

김재철 (지은이)
현자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삶을 덧입은 공예, 우리 도자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삶을 덧입은 공예, 우리 도자기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9112405401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5-10-20

책 소개

선사시대 토기부터 근대 도자기에 이르기까지, 우리 선조의 삶과 정신이 깃든 도자 문화의 흐름을 따라간다. 심발형과 호형, 옹형, 시루형 등 다양한 토기의 형태에는 실용과 의례, 삶과 죽음이 함께 스며 있다.

목차

*머리말 _4

*1부. 토기 시대_ 용기(容器)의 분화(分化)
1장. 흙을 활용한 그릇, 토기 _16
1. 고산리유적, 원시 토기 _17
2. 신석기시대, 민무늬 토기-덧무늬토기-누른무늬토기-빗살무늬 토기 _20
3.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 _33
4. 철기시대, 민무늬토기-덧띠 토기-검은간토기 _40
5. 원삼국 시대(초기 철기시대) _44

2장. 그릇의 과도기-토기와 도기 _59
1. 고구려 시대 _60
2. 백제 시대 _70
3. 가야 시대 _94
4. 신라 시대 _118

3장. 토기 시대를 넘어 자기 시대로 _150
1. 후기신라(통일신라) 시대 _150
2. 발해 시대 _164

*2부. 도자기 시대_ 옹기, 청자, 분청자, 백자
1장. 토기의 맥을 잇는 현대식 토기, 옹기 _170
1. 옹기의 개념과 역사 _170
2. 옹기의 종류 _171
3. 옹기 제작 및 장식 디자인 _175

2장. 자신을 비워 삼라만상을 담은 사발, 사기 그릇으로 _180
1. 사발의 종류 _180
2. 시대로 보는 사발 _185

3장. 옥과 같은 비취색의 화려함, 청자 _189
1. 청자의 생산과 특징 _189
2. 고려청자의 역사 _200
3. 청자의 종류와 기법 _210

4장. 거침없는 개성미, 분청사기 _224
1. 분청사기의 개념 _224
2. 분청사기의 특징 _228
3. 분청사기의 종류 _233

5장. 절제된 고급스러움, 유교의 정신을 잇다- 백자 _243
1. 백자의 개념 _243
2. 시대별로 보는 조선백자 _247
3. 제기로 보는 조선 도자기 _251
4. 백자의 종류와 특징 _255

6장. 근대 시기의 도자기 _274
1. 격변의 시기를 맞은 전통 도자기 _274
2. 전통 도자기 재현을 위한 노력 _280

저자소개

김재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대학원 산업미술학과(도자공예 전공) 졸업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예술학과(조형예술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경상북도 도자기 분야 최고장인 1호 선정(2012년), 2010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사기장 32-다호 이수자, 2011년 세계공회가회 임원회의 및 아태지역총회 조직위원장, 2007-2011년 대한민국 공예박람회 운영위원장으로 활동했다. 경상북도 문화상(2008년), 대한민국 철탑산업훈장(2014년), 대구 미술대전 대상, 한국미협 청년작가상, 공모전 60여 회 수상하고, 개인전 10회, 초대전 80여 회 출품, 단체전 200여 회 출품, 50여 회 해외 전시회를 했다. 한국·영국 우정전 초청 기념 한국공예전 (2011), 한국·호주 수교 50주년 초청 한국공예전(2018), 미국 스미소니언 크라프트쇼 초청 한국공예전(2024)을 기획·총괄했다. 현재) 학산 도예 대표, 독도미술관 관장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1장. 흙을 활용한 그릇, 토기

인류는 지난한 기후와 환경을 극복하며 도구의 혁신과 함께 역동적으로 생활방식의 변화를 이어왔다. 구석기시대(뗀석기)에서 신석기시대(간석기)로 발전하며, 그 토대 위에 청동기시대를 열었다.
지구상에 토기가 처음 출현한 시점은 1만 2천 년 전으로 추정하나 공예적 감각의 토기가 등장한 것은 신석기시대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선사시대先史時代 유적지,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선사유적에서 출토된 1000여 점의 토기 편片은 기원전 1만 년 전 전기 신석기인들 삶이 응축된 조각들이다. 고성 문암리, 전곡리 한탄강 유역, 공주 석장리 금강 유역 등의 유물은 당시 사람들의 주거지 형태와 토기 발전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유적지로는 제주 고산리, 고성 문암리, 서울 암사동, 시흥 오이도, 인천 삼복동, 오산 가장동, 하남 미사리, 서산 휴암리, 충주 조동리, 강릉 초당동, 강릉 판교리·지변동, 양양 오산리, 김해 수가리, 창녕 비봉리, 울산 성암동, 통영 연대도, 부산 동삼동·범방동·금곡동 율리, 청주 소로리, 황해북도 봉산 지탑리, 평양 청호리·어은동 장촌 등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선사유적지에서 신석기시대의 석기 유물(타제석기, 마제석기, 타제석촉, 숫돌, 갈돌 등)과 함께 골각기, 그물추, 패총, 각종 동물 뼈, 움집,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석기시대 수렵과 채집에 있어서, 활용 도구는 돌과 나무였다. 따라서 돌을 분석하고 다루는 기술과 사용법을 공유하고 전달되면서 그 정보를 축적해 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