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공영방송, 혁신의 길](/img_thumb2/979112886254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2540
· 쪽수 : 106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목차
왜, 다시 공영방송인가?!
01 정체성과 가치
-공영방송이란 ‘무엇’인가?
-공영방송은 ‘여전히’ 필요한가?
-‘어떤’ 공영방송인가?
02 역할과 책임
-핵심적 공론장과 공공성
-법적 책임
-시청자와의 약속
03 거버넌스
-거버넌스의 확장
-거버넌스와 어카운터빌리티
-거버넌스 4주체
04 재원
-공영방송과 재원 유형
-공영방송과 수신료
-방송법과 수신료 관련 조항
-(가칭)수신료위원회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신료 인상 문제를 예로 들자면, ‘선개혁 후인상’이 ‘실체’로서의 KBS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태도를 기반으로 한 입장이라면, ‘선인상 후개혁’은 ‘규범’이자 ‘제도’로서 공영방송의 당위성을 기반으로 한 입장이다. 공영방송이라는 ‘규범 및 제도’의 모순과 한계에서 기인한 위기인지, ‘KBS, MBC, EBS’ 등 실체에 의한 시행착오나 오류에서 기인한 위기인지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위기 극복의 해법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_ “서문 왜, 다시 공영방송인가?!” 중에서
국내 공영방송은 규범과 제도, 그리고 실체 모든 측면에서 이 두 가지 담론을 근거로 발전해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역시 우리 사회에서 ‘공공성’ 개념과 해석, 그리고 적용 방식이 발전해 온 역사와 사회적 맥락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렇다면 정치적 후견주의나 정치 병행성에 대한 의심은 공영방송만의 문제가 아니다.
_ “01 정체성과 가치” 중에서
공영방송의 법적 책임과 권한을 명시적으로 부여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공영방송 스스로가 무엇을 지향하는지 명확하게 설정하고 이를 일상적으로 어떻게 실천해 가는 지에 있다. 공영방송 스스로가 천명한 정체성과 목적은 방송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규범적 가치와 이념을 실천적으로 구현하겠다는 스스로의 다짐이자 시청자·시민과의 약속이다.
_ “02 역할과 책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