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360도 영상과 VR 콘텐츠의 설계](/img_thumb2/979112880133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01334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17-06-28
책 소개
목차
01 360도 카메라의 등장
02 360도 카메라의 원리
03 360도 영상 제작
04 360도 영상 기술
05 저널리즘과 360도 영상
06 공연과 360도 영상
07 관광과 360도 영상
08 스포츠와 360도 영상
09 영화와 360도 영상
10 교육과 360도 영상
저자소개
책속에서
360도 카메라를 가상현실 기술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느냐 없느냐는 콘텐츠를 기획하는 입장에선 중요하지 않다. 이 기술이 시청자에게 어떤 편익을 주는지, 그 편익이 지속 가능한 것인지가 더 중요하다. … 분야별 콘텐츠 설계의 가능성과 장단점을 사전에 살펴보는 것에 이 책의 의미가 있다. 아직까지 대표작이 없다는 것은 반대로 이 분야의 경쟁이 치열하지 않다는 것이다. 지금 콘텐츠 기획자가 염두에 두어야 할 가장 중요한 부분은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매력적 요소가 있는가다.
“가상현실과 콘텐츠의 설계” 중에서
360도 영상은 풀숏을 중심으로 내러티브가 전개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미장센이 상당히 중요하다. 카메라에 잡히는 부분만 미술 작업이 이루어지는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해 전방위 촬영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더 많은 준비 시간이 요구된다. 임의로 세트를 제작해 촬영하는 것보다 로케이션을 활용한 오픈 세트 촬영이 비용이 저렴하고 완성도를 높이는 데 용이하다.
“360도 영상 제작” 중에서
해외 유명 여행지 중 접근성이 떨어지는 곳은 VR 콘텐츠를 활용하면 좋다. 직접 걸어 다니면서 볼 수 있는 여행지도 있지만 이동 수단을 이용해야 접근 가능한 여행지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드론을 활용한 360도 영상이다. 하늘을 날아다니면서 협곡이나 섬, 도심의 구조물 사이를 비행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풍경 위주의 여행 방식에 커다란 변화를 주는 것이다. 이러한 360도 영상에 의한 여행 콘텐츠 개발은 온·오프라인 연계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가상 체험의 기록을 남길 수 있는 여권을 발급하거나 가상현실 속 여행지 방문 흔적을 남길 수 있게 여행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VR 콘텐츠로 발전 가능성이 높고 수익 창출도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될 수 있다.
“관광과 360도 영상”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