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마을 공동체 만들기](/img_thumb2/979112880169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 일반
· ISBN : 9791128801693
· 쪽수 : 106쪽
· 출판일 : 2019-03-07
책 소개
목차
01 마을
02 공동체
03 전통사회 마을 공동체
04 현대사회 마을 공동체
05 마을 공동체 유형
06 마을 정체성과 마을 콘텐츠
07 마을 공동체 활동 사례
08 마을 공동체 성장 단계
09 마을 공동체 활동의 한계점
10 지속 가능한 마을 공동체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 사회가 무연사회로 진입하고, 인구 절벽 문제로 인해 지방 소멸의 가능성이 대두되며, 무엇보다 공동체가 해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마을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회복하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단초를 찾으려 한다. 그렇다면, 왜 마을인가? 우리는 공동체 회복의 기제를 왜 마을에서 찾아야 하는지 명확히 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마을은 우리 삶의 터전이고 문화를 일구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발휘했고, 이에 맞는 삶의 형태를 개발해 삶 속에 녹여 내었다. 세계 4대 문명이 큰 강 유역의 평야지대에서 발생한 이유는 식량을 구하기 쉬워 생업을 유지하는 곳으로 가장 적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의 역사는 다양한 공동체의 역사다.
“현대사회에서 마을의 가치” 중에서
성미산마을은 2006년 건설교통부가 추진하는 ‘살고 싶은 마을 만들기’ 시범사업에 선정되어 마포구청과 함께 민관 거버넌스를 구축했다. 성미산마을이 마을 만들기의 선진 사례로 꼽히는 이유는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경험과 시행착오들을 겪고, 성찰과 반성을 통해 더욱 정진하려는 자세 때문이다. 성미산마을의 공동체 활동은 현재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 중이다. 공동육아가 중심이었던 마을 공동체 활동은 일상, 문화예술, 생태적 측면에서 활동이 확대되었다. 구성원들은 아파트 건설, 촛불집회, 젠트리피케이션 등 사회문제에도 관심이 있으며, 자신들의 가치 실현을 위해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마을 공동체 활동 사례” 중에서
마을 공동체 활동을 통해 마을 정체성이 더욱 강화되거나 새로운 마을 정체성이 개발될 수 있다. 마을 공동체 활동이 기존 마을 정체성과 맞지 않거나, 마을 공동체가 마을의 가치관과 철학을 담아내지 못하는 마을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마을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문화예술 자원이 풍부한 마을에서는 문화예술 자원을 활용한 마을 공동체 활동이 요구된다. 그리고 오랜 역사 속의 유명한 집성 마을이라면, 마을 정체성의 근간을 이루는 전통문화의 보존과 전승, 문중 조직의 결속을 강화하는 공동체 활동이 요구된다. 아파트 마을은 전 세대를 위한 공동체 활동이 요구되며, 마을 신앙을 현재까지 유지하는 마을은 이를 활용한 공동체 활동이 요구된다.
“지속 가능한 마을 공동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