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91128892905
· 쪽수 : 205쪽
· 출판일 : 2024-02-20
책 소개
목차
봄날 걸어서 연못으로 나왔다가 흥이 일어 곧장 시를 짓다
한능일이 찾아 줌에 고마워서
사촌 동생 사중이 한중으로 책 읽으러 가는 것을 떠나보내며
추석, 달을 마주하면서
가을밤, 속마음을 노래하다 2수
봄날 한가로이 지내며 일을 쓰다 5수
《자성록》의 뒤에 쓰다
족숙 사연의 시에 받들어 화운하다 6수
나를 애도하며
우연히 짓다
산거하며 속마음을 적다 5수
나를 경계하다
9월 25일, 남명(南冥) 선생의 사당에 제사가 내렸기에, 그 예식을 보기 위해 다시 덕산(德山)에 갔다
제사가 끝난 뒤 느낌이 있어서
세심정에 올라 같이 놀러 온 제공과 수작하다 3수
적벽을 지나며
병든 나를 탄식하며
나이 서른을 탄식하는 노래
후회 2수
이신약을 애도하며
봄을 아쉬워하며
가을 더위
비로소 시원함이
단구로 가던 중에 시를 짓다
대각동으로 이주한 성경묵이 찾아와서
유백삼이 보내 준 시에 받들어 화운하다 2수
유잠가를 통곡하다 2수
양여일의 〈송석재〉 시에 차운하다 4수
금호강을 건너다
유잠가의 고택을 찾다
봄날 고향집을 그리워하며
정취사에서 김천유와 삼가 헤어지며 4수
유상동. 정명도의 운을 쓰다 2수 병서
봄빛
한밤에 앉아서
삼월 초하루
이도경에게 주며 헤어지다
신 승지에게 삼가 드리다
무제 2수
정취사와 헤어지며
다시 율시 한 수로 속마음을 보이다
이사한 뒤에 읊다
저녁 흥취
육방옹의 〈복거〉 시를 읽다가 문득 그 운에 차운하다 2수
오래된 병
유거 2수
병중에 의원 송경룡에게 화답하다 2수
임장의 만사
구암 서원 대관대에서 감회가 있어 2수
가을날, 우연히 시를 지어 애오라지 나를 위로하다
친구에게 차운하다 2수
환아정 오덕계 선생의 시에 차운하다
봄날 저녁
8월 14일, 꿈에 유잠가(柳潛可)의 편지를 받았는데, 다시 잠가도 보였네
심운암에서 묵고 장차 삼산으로 갈 것이라, 한문칙과 성경묵에게 고마워하다
세심정에서 양이겸의 시에 차운하다 3수
청암 혈암. 이생의 시에 차운하다
다시 짓다 2수
허장을 추모하며
한가로운 가운데 마음대로 읊다 5수
정장을 추모하며
졸다 일어나 빗소리 듣다
때맞추어 내린 비
봄날 혼자 지내다 2수
이장 백회가 호계로 가는 것을 보내며 이별하는 마음을 써 주다
여러 공과 같이 묵방사에서 놀다가 헤어지게 되니 감회가 있다
악옹 허장이 찾아 주심에 삼가 고마워하며
악옹과 삼가 헤어지며
처사 소춘암의 시를 읽고 느낌이 있어서
비 오는 가운데 매화꽃을 보며 느낌이 있어
장맛비 탄식
이현경이 대각 서원에서 글을 읽다가 때때로 달빛 아래 찾아왔다. 그 뜻이 느꺼울 만했다. 그가 돌아간 뒤에 이 시를 지어서 내 뜻을 부친다
이현경에게 답하다 2수
글을 보며 느낌이 있어
노이극을 추모하며
족숙 하징보를 추모하며
가을날의 잡영 11수
해설
옮긴이에 대해
책속에서
사촌 동생 사중(진현)이 한중으로 책 읽으러 가는 것을 떠나보내며
해마다 만나고 헤어짐이 참으로 상사는 아니건만
어인 일로 머나먼 길을 다시 이리 떠나는가?
공명은 뜻을 흔드니, 본래 귀한 것은 아니라
묻고 배움도 정도는 없고 그저 정성에 달렸지.
바야흐로 성실해야 실패함이 없거니와
조심해서 덧없고 경박한 이들 뒤따르게 말지니.
그대 위해 한마디 써서 주노니
찬찬히 이 병든 형을 마음에 두시게나.
送從弟師仲普賢往漢中讀書
離合年來苦未常 遙程何事復斯行
功名撓志元非貴 問學無方只在精
慥慥方能無敗闕 兢兢休使逐浮輕
一言爲寫持相贈 眷眷其心此病兄
《자성록》의 뒤에 쓰다
나는 예전에 성인의 가르침을 들었나니
본성은 사람마다 전혀 다르진 않았네.
어찌하여 품부받은 기질이
이렇게 어리석거나 현명하게 되었나?
돌아보면 나의 재주는 둔하나니
노둔하기는 말할 것도 없네.
덕성은 용행(庸行) 근실을 잃었고
배움은 전인의 말씀을 알지도 못했지.
빙 둘러 방 안에 앉았자니
사방은 모두 장벽일 뿐이라.
그 처음에는 뜻이 없는 것도 아니었는데
헤매고 빠지더니 이 지경에 이르렀네.
고요히 말없이 그 까닭 살펴보니
병의 근원은 형역(形役)에 있었다오.
진실로 부지런히 힘쓰지 않는다면
늘그막에 서러워한들 무슨 소용 있으랴?
書自省錄後
我昔聞聖訓 人性無殊絶
胡爲氣質稟 有此愚與哲
顧余才之鈍 鹵莽無足說
德失庸行謹 學沒前言識
還如坐房舍 四面皆墻壁
其初非無志 迷溺至此極
靜黙思厥故 病原在形役
苟不勉孜孜 老大悲何及
나를 애도하며
일생 게으르고 내팽개쳐져 경륜조차 없더니
만사는 모순투성이요, 진나라 초나라보다 많아라.
적막한 생애는 농사일에 부쳤거니와
미치광이 신세는 풍진과 같다네.
그저 명리는 참으로 귀한 것은 아니니
항상 공부하며 날로 새로워지려네.
강개하게 시를 짓다가 이따금 혼자 웃나니
만산에 안개비 내리는, 정녕 만춘이어라.
自悼
一生懶廢無經綸 萬事盾矛多楚秦
寂寞生涯寄隴畝 顚狂身世等風塵
但知名利非眞貴 常用工夫趂日新
慷慨賦詩時自笑 滿山煙雨正殘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