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디어 구독모델

미디어 구독모델

유건식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360원
14,1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840원 -10% 390원 6,660원 >

책 이미지

미디어 구독모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디어 구독모델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2410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플랫폼 구독모델을 갖고 있는 대표적인 미디어 기업으로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뉴욕타임스, 서브스택, 스포티파이, 만타 코믹스, 카카오구독ON, 애플 아케이드 등이 있다. 이들은 어떠한 전략을 갖고 비즈니스 모델을 이룩했으며 미래 전망은 어떨까?

목차

소유권 시대 가고 접속의 시대 온다

01 미디어와 구독 모델
02 동영상 구독 모델
03 융합형 영상 구독 모델
04 신문 구독 모델
05 뉴스레터 구독 모델
06 음악 구독 모델
07 웹툰 구독 모델
08 포털 구독 모델
09 게임 구독 모델
10 미디어 구독 모델의 미래

저자소개

유건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KBS America 대표, 공영미디어연구소장, 드라마국 팀장을 역임했다. 현재 성균관대 초빙교수, 건국대 겸임교수, 문화체육관광부 방송영상 리더스포럼 위원, [미디어오늘] '유건식의 미디어 이슈'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성균관 스캔들>, <드림하이 2> 등을 프로듀싱했으며, <학교 2013>을 공동 제작했다. KBS 아메리카 대표를 역임하면서 한국 드라마 역사상 최초로 미국 프라임타임 시즌 리메이크를 성사시켰다. <굿닥터>의 미국 리메이크 버전인 <The Good Doctor>(시즌 1~7)의 프로듀서를 역임했다. 다큐 <끝나지 않은 6일, 429>(2017)를 기획·제작하여 해외 한국어 방송인 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광운대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2015)를 취득했으며, 『미드와 한드, 무엇이 다른가』(2013, 세종학술상), 『넷플릭소노믹스』(2019, 방송학회 저술상), 『미디어 구독 모델』(2021),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시장을 바꾸다』(2021),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공저, 2022, 세종학술상), 『남한산성을 걷다』(2023), 『OTT 서비스와 AI』(2024) 등을 저술하였고, 『넷플릭스 효과』(2020)를 번역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구독경제가 지난 10년간 성장의 대세임을 알 수 있다. 2017년 1분기를 100으로 설정하고 섹터별 지수를 공개했는데, 2020년 말 디지털 소프트웨어 등의 서비스 지수는 193%, 통신사 183%, 제조사 150%, 비즈니스 서비스 164%, IoT 188%, 미디어 168%, 출판 134%, 헬스케어 196%를 보였다. 미디어 지수에는 OTT 스트리밍 미디어,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사, 케이블 회사, 검색 회사, 편집 회사, 프로덕션이 포함되어 있다.
_ “01 미디어와 구독 모델” 중에서


넷플릭스의 성공 이후 할리우드의 메이저 미디어 기업은 모두 구독모델 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솔루션 리서치 그룹이 발간한 『반드시 주목해야 하는 TV(Must Keep TV)』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넷플릭스가 2020년에 이어 1위이고,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가 6위에서 4위, 디즈니+가 13위에서 8위, HBO 맥스가 순위에 없다가 9위에 오르는 등 구독 모델이 모두 상승하였다.
_ “02 동영상 구독 모델” 중에서


디지털 사회로 전환되면서 신문의 구독모델은 디지털 구독 모델로 전환하고 있다. 이는 자발적인 현상이 아니라, 지면 구독자 감소와 지면광고 시장이 급속하게 붕괴되면서 대체 수익 모델이 부재한 때문이다. 2000년대 초반 미국과 유럽의 신문사들은 디지털 유료화 모델을 도입했으나 실패한 경험이 있다.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십스테드 등은 구독모델로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다.
_ “04 신문 구독 모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62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