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0925
· 쪽수 : 174쪽
· 출판일 : 2021-12-03
책 소개
목차
01 들어가며
교육생태계 담론의 등장과 의미
혁신교육생태계와 새로운 교장리더십 논의의 필요성
왜 교장리더십에 주목하는가?: 교사 행위자성 개념에 터한 교장리더십의 의미
이 책의 목적과 내용
02 혁신교육, 생태계로 바라보기
혁신교육생태계의 철학: 개체 중심 관점에서 복잡계적 관점으로 전환하다
혁신교육생태계의 개념: 중심과 주변을 해체하다
혁신교육생태계의 실천: 학교와 마을이 손을 잡다
03 교육의 영토를 확장하는 교장의 역할
생태 소양을 갖춘 교장
학교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교장
교사 행위자성 발현으로서 교장리더십
04 열매마을 혁신교육생태계
시작: 관 주도형 단위학교 중심 마을교육공동체
과도기: 공유된 마을교육공동체 가치와 ‘마을?학교’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
문제화와 성찰의 단계: 소수 인물 주도형 마을교육공동체
05 열매중학교 교장리더십
열매중학교 교장리더십의 특성
열매중학교 교장리더십 발현 조건: 과거
열매중학교 교장리더십 발현 조건: 현재 1?학교
열매중학교 교장리더십 발현 조건: 현재 2?지역사회
열매중학교 교장리더십 발현 조건: 현재 3?정책
열매중학교 교장리더십 발현 조건: 미래 지향
06 마루마을 혁신교육생태계
기반: 마을 운동 활성화와 혁신학교의 성공
마을교육공동체의 틀: 마을 교사 모임과 교장단협의회
마을교육공동체 내용: 마을 교사 모임과 공동교육과정
07 마루초등학교 교장의 리더십 특성과 발현 조건
마루초등학교 교장리더십 특성
마루초등학교 교장리더십 발현 조건: 과거
마루초등학교 교장리더십 발현 조건: 현재 1?학교
마루초등학교 교장리더십 발현 조건: 현재 2?지역사회
마루초등학교 교장리더십 발현 조건: 현재 3?정책
마루초등학교 교장리더십 발현 조건: 미래 지향
08 나가며
교장리더십 범위를 마을까지 확장하기
학교 민주주의와 자치 실현으로 교육생태계 확장하기
혁신교육생태계 교장리더십 발현의 정책적 조건 구축하기
중심?주변이 해체된 혁신교육생태계를 지향하며
참고문헌
책속에서
학습은 특정한 시간과 공간을 고립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특성을 갖는다. 학습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그것이 이루어지는 총체적 생태계, 즉 학습생태계의 특성을 시스템적으로 고려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교육생태계 내에서 학습하고 성장하는 존재는 아동·청소년만이 아니다. 교육생태계 관점에서는 성인들도 생활세계 혹은 교육 기관 안에서 학습과 성장을 경험하고 있으며 사회와 마을, 학교도 일종의 학습 체계로서 역사와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변화하며 유지된다.
교육생태계라는 말에는 교육과 관련된 모든 사회 제도들을 하나의 관계망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생각이 깔려 있으며, 학교를 포함한 모든 사회 단위가 변화의 주체라는 생각이 담겨 있다.
교장은 이러한 생태 소양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학교와 교육을 환경에서 분리된 공간과 활동으로 보던 기존의 인식에서 탈피해야 한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학교와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을 학교 안팎의 공간을 넘나들며 사람과 자원·시설·이념과 교육 목표들을 공유하고 순환하는 과정으로 인식해야 하며, 이런 틀 안에서 학교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