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세계 공영방송과 디지털 혁신](/img_thumb2/979112886230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2304
· 쪽수 : 138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목차
디지털 시대, 세계 공영방송 제도와 혁신
01 디지털 시대, 세계 공영방송
02 영국 BBC
03 독일 ARD, ZDF
04 프랑스 FT
05 북유럽 NRK, DR, SVT, RUV, YLE
06 미국 PBS
07 캐나다 CBC
08 호주 ABC
09 일본 NHK
10 공영방송의 미래
책속에서
넓게는 방송의 위기, 좁게는 공영방송의 위기다. 스마트 미디어가 이용자들을 진공청소기처럼 빨아들이고 글로벌 미디어 복합기업이 공룡으로 눈앞에 닥쳤다. 게임은 이미 끝난 듯 일부는 짐을 꾸리는 모양새다. 그럼에도 글로벌 자본과 미국식 문화침공에 맞설 방파제로 여전히 공영방송이 꼽힌다. 디지털 시대 또는 스마트 미디어 시대, 공영방송의 정체성은 무엇이며 살아남기 위한 돌파구는 무엇인가?
_ “01 디지털 시대, 세계 공영방송” 중에서
BBC는 왕실 칙허장으로 독립성을 인정받고 수신료로 재원을 충당한다. 여태껏 미디어 환경 변화에 슬기롭게 대처해 온 BBC다. 그런 BBC도 최근 글로벌 미디어 복합그룹의 공세에 몸을 가누지 못하는 형국이다. 영국은 스마트 미디어 시대 BBC의 정체성과 역할을 어떻게 재창조하고 있는가?
_ “02 영국 BBC” 중에서
독일은 9개 지역방송사 공동체인 ARD와 전국 단일방송국 ZDF의 양대 공영방송 체제다. ARD는 국민으로부터 명품방송으로 인정받고 ZDF는 ARD와 경쟁하면서도 채널 공동 설립, 프로그램 제작 분담으로 상호 협력한다. 젊은 시청자를 확보하기 위한 온라인 전용 채널 ‘풍크(Funk)’ 역시 합작품이다. 프로그램 품질은 경쟁으로 높이고, 수신료는 협력하여 아끼는 자세야말로 다공영 체제의 강점 아니겠는가?
_ “03 독일 ARD, ZDF”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