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청소년 영화교육의 이해](/img_thumb2/979112880188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01884
· 쪽수 : 104쪽
· 출판일 : 2019-03-20
책 소개
목차
01 청소년 영화교육의 목표
02 청소년 영화교육의 역사
03 청소년 영화교육의 갈래
04 청소년 영화교육의 방법
05 청소년 영화 교과서
06 인성 교육을 위한 청소년 영화교육
07 청소년 영화의 특성
08 청소년 영화의 제작 목적
09 청소년 영화제
10 청소년 영화교육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청소년의 자발성은 영상 문화의 이러한 특성과 결합해 상호작용하며 동반 상승효과를 거두고 있다. 영상 문화 안에서 청소년의 실천 행위는 다시 영상 문화 자체를 살찌우고, 청소년은 문화 주체성을 획득해 자신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청소년기에는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으며, 상호 모방과 인정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해 나간다. 따라서 영상 문화에서 표현 활동은 결국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행위이며, 청소년을 심리·사회·경제적 자립으로 이끄는 수단이 된다. 사람들은 영상물을 만들면 이를 공유해 반응을 듣기를 원하고 경우에 따라 칭찬받기를 원한다. 그런 과정에서 타인과 내가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며, 서로의 개성을 존중하게 된다. 이 모든 것이 바로 청소년 영상 문화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영상 문화를 즐기는 청소년과 함께” 중에서
지금까지 살펴본 영화교육의 목표는 공통적으로 영화라는 매체와 그 예술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영화교육의 목표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시대에 영화교육이 할 수 있는 일을 찾아가고 있다. 지금까지 언급했던 영화교육의 목표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영화교육은 음악이나 미술 같은 일반 예술교육이다. 우리가 예술 작품으로 미학과 예술적 가치, 아름다움을 배울 수 있듯이 영화에서도 이러한 개념을 똑같이 배울 수 있다. 영화는 다양한 예술 장르가 모여 이루어진 예술 작품이며 영화교육은 영화로 보편적인 예술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청소년 영화교육의 목표” 중에서
이렇게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이때 영화교육은 영화에 대한 교육(teaching about film)이라는 전통적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영화를 통한 교육(teaching through film)이라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것은 종래 음악 교과와 미술 교과가 학교에서 각각의 교과 특성을 바탕으로 보편적인 예술교육을 담당했듯이 영화 교과 또한 영화의 특성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려 함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공교육 안에서도 문화예술교육의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청소년 영화교육의 미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