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28800962
· 쪽수 : 126쪽
· 출판일 : 2019-10-07
책 소개
목차
01 디벨로퍼의 개념과 위상
02 디벨로퍼의 역할과 기능
03 부동산개발업법
04 디벨로퍼 현황
05 부동산 개발 시장 참여자
06 부동산 개발 리스크
07 민관공모형 PF 프로젝트
08 공공디벨로퍼
09 도시재생과 디벨로퍼
10 인구.지방소멸 시대와 디벨로퍼의 역할
저자소개
책속에서
디벨로퍼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관련법에 따라 국가로부터 위임받은 사무를 대행하고 있는 한국부동산개발협회(KODA)에 따르면 디벨로퍼는 ‘일반적으로 부동산 관련 개발 사업자’를 일컫는 말로 ‘시장의 수급 상황과 부동산의 잠재력을 정확히 예측하고 판단하여 개발 방안을 마련하고 그 후의 단계들(기획, 용지 확보, 설계)을 거치면서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던 부동산에 새로운 아이디어로 땅의 가치를 비롯한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해 나가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개발 행위의 주체가 공공이냐 민간이냐에 따라 디벨로퍼는 ‘공공 디벨로퍼(LH, 개별 시·도의 공사 등)’와 ‘민간 디벨로퍼’로 구분된다.
-“디벨로퍼의 개념과 위상” 중에서
민관공모형 PF 복합개발사업은 부동산 개발 관련 민간투자의 대표적인 사례다. 따라서 사업 규모가 기존 부동산 개발 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최소 1조 원 이상의 대규모 사업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면에는 최근 추진되는 개발 사업이 공공시설의 확보 등 공공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계획적인 개발을 유도하여 보다 쾌적한 도시 공간을 조성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공모형 PF 사업으로 조성되는 대부분의 복합개발(mixed-use development) 사업이 특정 도시 및 지역의 랜드마크로 추진되어 지자체 간 경쟁심리가 유발되는 측면을 배제할 수 없다(서정렬, 2010).
-“민관공모형 PF 프로젝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