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미디어와 문화기억

[큰글씨책] 미디어와 문화기억

강경래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미디어와 문화기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미디어와 문화기억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01587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18-04-25

책 소개

문화기억은 한 사회에서 소통되는 다양한 기억 형태를 포괄하는 것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 내 정치 문화 사회적 영역에서 드러나는 기억에 대한 관심을 담아내기에 적합한 개념이다.

목차

01 미디어, 그리고 문화기억
02 기억과 시각성 그리고 은폐기억
03 기억, 망각, 반복의 순환 논리
04 대중 매체 시대의 기억: 보완기억
05 문화기억과 장치들: 사진
06 문화기억과 장치들: 영화
07 문화기억과 장치들: 텔레비전
08 문화기억과 장치들 뉴미디어
09 체험으로서의 기억과 미디어
10 재현의 아카이브와 증언의 불가능성

저자소개

강경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조교수다. 고려대학교와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영상문화학과에서 수학했다. 한국 근현대사와 관련한 문화기억과 매체이론, 문화 번역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들을 발표했다. 주요 저술로 “Talking Hospitality and Televising Ethno?national Boundaries in Contemporary Korea”(Television & New Media, 2018), “Embracing Postcolonial Potentiality; New Faces of Japanese Collaborators in Contemporary Korea”(Spaces of Possibility: In, Between, and Beyond Korea and Japan, 2016), “Kyung?Sung: the Cinematic Memories of the Colonial Past”(Camera Obscura: Feminism, Culture, and Media Studies, 2015), “Narrating in the Sonorous Envelope”(Journal of Popular Film & Television,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강경래의 다른 책 >

책속에서

가령 발터 베냐민(Walter Benjamin)이나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는 유년 시절이나 흐릿해져 버린 과거 경험에 대한 기억들을 마치 눈앞에 다시 불러오듯 풍부히 기술하고 이러한 잊혀진 과거의 재생을 20세기 중반 암울한 현실을 극복할 유토피아적 시간으로 그려냈다. 나아가 20세기 중반 이후 등장한 사회 이론들은 근대 합리성이나 실증주의 역사관에 도전했으며, 이를 통해 공식 역사가 하나로 수렴되어야 한다는 가치로부터 벗어나 다양한 미시 기억들이 공존하는 과거 기술 방식 또한 수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미디어, 그리고 문화기억’ 중에서


미국의 영상문화학자 마리타 스터큰(Marita Sturken)은 프로이트의 은폐기억 개념을 차용해 미국 사회 내 미디어나 전쟁 기념관이 베트남전쟁의 장기화로 미국 사회가 겪었던 혼란 상황을 극복하는 과정에 대해 논의했다. 스터큰은 워싱턴전쟁기념관이나 영화들은 전쟁을 숭고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재현함으로써, 베트남전으로 인해 미국 사회 내 팽배했던 우울과 패배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은폐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스터큰은 은폐기억의 의미를 확장하는데, 즉 은폐기억 개념에 포함된 영어 단어 스크린(screen)을 은폐하고 싶은 기억을 감추는 보호막(shield) 혹은 은신처로 이해하는 동시에 그 표면 위로 다양한 감정과 생각들이 투사(project)되고 교섭되는 장이라는 이중적 의미로 파악한다.
‘기억과 시각성 그리고 은폐기억’ 중에서


하지만 이러한 망각된 기억은 그대로 소멸되지 않으며, 발생 시점에서 망각된 기억은 이후 파편화된 형태로 되돌아온다. 실제 나치수용소 사진이나 르완다전쟁 사진을 보고 충격에 빠진 사람들은 이후 그 형언할 수 없는 수수께끼 같은 이미지들이 문득 새로운 질문을 던지는 순간을 경험한다. 이들 이미지들은 예기치 못한 순간 문득 떠올라서 이미 익숙한 과거 사실들에 대해 다시 질문하게 한다. 여기서 잊혀진 과거 사실로 되돌아가 그 역사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단지 존재했던 과거의 순간을 되찾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 과정은 기존의 의식적 기억이 담아내지 못했던 사실, 그 잠재성의 형태로 남아 있던 기억의 파편들이 되돌아와 현 사회 내 의미망을 흔들어 놓는다.
‘기억, 망각, 반복의 순환 논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