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91128822650
· 쪽수 : 534쪽
· 출판일 : 2022-05-28
책 소개
목차
73 샤를 뒤베르네에게, 1830년 12월 2일(*)
74 샤를 뒤베르네에게, 1830년 12월
75 에밀 르뇨에게, 1831년 4월 18일
76 에밀 르뇨에게, 1831년 5월 16일
77 에밀 르뇨에게, 1831년 6월 13일
78 샤를 뒤베르네에게, 1831년 7월 19일
79 마리 도르발에게, 1833년 7월 18일일과 24일(*)
80 생트뵈브에게, 1833년 7월 24일(?)(*)
81 생트뵈브에게, 1833년 8월 25일(*)
82 모리스 뒤팽 부인에게, 1834년 1월 29일
83 피에트로 파젤로에게, 1834년 2월 말(*)
84 피에트로 파젤로에게, 1834년 2월 말 혹은 3월 초
85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4년 3월 4일(?)(*)
86 이폴리트 샤티롱에게, 1834년 3월 6일
87 알프레드 타테에게, 1834년 3월 22일(*)
88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3월 27일(?)(*)
89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3월 30일
90 쥘 부쿠아랑에게, 1834년 4월 6일(*)
91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4월 15일
92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4월 29일
93 귀스타브 파페에게, 1834년 5월 8일(*)
94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5월 12일
95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5월 24일(*)
96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5월 30일(*)
97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6월 15일
98 에밀 폴트르에게, 1834년 6월 25일
99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6월 26일(*)
100 생트뵈브에게, 1834년 7월 24일
101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8월 19일
102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9월 7일경
103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10월 말(*)
104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1월 초(*)
105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1월 말
106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1월(?)(*)
107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2월 22일 혹은 23일(?)
108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날짜 미상
109 아돌프 게루에게, 1835년 4월 12일
110 하이네에게, 1835년(?) 9월
111 모리스와 솔랑주 뒤드방에게, 1835년 9월 10일
112 프란츠 리스트에게, 1835년 10월 18일(*)
113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5년 10월 22일경(*)
114 프랑수아 롤리나에게, 1836년 2월 4일(*)
115 외젠 펠르탕에게, 1836년 2월 28일(*)
116 에마뉘엘 아라고에게, 1836년 3월 12일(*)
117 하이네에게, 1836년(?) 4월
118 프란츠 리스트에게, 1836년 5월 15일
119 마리 다구에게, 1836년 7월 10일(*)
120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6년 10월 15일경
121 시피옹 뒤 루르에게, 1836년 12월 12일 혹은 13일
122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6년 12월 18일
123 외젠 펠르탕에게, 1837년 1월 중순
124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1월 21일
125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2월 1일
126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3월 25일
127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4월 22일
128 마리 다구에게, 1837년 4월 26일(?)(*)
129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5월 27일
130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5월 31일
131 엑토르 베를리오즈에게, 1837년 6월 중순
132 루이 조제프 뱅상에게, 1837년 10월 8일
133 프란츠 리스트와 마리 다구에게, 1837년 12월 26일(?)
134 프란츠 리스트에게, 1838년 12월 28일
135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8년 2월 4일
136 오노레 드 발자크에게, 1838년 2월 21일(*)
137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8년 5월 7일경
138 알베르트 그지말라에게, 1838년 5월 말(*)
조르주 상드 연보(1831년∼1837년)
참고 자료
책속에서
당신이 흥미진진한 ≪춘희≫를 쓰고 나서 사물의 이면을 창작해야 했다는 것을 나는 잘 알고 있어요. 예술에서는 그런 치우침 없는 연구와, 생활 속에 숨어 있는 그런 대조가 요구되죠. 나는 늘 당신을 새로운 양식, 현재의 방식을 구사하는 극작가들 중 최고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과거의 양식에서는 당신의 아버님이 최고인 것처럼 말이에요. 난 내가 과거의 양식에 속하는지 미래의 양식에 속하는지 모르겠지만 그런 건 중요하지 않아요. 나는 내가 쓰는 작품이 재미있어요. 하지만 당신이 쓰는 작품이 훨씬 더 재미있어요. 당신 작품은 내게는 마음과 정신을 뒤흔드는 대사건이에요. 다음번에는 나를 울릴 건가요? 당신에게 그런 재주가 있다면 내가 마음껏 울어 줄게요. 그런데 왜 나는 파리에 갈 때마다 당신을 만나지 못하는 거죠? 당신이 내가 파리에 있는 것을 알아볼 시간이 없고, 또 나도 당신이 거기에 있는지 알아볼 시간이 없어서일 거예요. 그러지 말고 여기로 날 만나러 오시는 게 어때요? 일할 시간도 있을 것이고 휴식 시간에는 대화도 나눌 수 있을 거예요. 그러니 나는 당신을 이토록 좋아하는데 당신이 날 조금이라도 좋아한다면 조만간 결정 내리세요.
-358번(336쪽),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에게 보낸 편지
인간의 성격은 자기 스스로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부드럽지가 못해. 인생은 도저히 참아 낼 수 없을 것만 같은 일들과 사람들을 받아들이면서 흘러가는 거야. 하지만 우리 친구들이 단번에 우리와 같은 시각을 가지고 대화를 나눌 때 자신들의 생각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삼을 필요는 없어. 인생에서 그런 일은 그런 식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아. 그리고 나는 우리 친구를 네가 생각하는 것처럼 완고한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아마도 내가 너희들 대화를 들어 본다면 나는 조르주가 네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이 옳다는 것을 인정하게 될 거야. 몇 가지 생각은 고쳐야 하고, 요컨대 이 세상에 잘못된 것은 다만 충분한 검토를 거치지 않은 선입관뿐이라는 사실을 나중에 깨닫게 될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어쨌거나 조르주는 아주 가치 있는 사람이야. 사색에서 오는 무기력 때문에 기가 너무 약해졌던 거야.
-377번(399쪽), 딸 솔랑주 클레쟁제에게 보낸 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