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POD]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1

[POD]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1 (영문판)

(순수이성비판. 1부 (칸트 철학))

임마누엘 칸트 (지은이)
부크크(bookk)
17,3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300원 -0% 0원
0원
17,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POD]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POD]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1 (영문판) (순수이성비판. 1부 (칸트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91127262082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19-02-12

목차

순수이성비판. 1부 (칸트 철학) :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1 (영문판)

World Classic Reading Book
(세계고전문학리딩북)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추천 도서
-연세대 권장도서 200권 추천 도서
-고려대 권장도서 필독서 추천 도서

CONTENTS

PREFACE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1

Introduction
I. Of the difference between Pure and Empirical Knowledge
II. The Human Intellect, even in an Unphilosophical State, is in Possession of Certain Cognitions "a priori".
III. Philosophy stands in need of a Science which shall Determine the Possibility, Principles, and Extent of Human Knowledge "a priori"
IV. Of the Difference Between Analytical and Synthetical Judgements.
V. In all Theoretical Sciences of Reason, Synthetical Judgements "a priori" are contained as Principles.
VI. The Universal Problem of Pure Reason.
VII. Idea and Division of a Particular Science, under the Name of a Critique of Pure Reason.

I. Transcendental Doctrine of Elements
First Part?TRANSCENDENTAL AESTHETIC
§ 1. Introductory
SECTION I. OF SPACE
§ 2. Metaphysical Exposition of this Conception.
§ 3. Transcendental Exposition of the Conception of Space.
§ 4. Conclusions from the foregoing Conceptions.
SECTION II. OF TIME
§ 5. Metaphysical Exposition of this Conception.
§ 6. Transcendental Exposition of the Conception of Time.
§ 7. Conclusions from the above Conceptions.
§ 8. Elucidation.
§ 9. General Remarks on Transcendental Aesthetic.
§ 10. Conclusion of the Transcendental Aesthetic.
Second Part?TRANSCENDENTAL LOGIC
Introduction. Idea of a Transcendental Logic
I. Of Logic in General
II. Of Transcendental Logic
III. Of the Division of General Logic into Analytic and Dialectic
IV. Of the Division of Transcendental Logic into Transcendental Analytic and Dialectic
FIRST DIVISION?TRANSCENDENTAL ANALYTIC
BOOK I. Analytic of Conceptions. § 2
Chapter I. Of the Transcendental Clue to the Discovery of all Pure Conceptions of the Understanding
Introductory § 3
Section I. Of the Logical Use of the Understanding in General. § 4
Section II. Of the Logical Function of the Understanding in Judgements. § 5
Section III. Of the Pure Conceptions of the Understanding, or Categories. § 6
Chapter II. Of the Deduction of the Pure Conception of the Understanding
Section I. Of the Principles of a Transcendental Deduction in general § 9
Transition to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the Categories. § 10
Section II Transcendental Deduction of the pure Conception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Possibility of a Conjunction of the manifold representations given by Sense. § 11.
Of the Originally Synthetical Unity of Apperception. § 12
The Principle of the Synthetical Unity of Apperception is the highest Principle of all exercise of the Understanding. § 13
What Objective Unity of Self-consciousness is. § 14
The Logical Form of all Judgements consists in the Objective Unity of Apperception of the Conceptions contained therein. § 15
All Sensuous Intuitions are subject to the Categories, as Conditions under which alone the manifold Content of them can be united in one Consciousness. § 16
Observation. § 17
In Cognition, its Application to Objects of Experience is the only legitimate use of the Category. § 18
Of the Application of the Categories to Objects of the Senses in general. § 20
Transcendental Deduction of the universally possible employment in experience of the Pure Conceptions of the Understanding. § 22
Result of this Deduction of the Conceptions of the Understanding. § 23
BOOK II. Analytic of Principles
INTRODUCTION. Of the Transcendental Faculty of judgement in General.
TRANSCENDENTAL DOCTRINE OF THE FACULTY OF JUDGEMENT OR, ANALYTIC OF PRINCIPLES.
Chapter I. Of the Schematism at of the Pure Conceptions of the Understanding.
Chapter II. System of all Principles of the Pure Understanding.
Section I. Of the Supreme Principle of all Analytical Judgements.
Section II. Of the Supreme Principle of all Synthetical Judgements.
Section III. Systematic Representation of all Synthetical Principles of the Pure Understanding.
Chapter III Of the Ground of the Division of all Objects into Phenomena and Noumena.
APPENDIX.

저자소개

임마누엘 칸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24년 4월 22일 프로이센(Preußen) 쾨니히스베르크(K?nigsberg)에서 수공업자의 아 들로 태어났다. 1730~32년까지 병원 부설 학교를, 1732~40년까지 오늘날 김나지움(Gymnasium)에 해당하는 콜레기움 프리데리키아눔(Collegium Fridericianum)을 다녔다. 1740년에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 입학해 주로 철학, 수학, 자연과학을 공부했다. 1746년 대학 수업을 마친 후 10년 가까이 가정교사 생활을 했다. 1749년에 첫 저서 『살아 있는 힘의 참된 측정에 관한 사상』을 출판했다. 1755/56년도 겨울학기부터 사강사(Privatdozent)로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자연신학 원칙과 도덕 원칙의 명확성에 관한 연구』(1764)가 1763년 베를린 학술원 현상 공모에서 2등상을 받았다. 1766년 쾨니히스베르크 왕립 도서관의 부사서로 일하게 됨으로써 처음으로 고정 급여를 받는 직책을 얻었다. 1770년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의 논리학과 형이상학을 담당하는 정교수가 되었고, 교수취임 논문으로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를 발표했다. 그 뒤 『순수이성비판』(1781), 『도덕형이상학 정초』(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비판』(1790), 『도덕형이상학』(1797) 등을 출판했다. 1786년 여름학기와 1788년 여름학기에 대학 총장직을 맡았고, 1796년 여름학기까지 강의했다. 1804년 2월 12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고 2월 28일 대학 교회의 교수 묘지에 안장되었다. 칸트의 생애는 지극히 평범했다. 그의 생애에서 우리 관심을 끌 만한 사건을 굳이 들자면 『이성의 오롯한 한계 안의 종교』(1793) 때문에 검열 당국과 빚은 마찰을 언급할 수 있겠다. 더욱이 중년 이후 칸트는 일과표를 정확히 지키는 지극히 규칙적인 삶을 영위한다. 하지만 단조롭게 보이는 그의 삶은 의도적으로 노력한 결과였다. 그는 자기 삶에 방해가 되는 세인의 주목을 원하지 않았다. 세속적인 명예나 찬사는 그가 바라는 바가 아니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