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편지 2

[큰글씨책] 편지 2

조르주 상드 (지은이), 이재희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42,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2,500원 -0% 0원
1,270원
41,2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39,9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편지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편지 2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91128822650
· 쪽수 : 534쪽
· 출판일 : 2022-05-28

책 소개

<편지>는 그 분량에서 루소, 볼테르, 괴테의 서간집보다 많으며 생트뵈브와 위고의 서간집을 훨씬 능가한다. 조르주 상드는 평생 4만여 통의 편지를 썼고 2000여 명에게 쓴 1만 8000통이 남아 있다.

목차

73 샤를 뒤베르네에게, 1830년 12월 2일(*)
74 샤를 뒤베르네에게, 1830년 12월
75 에밀 르뇨에게, 1831년 4월 18일
76 에밀 르뇨에게, 1831년 5월 16일
77 에밀 르뇨에게, 1831년 6월 13일
78 샤를 뒤베르네에게, 1831년 7월 19일
79 마리 도르발에게, 1833년 7월 18일일과 24일(*)
80 생트뵈브에게, 1833년 7월 24일(?)(*)
81 생트뵈브에게, 1833년 8월 25일(*)
82 모리스 뒤팽 부인에게, 1834년 1월 29일
83 피에트로 파젤로에게, 1834년 2월 말(*)
84 피에트로 파젤로에게, 1834년 2월 말 혹은 3월 초
85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4년 3월 4일(?)(*)
86 이폴리트 샤티롱에게, 1834년 3월 6일
87 알프레드 타테에게, 1834년 3월 22일(*)
88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3월 27일(?)(*)
89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3월 30일
90 쥘 부쿠아랑에게, 1834년 4월 6일(*)
91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4월 15일
92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4월 29일
93 귀스타브 파페에게, 1834년 5월 8일(*)
94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5월 12일
95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5월 24일(*)
96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5월 30일(*)
97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6월 15일
98 에밀 폴트르에게, 1834년 6월 25일
99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6월 26일(*)
100 생트뵈브에게, 1834년 7월 24일
101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8월 19일
102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9월 7일경
103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10월 말(*)
104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1월 초(*)
105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1월 말
106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1월(?)(*)
107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2월 22일 혹은 23일(?)
108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날짜 미상
109 아돌프 게루에게, 1835년 4월 12일
110 하이네에게, 1835년(?) 9월
111 모리스와 솔랑주 뒤드방에게, 1835년 9월 10일
112 프란츠 리스트에게, 1835년 10월 18일(*)
113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5년 10월 22일경(*)
114 프랑수아 롤리나에게, 1836년 2월 4일(*)
115 외젠 펠르탕에게, 1836년 2월 28일(*)
116 에마뉘엘 아라고에게, 1836년 3월 12일(*)
117 하이네에게, 1836년(?) 4월
118 프란츠 리스트에게, 1836년 5월 15일
119 마리 다구에게, 1836년 7월 10일(*)
120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6년 10월 15일경
121 시피옹 뒤 루르에게, 1836년 12월 12일 혹은 13일
122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6년 12월 18일
123 외젠 펠르탕에게, 1837년 1월 중순
124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1월 21일
125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2월 1일
126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3월 25일
127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4월 22일
128 마리 다구에게, 1837년 4월 26일(?)(*)
129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5월 27일
130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5월 31일
131 엑토르 베를리오즈에게, 1837년 6월 중순
132 루이 조제프 뱅상에게, 1837년 10월 8일
133 프란츠 리스트와 마리 다구에게, 1837년 12월 26일(?)
134 프란츠 리스트에게, 1838년 12월 28일
135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8년 2월 4일
136 오노레 드 발자크에게, 1838년 2월 21일(*)
137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8년 5월 7일경
138 알베르트 그지말라에게, 1838년 5월 말(*)

조르주 상드 연보(1831년∼1837년)
참고 자료

저자소개

조르주 상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여성 작가. 아버지는 폴란드 왕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귀족적인 가문 출신이고, 어머니는 파리 세느 강변의 새장수의 딸로 가난한 서민 출신이다. 일찍 아버지를 여윈 상드는 프랑스 중부의 시골 마을 노앙에 있는 할머니의 정원에서 루소를 좋아하는 고독한 소녀 시절을 보냈다. 18세 때 뒤드방 남작과 결혼했으나 순탄치 못한 생활 속에 이혼하고, 두 아이와 함께 파리에서 문필 생활을 시작하여 <피가로>지에 짧은 글들을 기고하며 남장 차림의 여인으로 자유분방한 생활을 했다. 이때 여러 문인, 예술가들과 친교를 맺었는데, 특히 6살 연하인 시인 뮈세와 음악가 쇼팽과의 모성애적인 연애 사건은 그 당시 상당한 스캔들을 일으켰다. 또한 화가 들라크루아, 소설가 플로메르와의 우정은 너무나도 유명하다. 상드는 이처럼 72년의 생애동안 우정과 사랑을 나눈 사람들이 이천 명이 넘는 신비와 전설의 여인이었으며 ‘정열의 화신’이었고 프랑스 낭만주의 시대의 ‘사랑의 여신’이었다. 남녀평등과 여성에 대한 사회 인습에 항의하여 여성의 자유로운 정열의 권리를 주장한 데뷔작으로 ≪앵디아나≫(1832)를 발표하여 대성공을 거두었고 같은 계열의 작품으로 ≪발랑틴≫(1832), 90여 편의 소설 중에서 대표작인 자서전적 애정소설 ≪렐리아≫(1833)와 ≪자크≫(1834), ≪앙드레≫(1835), ≪한 여행자의 편지≫(1834∼36), ≪시몽≫(1836), ≪모프라≫(1837), ≪위스코크≫(1838)등 연이어 나온 소설들도 호평을 받았다. 다음으로 장 레이노, 미셸 드 부르주, 라므네, 피에르 르루 등과 교제하여 그 영향으로 인도주의적이며 사회주의적인 소설을 썼는데, 이 계열의 작품으로 ≪프랑스 여행의 동료≫(1841), ≪오라스≫(1841∼42), ≪앙지보의 방앗간 주인≫(1845), ≪앙투완 씨의 죄≫(1845), 대표작이며 대하소설인 ≪콩쉬엘로≫(1842∼43), ≪뤼돌스타드 백작 부인≫(1843∼44), ≪스피리디옹≫(1838∼39), ≪칠현금≫(1839), ≪테베리노≫(1845) 등이 있다. 상드는 다시 1844년 ≪잔느≫를 필두로 해서 일련의 전원 소설들을 발표했는데, 이 계열의 작품으로는 소박하고 아름다운 전원소설 ≪마의 늪≫(1846), ≪소녀 파데트≫(1848∼49), ≪사생아 프랑수아≫(1849), ≪피리부는 사람들≫(1853) 등이 있다. 노년에는 방대한 자서전인 ≪내 생애의 이야기≫(1847∼55), 손녀들을 위한 동화 ≪할머니이야기≫를 쓰면서 초기의 연애 모험소설로 돌아가 ≪부아도레의 미남자들≫(1857∼58)과 ≪발메르 후작≫(1860), ≪검은 도시≫(1861), ≪타마리스≫(1862), ≪캥티니양≫(1863), ≪마지막 사랑≫(1866), ≪나농≫(1872)등을 발표했으며 25편의 희곡과 시, 평론, 수필, 일기, 비망록, 기행문, 서문, 기사 등 180여 편에 달하는 많은 글을 남겼다. 특히, 그녀가 남긴 편지들은 파리의 클라식 가르니에 출판사에서 조르주 뤼뱅이 26권으로 편집 완성한 방대하고 기념비적인 서간집으로 세계 문학사에서 서간 문학의 최고봉으로 꼽히고 있다. 그 동안 교환 서간집으로는 ≪상드와 플로베르≫(1904), ≪상드와 뮈세≫(1904), ≪상드와 아그리콜 페르디기에≫, ≪상드와 피에르 르루≫, ≪상드와 생트 봐브≫, ≪상드와 마리 도르발≫, ≪상드와 폴린 비아르도≫등이 간행되었다.
펼치기
이재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남에서 태어났다. 한국외국어대학 불어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프랑스 그르노블 대학에서 조르주 상드 연구로 불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와 유럽의 상드 문학 현장을 여러 차례 답사했고, 노앙에서 개최된 상드와 쇼팽 애호가 모임이나 상드 국제회의에 여러 번 참가했다. 뉴욕 상드 협회 ≪상드 연구≫지 국제 편집인이었고, 프랑스 파리, 에시롤, 노앙 상드협회 회원이었다. 저서로는 자서전 연구서로 ≪조르주 상드, 문학 상상력과 정원≫, 편저 ≪상드 연구 1, 2, 3≫이 있고, 상드 번역서로는 자전적 애정 소설 ≪렐리아≫, ≪상드 편지≫(전 6권, ‘문체부 우수교양도서’ 2011년), 전원 소설 ≪마의 늪≫, ≪소녀 파데트≫, ≪사생아 프랑수아≫ 등과 동화 ≪용기의 날개≫, ≪픽토르뒤성≫, ≪장밋빛 구름≫, ≪개와 신성한 꽃≫, ≪말하는 떡갈나무≫가 있으며, 그 밖에 ≪쇼팽과 상드≫, ≪상드 전기≫, ≪상드 문학 앨범≫ 등이 있다. 2008년 ≪문학나무≫ 등단, 2015년 장편소설 ≪아름다운 무지개≫를 발간했다. 현재 한국외대 명예교수다.
펼치기

책속에서

당신이 흥미진진한 ≪춘희≫를 쓰고 나서 사물의 이면을 창작해야 했다는 것을 나는 잘 알고 있어요. 예술에서는 그런 치우침 없는 연구와, 생활 속에 숨어 있는 그런 대조가 요구되죠. 나는 늘 당신을 새로운 양식, 현재의 방식을 구사하는 극작가들 중 최고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과거의 양식에서는 당신의 아버님이 최고인 것처럼 말이에요. 난 내가 과거의 양식에 속하는지 미래의 양식에 속하는지 모르겠지만 그런 건 중요하지 않아요. 나는 내가 쓰는 작품이 재미있어요. 하지만 당신이 쓰는 작품이 훨씬 더 재미있어요. 당신 작품은 내게는 마음과 정신을 뒤흔드는 대사건이에요. 다음번에는 나를 울릴 건가요? 당신에게 그런 재주가 있다면 내가 마음껏 울어 줄게요. 그런데 왜 나는 파리에 갈 때마다 당신을 만나지 못하는 거죠? 당신이 내가 파리에 있는 것을 알아볼 시간이 없고, 또 나도 당신이 거기에 있는지 알아볼 시간이 없어서일 거예요. 그러지 말고 여기로 날 만나러 오시는 게 어때요? 일할 시간도 있을 것이고 휴식 시간에는 대화도 나눌 수 있을 거예요. 그러니 나는 당신을 이토록 좋아하는데 당신이 날 조금이라도 좋아한다면 조만간 결정 내리세요.
-358번(336쪽),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에게 보낸 편지


인간의 성격은 자기 스스로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부드럽지가 못해. 인생은 도저히 참아 낼 수 없을 것만 같은 일들과 사람들을 받아들이면서 흘러가는 거야. 하지만 우리 친구들이 단번에 우리와 같은 시각을 가지고 대화를 나눌 때 자신들의 생각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삼을 필요는 없어. 인생에서 그런 일은 그런 식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아. 그리고 나는 우리 친구를 네가 생각하는 것처럼 완고한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아마도 내가 너희들 대화를 들어 본다면 나는 조르주가 네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이 옳다는 것을 인정하게 될 거야. 몇 가지 생각은 고쳐야 하고, 요컨대 이 세상에 잘못된 것은 다만 충분한 검토를 거치지 않은 선입관뿐이라는 사실을 나중에 깨닫게 될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어쨌거나 조르주는 아주 가치 있는 사람이야. 사색에서 오는 무기력 때문에 기가 너무 약해졌던 거야.
-377번(399쪽), 딸 솔랑주 클레쟁제에게 보낸 편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