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91128800986
· 쪽수 : 126쪽
· 출판일 : 2019-06-14
책 소개
목차
01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형성
02 엔터테인먼트 기업가 정신
03 엔터테인먼트 경영전략
04 엔터테인먼트 리더십
05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조직 구조
06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생산 · 운영 관리
07 엔터테인먼트 기업 마케팅
08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
09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회계 관리
10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재무 관리
저자소개
책속에서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그 명칭만큼이나 범위가 방대하다. 우리나라에서는 문화 산업, 미국에서는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산업, 영국에서는 창조 산업, 일본은 콘텐츠 산업 등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또한 정책 환경과 특성 또한 나라마다 상이해 아직까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분류체계가 확립되지 못했다. 유네스코는 문화 산업을 ‘유형 또는 무형의 예술적·창조적 결과물을 생산하는 산업으로서 문화자산을 활용하고 지식 기반의 재화와 서비스 생산을 통해 부를 창출하고 소득을 형성하는 잠재성을 지닌 산업’으로 정의한다.
- “전통 경영학 담론을 ‘창의적 산업’에 접목하다” 중에서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콘텐츠 차별화’를 통한 경쟁우위 창출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그러나 오늘이 과거와 달라진 점은, 좋은 스토리라인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하려 할 때 단순히 작가의 필력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팬덤’을 기반으로 형성된 팬 경제는 소비자가 콘텐츠에 참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했다. 소비자 중심 제작 형태가 그것이다. 예를 들어, 오늘날 세계를 휩쓸고 있는 방탄소년단은 확산성 높은 소셜 미디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국내와 해외시장을 동시에 공략했다. 그리고 이들의 팬들이 이 콘텐츠들을 다시 공유해 재생산하는 전략으로 인기를 끌었다.
- “엔터테인먼트 경영전략”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