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2410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목차
소유권 시대 가고 접속의 시대 온다
01 미디어와 구독 모델
02 동영상 구독 모델
03 융합형 영상 구독 모델
04 신문 구독 모델
05 뉴스레터 구독 모델
06 음악 구독 모델
07 웹툰 구독 모델
08 포털 구독 모델
09 게임 구독 모델
10 미디어 구독 모델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구독경제가 지난 10년간 성장의 대세임을 알 수 있다. 2017년 1분기를 100으로 설정하고 섹터별 지수를 공개했는데, 2020년 말 디지털 소프트웨어 등의 서비스 지수는 193%, 통신사 183%, 제조사 150%, 비즈니스 서비스 164%, IoT 188%, 미디어 168%, 출판 134%, 헬스케어 196%를 보였다. 미디어 지수에는 OTT 스트리밍 미디어,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사, 케이블 회사, 검색 회사, 편집 회사, 프로덕션이 포함되어 있다.
_ “01 미디어와 구독 모델” 중에서
넷플릭스의 성공 이후 할리우드의 메이저 미디어 기업은 모두 구독모델 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솔루션 리서치 그룹이 발간한 『반드시 주목해야 하는 TV(Must Keep TV)』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넷플릭스가 2020년에 이어 1위이고,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가 6위에서 4위, 디즈니+가 13위에서 8위, HBO 맥스가 순위에 없다가 9위에 오르는 등 구독 모델이 모두 상승하였다.
_ “02 동영상 구독 모델” 중에서
디지털 사회로 전환되면서 신문의 구독모델은 디지털 구독 모델로 전환하고 있다. 이는 자발적인 현상이 아니라, 지면 구독자 감소와 지면광고 시장이 급속하게 붕괴되면서 대체 수익 모델이 부재한 때문이다. 2000년대 초반 미국과 유럽의 신문사들은 디지털 유료화 모델을 도입했으나 실패한 경험이 있다.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십스테드 등은 구독모델로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다.
_ “04 신문 구독 모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