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대학교육 혁신과 교육 커뮤니케이션 2](/img_thumb2/979112881770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17700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22-03-08
책 소개
목차
대학교육 혁신, 왜, 어떻게 해야 하는가
01 비대면 시대, 대학 강의 실태
02 교수는 누구인가, 교알못 내용 전문가
03 교수학습지원센터와 교육 커뮤니케이션
04 모니터링과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 개선
05 수업 개선 보고서를 통한 수업 성찰과 수업 계획
06 혁신 교수법 적용 사례: 팀티칭
07 대학의 위기와 대학 혁신
08 대학교육 혁신 사례
09 대학교육 혁신 과제 1: 강의평가 시스템 개선
10 대학교육 혁신 과제 2: 소통하는 강의실 구현
저자소개
책속에서
코로나19 시국이라고 해서 만족도가 낮은 강의 콘텐츠만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 언론보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코로나19 시국의 우수 대학 강의 성과를 소개한다. 카이스트 물리학과 조성재 교수는 자신이 운영하는 ‘체감형 일반물리학’ 수업에 ‘온라인 헬프 세션’을 구축했다. 수업 외에 조교가 주 1회, 2시간 동안 실시간 온라인 회의를 통해 학생들의 질문을 받아 학생과 상호작용 밀도를 높인 것이다.
_ “01 비대면 시대, 대학 강의 실태” 중에서
교수학습지원센터 참여를 참여 인센티브라는 경제적인 측면에서만 보면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된다. 학회에서 1시간 정도 시간이 필요한 발표를 한 번 하는 것만으로도 4점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굳이 교수학습지원센터 특강을 들을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연구자로서 정체성이 강한 교수 입장에서 볼 때,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16시간 강의를 듣고 4점을 받는다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_ “03 교수학습지원센터와 교육 커뮤니케이션” 중에서
특히 이번 모니터링에서는 강의의 기술적인 부분의 문제를 확인하는 기회가 됐습니다.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겠다고 다짐해 봅니다. 우리 학교의 모든 교수님들이 적어도 1번은 자신의 강의 모습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성찰해 보는 기회를 가져 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_ “04 모니터링과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 개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