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원서발췌 예술철학

[큰글자책] 원서발췌 예술철학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지은이), 김혜숙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720원
23,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원서발췌 예술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원서발췌 예술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미학/예술철학
· ISBN : 9791128869709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23-10-16

책 소개

독일관념론 철학자 프리드리히 셸링은 세계의 수많은 대립과 모순이 통일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셸링은 이원론을 극복할 방법으로서 예술철학을 제시한다.

목차

서론
예술학을 개정하도록 만드는 동기
예술철학의 가능성
예술철학의 보편적 연역

제1장 예술철학의 보편적인 부분

제1절 예술 일반의 그리고 보편적인 것으로서의 예술의 구성
제2절 예술의 소재의 구성
1. 예술의 소재로서 신화학을 이끌어 냄
2. 신화학과 관련해 본 고대 시와 근대 시의 대립?종교철학적 전개
제3절 특수자 또는 예술형식의(특수한 예술 작품의) 구성
1. 예술 작품 일반론: 숭고함과 미의 대립, 소박함(Naiv)과 감상적임(Sentimental)의 대립, 스타일(Stil)과 작풍(Manier)의 대립
2. 미적 이념의 구체적 예술 작품으로의 이행

제2장 예술철학의 특수한 부분

제1절 실재적 계열과 이상적 계열의 대립에서 예술형식들의 구성
1. 예술 세계의 실재적 측면 또는 조형예술
2. 예술 세계의 이상적 측면 또는 언어예술(좁은 의미에서의 시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리드리히 셸링(Friedrich Wilhelm Joseph Schelling)은 1775년 독일 뷔르템베르크의 레온베르크에서 루터교의 목사 아들로 태어났다. 조숙했던 셸링은 15세에 튀빙겐 대학에 입학했다. 튀빙겐 대학에서 헤겔(Hegel) 및 횔덜린(H?lderlin)과 친구가 된다. 17세 때 이미 원죄에 관한 내용으로 학위논문을 썼다. 이어 1793년부터 지속적으로 일련의 철학 논문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처음 몇몇 글에서는 피히테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흔적이 나타나지만, 1797년에 발표된 ≪자연철학에 대한 이념≫에서부터는 자신만의 고유한 철학 세계를 펼쳐나가기 시작한다. 곧이어 1798년 괴테의 추천으로 예나 대학의 교수로 초빙된다. 그때 예나에는 독일철학의 리더였던 피히테가 있었는데, 피히테는 셸링의 우상이었으며 친구이기도 했다. 셸링은 예나에서 괴테, 실러, 슐레겔 같은 독일 낭만파 작가들과 사귀었으며, 카롤리네 슐레겔을 만나 1803년 결혼한다. 1802년과 1803년에 헤겔과 함께 <철학 비판지(Kritisches Journal der Philosophie)>를 제작했다. 헤겔은 셸링보다 다섯 살 위였지만 셸링을 친구이자 스승처럼 생각했고, 헤겔의 첫 번째 저술도 ≪피히테의 철학 체계와 셸링의 철학 체계의 차이(Differenz des Fichteschen und Schellingschen System der Philosophie)≫(1801)다. 그러나 튀빙겐 대학에서부터 맺어온 셸링과 헤겔의 우정은 헤겔이 ≪정신현상학(Ph?nomenologie des Geistes)≫(1807)을 발표한 후 안타깝게도 깨지고 만다. 셸링은 1803년 뷔르츠부르크 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고, 1806년에는 뮌헨으로 가서 바이에른 학술원 회원과 미술대학 사무총장을 역임하게 된다. 에를랑겐 대학에서도 강의했으며, 1827년에는 뮌헨 대학 교수직을 맡고 미술대학 학장도 지내게 된다. 1841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베를린 대학으로 셸링을 초빙했으며 그는 그곳에서 1846년까지 교수직을 수행했다. 베를린에서 그의 강의를 들은 학생 중에는 나중에 유명해진 사람이 많았는데, 그중에는 키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엥겔스(Friedrich Engels), 부르크하르트(Jacob Burckhardt), 바쿠닌(Mikhail Bakunin)도 있었다. 셸링은 1854년 스위스의 바트라가츠에서 죽었다. 대표작으로는 ≪자연철학에 대한 이념≫(1797), ≪자연철학의 체계에 대한 첫 번째 기획≫(1799),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1800), ≪대학 수업 방법에 관한 강의(Vorlesungen ?ber die Methode des akademischen Studiums)≫(1803), ≪예술철학(Philosophie der Kunst)≫(1802∼1803, 강의 내용을 책으로 펴낸 것), ≪인간의 자유의 본질에 관한 탐구(Untersuchungen ?ber das Wesen der menschlichen Freiheit)≫(1809), 사후 출간된 ≪신화철학(Philosophie der Mythologie)≫(1856), ≪계시철학(Philosophie der Offenbarung)≫(1861)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혜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아주대학교, 상명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저서로는 ≪셸링의 예술철학≫, ≪논리학의 이해≫, 역서로는 ≪인간의 이해력에 관한 탐구≫, ≪선험적 관념론의 체계≫, ≪인간 자유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탐구≫, 논문으로는 <셸링의 예술철학에 관한 존재론적 연구>, <셸링 자연철학에 있어서의 주관의 자기 전개>, <셸링의 예술철학에 대한 연구>, <셸링과 근대 합리론>, <셸링 사유에 있어서의 자유의 가능성으로서의 선과 악의 가능성에 관한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누구든 예술철학이라는 개념 안에는 서로 대립되는 두 가지 것이 결부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예술은 실재(das Reale)이며 객관적인 것(das Objektive)이고, 철학은 이상(das Ideale)이며 주관적인 것(das Subjektive)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제 예술철학의 과제를 잠정적으로 다음과 같이 규정할 수 있겠다. 즉, 예술철학의 과제는 이상 속에서, 예술 안에 있는 실재를 표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조형예술은 단지 죽은 말일 뿐이다. 그러나 조형예술 역시 말이고, 또 말함이다. 그리고 말이 더 완전하게 죽을수록?니오베의 입술에서 돌이 되어 버린 외침에 이르도록?조형예술은 자신의 방식에서 더 고차원적인 것이 된다. 반대로 저차원적인 단계인 음악에서는 죽음 속에 들어가서 살고 있는 것, 즉 유한자 속으로 들어가서 말해진 말은 아직도 울림(Klang)처럼 감지된다.


이제 우리는 리듬은 첫 번째 차원이고, 전조는 두 번째 차원이고, 멜로디는 세 번째 차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음악은 첫 번째 차원을 통해서는 반성과 자기의식으로서, 두 번째 차원을 통해서는 감정과 판단으로서, 세 번째 차원을 통해서는 직관과 구상력으로서 규정된다. 우리는 우선 다음과 같은 것을 미리 말할 수 있겠다. 즉, 예술의 세 가지 근본 형식들 내지 범주들이 음악과 회화와 조소라고 할 경우에 리듬은 음악의 음악적인 것이고, 전조는 음악의 회화적인 것이고, 멜로디는 음악의 조소적인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