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POD] 한국에서 과학소설은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POD] 한국에서 과학소설은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고장원 (지은이)
부크크(bookk)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000원 -0% 0원
0원
33,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POD] 한국에서 과학소설은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POD] 한국에서 과학소설은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소설론
· ISBN : 9791127217075
· 쪽수 : 766쪽
· 출판일 : 2017-06-13

책 소개

먼저 1부는 구한말 해외과학소설의 번안물로 시작하여 일제시대와 해방을 거치며 부침이 심했던 우리나라의 과학소설이 2010년대 이후까지 살아남으면서 어떻게 장르정체성을 확보하며 한국에서 의미있는 문학적 발자취를 남기려 했는지 그 과정을 통시적으로 짚어보는 역사해설서다.

목차

읽기 전에/ 11
머리말 : 한국 과학소설 100년사를 되돌아보며/ 15

▶ I. 한국과학소설의 역사

우리나라에서 과학소설의 족보는 어디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까? : 한국 과학소설의 원형적 뿌리 / 27

20세기 초 ~ 해방 전(1907~1944): 과학소설의 소개에 그치다!/ 43
-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소설은 <해저여행기담>인가, <철세계>인가?/ 44
- 1909~1920년대, 본격적인 대중과학소설의 등장/ 60
- 1930년대 ~ 해방 전의 과학소설/ 74
- 일제 치하에서 과학소설이 부진했던 이유에 대한 기성문단의 설명은 과연 설득력이 있는가?/ 91

해방 후 ~ 1950년대: 과학소설의 재출발 시기/ 96
- 해방 후 과학소설 둘러보기/ 97
- 우리나라 창작 과학소설의 선구자 한낙원/ 110

1960년대, 초창기 한국SF의 선구자들: 한국SF작가협회의 발족과 문윤성/ 115
- 한국SF작가 협회의 발족과 업적에 대한 평가/ 116
- 청소년 문학시장에서 과학소설의 선전/ 130
- 어른 눈높이를 겨냥한 본격 창작소설, 문윤성의 <완전사회>와 같은 시기의 청소년 창작소설들/ 133

1970년대: 청소년 과학소설 시장의 외형적 성장기/ 140
- 청소년 대상 문고판 과학소설 번역물의 빛과 어둠/ 141
- 한국SF작가클럽의 구심점 서광운과 그의 작품세계/ 151

1980년대: 정중동(靜中動)의 시기/ 157

1990년대: 번역과 창작에서의 본격적인 도약기/ 163
- 온라인 시대의 얼굴 없는 작가, 듀나(이영수)의 등장/ 164
- 복거일의 꾸준한 활동, <역사 속의 나그네>와 <파란 달 아래> 그리고 오랜 공백을 깨고 발표된 문윤성의 단편 <하우 로드의 두 번째 죽음>/ 168
- 과학소설 출판기획자 및 번역자들의 부상/ 170
- 과학소설의 활용에 적극 나선 순문학계/ 179
- 시장발전을 가로막은 청소년 과학소설 출판사들의 근시안적인 행태/ 183
- 과학소설 전문잡지들의 창간과 단명 그리고 일시적으로 부활한 공모전/ 188

2000년대: 바야흐로 기지개를 켜는 한국 과학소설!/ 192
- 기성작가들의 활발한 활동: 복거일과 듀나(이영수)/ 193
- 공모전으로 등단한 작가들의 대거 등장 혹은 귀환/ 197
- 온라인 웹진 [거울]의 동인 작가들/ 207
- 공모전과 [거울] 동인 그리고 순문학계에도 속하지 않는 다양한 출신의 과학소설 작가들/ 223
- 순문학 작가들의 과학소설/ 233
- 과학자 출신 과학소설 작가들/ 245
- 재한 외국인 과학소설 작가들/ 247
- 정기간행물 상에서 과학소설 고정지면의 증가: [판타스틱], [해피SF], [거울], [크로스로드], [미래경]/ 249
- 2000년 이후 출판계 동향 세 가지/ 257
- 과학소설의 대중화를 위한 계몽작업/ 259
- 2000년대의 청소년 과학소설/ 265

2010년대: 21세기 한국 과학소설의 평가 및 향후 과제/ 273
- 한국과학소설 역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274
- 21세기 한국과학소설 작가들의 집필 경향/ 282
- SF전문 문학상의 신설과 수상작가들: SF어워드와 한낙원과학소설상 그리고 황금가지 좀비문학상/ 293
- 한국 과학소설 시장에 남겨진 과제와 바람/ 326

▶ II. 한국 SF작가론

김동인: 창작과학소설의 국내최초 실험/ 335
한낙원: 한국창작과학소설의 선구자, 인정받지 못한 가시밭길/ 347
복거일: 한국창작과학소설의 문학적 완성 - SF, 이제부터 문학을 논하다!/ 385
듀나: 도회적 페미니즘 과학소설, 서구SF와 동시대 패러다임을 공유하다!/ 408
백민석: 한국 사이버스페이스 문학의 소박한 시작/ 448
김영래: 환경보호와 인본주의의 조화, 사상이 담긴 과학소설/ 463
김창규: SF적 사색의 최전선에서 휴머니즘을 논하다!/ 478
정소연: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페미니즘/ 510
배명훈: 시대정신의 해학적인 소화, SF를 마음껏 가지고 놀다!/ 542
김보영: 문학으로서의 과학소설, 한국에도 아름다운 과학소설이 있다!/ 576
박성환: 길이 달라보여도 결국 하나로 통한다? 불교와 과학소설의 융합이 제시하는 비전/ 613
윤이형: 순문학과 장르문학의 간극은 없다! 순문학 작가의 SF 가지고 놀기/ 647
박민규: 과학소설로 세상을 야유하다! 순문학 작가의 SF 가지고 놀기/ 665
백상준: 좀비소설을 통해 바라본 한국사회의 당면문제들/ 681
dcdc: 규칙과 인습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함과 가치 전복적 사고/ 698

▶ [부록1] 북한의 과학소설의 특성과 그 약사(略史) : 프로파겐다 문학의 현실과 그 한계/ 716
▶ [부록2] 2012~2015년 사이 국내 출간된 창작 과학소설 목록/ 741
▶ 참고문헌/ 755

저자소개

고장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칼럼니스트이자 SF작가, 평론가. 2005~2006년 서울벤처정보통신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디지털 마케팅 전공)를 역임했다. 제일기획과 대홍기획, SK그룹 그리고 CJ미디어 등에서 광고와 IT기반 콘텐츠 사업기획 그리고 드라마 제작과 방송연계 비즈니스를 담당했다. 과학창의재단이 후원한 동아사이언스 주최 과학기술창작문예와 과천과학관 주최 SF어워드 심사위원을 수차례 맡았다. 수십 년간 SF와 과학의 긴밀한 관계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으며 〈주간경향〉과 〈사이언스타임즈〉, 〈SK이노베이션 블로그〉 등 여러 매체에 SF와 과학 관련 칼럼을 장기 연재한 바 있다. 《특이점 시대의 인간과 인공지능》과 《SF란 무엇인가?》, 《세계과학소설사》, 《SF의 법칙》, 《외계인신화, 최초의 접촉에서 외계인침공까지》, 《대재앙 이후의 세계와 생존자들》 그리고 《스페이스오페라란 무엇인가?》 등 다수의 관련 저술을 펴냈다. 늘 SF가 미래를 여는 문학의 최전선이라 여기는 이로서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을 하나로 녹여내 과학기술과 인류 사회의 미래를 조망하는 데 관심이 많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