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28824210
· 쪽수 : 162쪽
· 출판일 : 2017-07-25
책 소개
목차
권상(卷上)
제1편 열고 닫음[捭闔]
제2편 반대로 대응함[反應]
제3편 내면적인 상호 결합[內揵]
제4편 틈새를 막음[抵巇]
권중(卷中)
제5편 칭찬하여 옭아맴[飛鉗]
제6편 배반과 결합[忤合]
제7편 헤아림[揣篇]
제8편 어루만짐[摩篇]
제9편 자세히 살펴봄[權篇]
제10편 모략을 세움[謀篇]
제11편 결단함[決篇]
제12편 부합하는 말[符言]
언사를 원활(圓滑)하게 굴림[轉丸] (분실됨) / 혼란을 열어 놓음[胠亂] (분실됨)
권하(卷下)[외편(外篇)]
근본적인 다스림 은밀하게 들어맞음[本經陰符] 7편
1 정신을 왕성하게 함[盛神]
2 의지를 기름[養志]
3 생각을 충실하게 함[實意]
4 위세를 발휘함[分威]
5 위세를 발산함[散勢]
6 계모를 원활하게 굴림[轉圓]
7 잡념을 줄여 마음을 집중시킴[損兌]
관건을 장악함[持樞]
내심으로 다스림[中經]
≪귀곡자≫ 일문(佚文)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책속에서
변화가 언어의 상징성과 사물의 비유함으로 신묘막측하게 하려면 반드시 상반하는 언사를 던져 이것으로 상대를 말하게 해서 자신은 돌이켜 청취한다. 상대의 음성을 듣고자 하면 자신은 반대로 침묵을 지키고, 입을 열고자 하면 반대로 먼저 입을 닫으며, 높아지고자 하면 반대로 먼저 낮아지고, 탈취하고자 하면 반대로 먼저 준다. 상대의 심정을 열어젖히고자 하면 상징적인 말이나 견줄 만한 선례를 써서 그의 언사를 유도해 내야 하니, 소리가 같으면 자연히 서로 호응하게 되고, 도리가 같으면 함께 돌아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