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SNS 영상 편집의 기술](/img_thumb2/9791128801822.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01822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19-02-01
책 소개
목차
01 나열형 편집
02 비교형 편집
03 강조형 편집
04 수사형 편집
05 효과형 편집
06 복합형 편집
07 기록형 편집
08 설명형 편집
09 운율형 편집
10 예고형 편집
저자소개
책속에서
브랜드를 관리하는 기업에서는 자사가 제공한 영상 콘텐츠를 스마트폰으로 시청할 뿐만 아니라 공유, 확산, 재생산해 매체 효과를 극대화하길 기대한다. 공공기관, 관공서도 저예산 고효율의 홍보 수단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영상 콘텐츠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다. SNS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영상 콘텐츠가 기존 편집 구성과 어떠한 차이를 갖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면 시청 환경의 변화가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영상 콘텐츠 편집이라는 측면에서 콘텐츠를 분류하고 분석해 편집 기술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바이럴을 위한 SNS 영상 편집 기술” 중에서
비교 대상이 라이프 스타일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것은 성별, 연령, 직업, 일과, 환경, 음식, 복장, 취미, 여가 등과 같은 요소에 의도적으로 일부 차이를 만들어 우위성을 비교하게 한다. 어도비프리미어에서 화면을 분할할 때는 두 트랙에 동일한 길이의 영상 클립을 올려놓고 효과 컨트롤 창에서 크기와 위치 값을 조절해 배치를 결정한다. 영상 클립의 상하좌우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 자르기 효과를 사용해 상하좌우의 비율 값을 조정하면 필요한 방향의 자르기를 적용할 수 있다.
“비교형 편집” 중에서
도치는 편집에 의한 연출 영역으로, 이야기 구조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특정한 부분에 대한 강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촬영 소스로 제작돼도 편집이 강조하는 부분이 달라진다면 전체 이야기 구조에 영향을 준다. 편집에서 도치는 하나의 컷 배열을 조정해 의미를 강조하는 방법과 시퀀스 전체의 배열 순서를 조정해 강조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A가 B를 만났다’라는 기본 편집 구조에서 A의 인물 클로즈업, B의 인물 클로즈업, A와 B의 풀 숏 순으로 컷이 배열되어 있다면 A와 B의 만남에 중심을 두는 편집 구성이 된다. 하지만 A의 인물 클로즈업, A와 B의 풀 숏, B의 인물 클로즈업 순으로 컷이 배열된다면 만남에서 B가 누구인가가 중요하게 되고 B의 감정이 최종적으로 남게 된다. 이는 B가 의외성을 갖고 있거나 유명 연예인인 경우에 효과적이다.
“수사형 편집”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