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영화 분석의 기초 개념](/img_thumb2/9791128801297.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28801297
· 쪽수 : 124쪽
· 출판일 : 2017-06-03
책 소개
목차
01 영화 분석을 위한 준비: 영화 감상과 프로토콜 작성
02 시각 분석 1: 이미지
03 시각 분석 2: 카메라 기법
04 시각 분석 3: 공간
05 서사 분석 1: 드라마투르기
06 서사 분석 2: 서사 기법
07 서사 분석 3: 몽타주
08 청각 분석
09 맥락
10 분석문 작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화 분석은 영화 비평과 다르다. 영화 비평은 영화를 보지 않은 독자에게 영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비평문을 쓰는 사람은 영화를 미리 본 사람으로서 자신의 감상과 평가, 영화의 주요 내용을 독자에게 밝힘으로써 독자가 최종적으로 그 영화를 볼 것인지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준다. … 반면, 영화 분석은 영화라는 현상을 체계적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매체의 고유성을 고려해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영화 분석은 상호주관적인 작업이다. 즉 분석하는 사람의 만족을 위한 것이 아니라 확실한 방법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기 위해 작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작성한 분석문은 그 방식과 결과의 측면에서 검증 가능해야 한다.
“영화 분석의 방법과 의의” 중에서
에드워드 브래니건(Edward Branigan)은 캐릭터와 관객 사이에 지식이 어떻게 분할되어 있는가에 따른 감정 유발 방식을 관객의 입장에서 세 가지로 구분한다. 첫째, 캐릭터와 관객 사이에 지식이 동등하게 배분되었을 때는 ‘미스터리(mystery)’가 발생한다. 둘째, 캐릭터가 관객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으면 관객은 영화의 진행 과정에서 ‘놀라움(surprise)’을 느낀다. 마지막으로 관객이 캐릭터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으면 ‘긴장(suspense)’이 생긴다.
“서사 분석 1: 드라마투르기” 중에서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영화의 예를 증거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영화에 대한 불특정한 감상을 무비판적으로 적는 것은 분석문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화의 분위기를 분석하고 싶다면 “이 영화는 밝고 쾌활한 느낌을 준다”는 식의 막연한 문장은 피하고, 이러한 느낌이 어떤 요소에 의해 생기는지 구체적인 장면 분석을 통해 제시하는 것이 독자에게 설득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훌륭한”, “좋은”, “인상적인” 등의 모호한 표현은 피해야 한다.
“분석문 작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