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양만리 시선

[큰글씨책] 양만리 시선

양만리 (지은이), 이치수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960원
31,0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양만리 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양만리 시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28825613
· 쪽수 : 182쪽
· 출판일 : 2017-12-12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양만리는 송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육유, 범성대, 우무와 함께 남송 사대가로 꼽힌다. 형식과 기교에 치중하던 강서시파와 달리, 그는 시법(詩法)의 굴레를 벗어나 자연으로 나아감으로써 '신체시(新體詩)'를 이루었다.

목차

백가도를 지나며 지은 절구 네 수 (2)
농부들을 걱정하며
한가로이 지내며 초여름 낮잠에서 일어나 지은 절구 두 수 (1)
가랑비
촉 땅 사람 위치요 무간의 <만언서>를 읽고
다음 날 취해 돌아가다
여름밤 서늘함을 찾으며
조용히 지내면서 읊은 세 수 (2)?운와암
작은 연못
<엄자릉전>을 읽고
새싹 돋은 버드나무
저녁 더위에 연못가를 노닐면서 지은 다섯 수 (3)
개미를 보고 지은 두 수 (1)
추위에 언 파리
까마귀
추운 날 참새들
어린아이가 얼음을 갖고 놀다
모심기 노래
영취사에서 묵다
병든 뒤 노쇠함을 느끼며
장난삼아 짓다
배가 사담을 지나며
단호 사람들
바람의 신에게 띄우는 격문
새벽에 정자사를 나와 임자방을 전송하며 (2)
덕륜 행자를 전송하며
햇님과 달님의 노래
상호령을 지나가면서 초현강의 남쪽과 북쪽 산을 바라보며 (2)
밤에 동저에 묵으면서 큰 소리로 노래 부르며 지은 세 수 (1)
밤에 동저에 묵으면서 큰 소리로 노래 부르며 지은 세 수 (3)
상서성 간판관 서공중의 최근 시를 읽고
배에서 저녁 경치를 바라보며 (1)
양자강을 지나며 (1)
양자강을 지나며 (2)
배 타고 양자교를 지나면서 멀리 바라보며
처음으로 회하에 들어서서 지은 절구 4수 (1)
처음으로 회하에 들어서서 지은 절구 4수 (2)
처음으로 회하에 들어서서 지은 절구 4수 (3)
처음으로 회하에 들어서서 지은 절구 4수 (4)
눈 그치자 새벽에 금산에 오르다
죽지가 (7)
3월 3일, 충양공 성묘를 갔다가 산보를 하면서 지은 절구 열 수 (6)
강 하늘의 저녁 경치에 탄식하며 (2)
상다갱 길에서 (7)
송원을 지나, 아침밥을 칠공점에서 먹다 (5)
탄식을 하며
중양절 이틀 뒤, 서극장과 만화천곡에 올라 달빛 아래 술잔을 돌리다
도중에 잠시 쉬다
산장의 자인 조카와 동원에서 매화를 보다 (1)
8월 12일 밤, 성재에서 달을 바라보며
여름날 밤, 달과 놀다
옷을 말리다
또 나를 돌아보며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양만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字)가 정수(廷秀), 자호(自號)는 성재야객(誠齋野客)이며, 남송(南宋) 고종(高宗) 건염(建炎) 원년(元年, 1127) 음력 9월 22일(양력 10월 29일), 길주(吉州) 길수현(吉水縣) 동수향(同水鄕) 신가리(新嘉里) 밤당촌(?塘村)에서 태어났다. 28세에 과거 시험에 합격한 뒤, 고종, 효종, 광종, 영종의 네 황제가 통치하는 기간 동안 지방과 수도에서 관직 생활을 했다. 개희(開禧) 2년(1206), 80세, 음력 5월 8일(양력 6월 15일)에 세상을 떠났으며 이듬해(1207), 조정에서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추증(追贈)했고, 가정(嘉定) 6년(1213)에는 ‘문절(文節)’이라는 시호(諡號)를 내렸다. 양만리는 송대를 대표하는 문학가 중의 한 사람으로, 시인으로 특히 유명하며 산문(散文)도 잘 지어 <천려책(千慮策)>을 비롯한 좋은 글들을 남기고 있다. 비평서로 ≪성재시화(誠齋詩話)≫가 있다. 사(詞)도 15수 전한다. 양만리는 또 아버지의 영향으로 ≪역경(易經)≫에도 정통해 ≪성재역전(誠齋易傳)≫을 남기고 있다.
펼치기
이치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타이완(臺灣) 국립타이완대학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명예교수이며, 영남중국어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중국 고전 문학과 문화, 수사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시(詩)·사(詞)·소설·문학 비평·수사법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와 역서로 ≪송대 시학(宋代 詩學)≫(역락, 2020), ≪양만리 시선(楊萬里詩選)≫(지식을만드는지식, 2017), ≪신기질 사선(辛棄疾詞選)≫(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진여의 시선(陳與義詩選)≫(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육유 사선(陸游詞選)≫(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조자건집(曹子建集)≫(소명, 2010, 공역), ≪도연명 전집(陶淵明全集)≫(문학과지성사, 2005), ≪송시사(宋詩史)≫(역락, 2004, 공저), ≪중국 시와 시인-송대편(宋代篇)≫(역락, 2004, 공저), ≪육유 시선(陸游詩選)≫(문이재, 2002), ≪중국 유맹사(中國流氓史)≫(아카넷, 2001), ≪육유 시 연구(陸游詩硏究)≫(臺灣, 文史哲出版社, 1991) 등이 있다. 논문으로 <진후산 시 연구(陳後山詩硏究)>, <방옹 시 연구(放翁詩硏究)-광의식(狂意識)을 중심(中心)으로>, <서현 연보 연구(徐鉉年譜硏究)>, <중국 고전 시가(中國古典詩歌)에 나타난 협(俠)>, <중국 고전 시체(中國古典詩體) 중 육언 절구(六言絶句)의 생성, 발전과 특색 연구>, <당대(唐代) 시학(詩學)의 전개에 있어서 ‘시법(詩法)’ 문제 연구>, <송대(宋代) 시학(詩學)의 발전과 당송시(唐宋詩) 우열 논쟁(優劣論爭) 연구>, <중국(中國) 무협 소설(武俠小說)의 번역 현황과 그 영향>, <<섭은랑(聶隱娘)>에 관하여>, <중한(中韓) 고전(古典) 시론(詩論)의 상관성(相關性) 연구>, <송대(宋代) 시학(詩學) 평담론(平淡論)의 성행(盛行) 배경과 특색 연구> 등 다수가 있다.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상(2001)과 우수논문상(2015, 2019)을 수상했으며, ≪송시사(宋詩史)≫가 2005년, ≪송대 시학(宋代詩學)≫이 2020년에 대한민국 학술원 기초학문육성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장난삼아 짓다

들국화와 거친 이끼가 각기 돈 모습을 빚어내는데
노란 국화 금돈, 푸른 이끼 구리돈, 둘이 서로 아름다움을 다투네.
하느님이 가난한 시인에게 이들을 주시지만
시름만 살 수 있을 뿐 밭은 살 수 없다네.

戲筆
野菊荒苔各鑄錢,
金黃銅綠兩爭姸.
天公支與窮詩客,
只買淸愁不買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