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비주얼 저널리즘](/img_thumb2/9791128862489.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2489
· 쪽수 : 102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목차
디지털 시대의 비주얼 저널리즘
01 비주얼 저널리즘을 어떻게 볼 것인가?
02 웹플랫폼 기반 통합형 비주얼 저널리즘 사례
03 몰입형 비주얼 저널리즘 사례
04 인포그래픽 기반 비주얼 저널리즘 사례
05 소셜 미디어 탐사.설명 비주얼 저널리즘 사례
06 비주얼 저널리즘에 대한 앞으로의 고민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국 대통령 선거가 처음으로 TV 방송된 케네디?닉슨 대토론(Great Debate)은 선거 방송 토론의 효시라 불리며 방송 저널리즘에서 화면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의 중요성이 인식된 사건이다. 공교롭게도 케네디는 본인이 암살되는 사건이 전국에서 생중계로 다루어지면서, 생중계 방송 저널리즘의 역사에 다시 등장한다.
_ “01 비주얼 저널리즘을 어떻게 볼 것인가?” 중에서
인포그래픽 기반 비주얼 저널리즘이 최근 각광을 받고는 있으나 인포그래픽 자체가 최신에 도입된 것은 아니라는 점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통계 그래픽 시각화의 고전이라 불리는 샤를 조셉 미나르의 나폴레옹 행군 정보 시각화는 1869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그림을 보면 나폴레옹이 러시아로 진격할 때의 군사 수가 선의 두께로 나타나고 있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군사수가 줄어들어갔는지를 매우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_ “01 비주얼 저널리즘을 어떻게 볼 것인가?” 중에서
《뉴욕타임스》의 스노폴이 화제가 된 후,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으로서 웹플랫폼에 맞는 비주얼 저널리즘 실험이 이어졌다. 영국 가디언의 불폭풍(firestorm)도 그 중 하나다. 사진과 동영상을 비롯한 그래픽이 전체 기사 전달의 큰 축을 담당하고 거기에 텍스트와 동영상 등을 업어서 전체적인 기사를 잡지와 영화와 같은 화면의 중간 타협점에서 작성한 듯한 느낌을 준다.
_ “02 웹플랫폼 기반 통합형 비주얼 저널리즘 사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