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4626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21-08-09
책 소개
목차
01 왜 지금 새로운 평등을 이야기하는가
능력주의에 입각한 평등교육 담론의 한계
위기 대응에 집중된 미래교육 담론
현존하는 사회 문제 극복을 위한 대안 교육 패러다임
더 좋은 미래를 위한 평등교육 재개념화
평등과 평등교육 재개념화를 위한 세 가지 고려 사항
02 불평등은 어떻게 정당화되는가
능력주의 이데올로기
환원주의 이데올로기
자유지상주의
요약
03 학교는 평등한 곳인가
학교에서 평등은 어떻게 인식되는가
학교는 평등이 실천되는 공간인가
평등한 학교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
요약
04 평등교육 재개념화를 위한 인간관의 전환: 독립적 존재에서 관계적 존재로
근대적 인간 이해와 교육
근대적 인간관의 전환을 위한 철학적 시도
새로운 인간관에서 본 교육과 평등의 관계 재정립
05 평등교육 재개념화를 위한 분배 대상의 전환: 재화에서 관계와 정치로
평등과 정의의 관계
재화 분배적 관점에서의 정의
관계와 정치적 관점에서의 정의
교육에 주는 시사점
06 평등교육 재개념화를 위한 적용 범위의 전환: 국경을 넘어 지구 전체로
불평등의 원인과 범위의 확장
일상과 문화로 스며든 불평등
학교교육을 통한 시민 양성의 필요성
세계시민교육을 통한 평등교육 실현
07 평등과 평등교육의 재개념화와 실천 과제
평등과 평등교육의 재개념화
제도적 과제
학교의 과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들은 숙련된 노동자를 양성해 숙련 정도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배분하는 데 집중했던 기존의 교육이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기술 발전과 노동의 변화, 자본주의의 이행 국면에서 새로운 교육의 방향은 교육을 받는 동안을 견뎌서 값비싼 노동자가 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학생들 각자의 다양한 능력과 개성을 인정하고, 학생들이 의미로 충만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학교가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존하는 불평등을 능력이나 공정한 경쟁의 결과로 인식하게 해 정당화하거나 다차원적으로 존재하는 불평등을 하나의 차원으로 환원하는 것, 다른 집단과의 비교로 지금의 불평등을 감내할 만한 수준의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것 또한 이데올로기로 볼 수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학교 안에서 사회적 약자에게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의 필요성을 구성원 모두가 인정하는 것은 아니었다. 약자를 배려하는 것이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는 것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구성원들은 약자에 대한 배려를 내가 받아야 할 몫이 줄어드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