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64년 4월 23일 존 셰익스피어와 메리 아든 사이에서 태어났다. 셰익스피어는 아름다운 숲과 계곡으로 둘러싸인 인구 2000명 정도의 작은 마을 스트랫퍼드에서 8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고, 이곳에서 학교를 다녔다. 주로 《성경》과 고전을 통해 읽기와 쓰기를 배웠고 라틴어 격언도 암송하곤 했다. 열한 살에 입학한 문법 학교에서 문법, 논리학, 수사학, 문학 등을 배웠는데, 《성경》과 더불어 오비디우스의 《변신》은 셰익스피어에게 상상력의 원천이 된다. 그리스어도 배웠지만 그리 신통하지는 않았다. 그 때문에 동시대 극작가 벤 존슨은 “라틴어는 신통하지 않고, 그리스어는 더 말할 것이 없다”라고 셰익스피어를 조롱하기도 했다. 그러나 셰익스피어의 타고난 언어 구사 능력, 무대 예술에 대한 천부적인 감각, 다양한 경험, 인간에 대한 심오한 이해는 그를 위대한 극작가로 만들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그는 제대로 교육받지는 못했지만, 자연으로부터 모든 것을 배운 자연의 아들이자 천재였다.
1590년대 초반 셰익스피어가 집필한 《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 《헨리 6세》, 《리처드 3세》 등이 런던 무대에서 상연되었다. 특히 《헨리 6세》는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그에 대해 악의에 찬 비난도 없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작품은 인기를 더해 갔다. 1623년 벤 존슨은 그리스와 로마의 극작가와 견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셰익스피어뿐이라고 호평하며, 그는 “어느 한 시대 사람이 아니라, 모든 시대의 사람”이라고 칭찬했다. 1668년 존 드라이든은 셰익스피어를 “가장 크고 포괄적인 영혼”이라고 극찬했다.
셰익스피어는 1590년에서 1613년에 이르기까지 10편의 비극(로마극 포함), 18편의 희극, 10편의 역사극, 그리고 시집 《소네트》를 집필했다. 38편의 희곡 작품들은 상연 연대에 따라 대개 4기로 분류된다.
펼치기
강태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Ohio State University 연극학과에서 셰익스피어 비평과 르네상스 연극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실과 환영의 차이를 잘 구분하지 못해서, 또는 그 차이를 잘 알기에, 연극에 빠졌지만 막상 연극쟁이가 되지 못하고 연극학자로 살아가고 있다. 한국연극학회, 셰익스피어학회, 영어영문학회, 현대영미드라마학회의 학술ㆍ공연ㆍ편집 이사를 지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부에서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셰익스피어, 현대 영미 드라마, 공연ㆍ영상 연구, 연극의 사회문화사로서, 「“Enter Above”: The Place of Citizens in Shakespeare’s Histories」로 제3회 셰익스피어학회 우수논문상과 「누가 나비부인을 두려워하랴?: 브로드웨이의 〈엠.나비〉 수용연구」로 제12회 재남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두 차례에 걸쳐 이화여자대학교 강의우수교수로 선정된 바 있다.
저서로는 『호모 아메리카노: 미국연극의 배우, 인간, 문화』(2019 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 『〈에쿠우스〉 리포트: 런던발 뉴욕행 1974』, 『브로드웨이의 유령: 한 연극학자의 뉴욕 방랑기』, 『〈오이디푸스 왕〉 풀어 읽기: 텍스트와 퍼포먼스』, 『연출적 상상력으로 읽는 〈밤으로의 긴 여로〉』 등이 있고, 역서로는 『안티고네』, 『만인/빌라도의 죽음』, 『햄릿』, 『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 『아테네의 타이먼』, 『리처드 3세』, 『리처드 2세』, 『미친 숲』, 『에쿠우스』 등이 있다. 공연 현장에서는 〈오이디푸스〉ㆍ〈리처드 2세〉(국립극단), 〈꼽추 리처드(리처드 3세)〉ㆍ〈세일즈맨의 죽음〉(예술의전당), 〈유리동물원〉(명동예술극장) 등의 드라마투르기로 활동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