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욱 사집

이욱 사집

이욱 (지은이), 이기면, 문성자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12,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160원 -5% 2,500원
380원
14,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240원 -10% 510원 8,700원 >

책 이미지

이욱 사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욱 사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고전漢詩
· ISBN : 9791128895371
· 쪽수 : 117쪽
· 출판일 : 2024-07-15

책 소개

‘사(詞)’는 당대 중엽에 발생해서 송대에 유행하다가 송의 멸망과 함께 사라진 장르다. 사는 대부분 악곡에 맞춰 노래하기 위한 가사로 지어졌다. 이 책은 나라가 망하는 순간에도 사(詞)의 구절을 놓고 고민하고 있었다고 비난받는 남당의 마지막 황제 이욱의 사집이다.

목차

완계사(浣溪沙)
일곡주(一斛珠)
옥루춘(玉樓春)
자야가(子夜歌)
보살만(菩薩蠻)
보살만(菩薩蠻)
보살만(菩薩蠻)
경루자(更漏子)
희천앵(喜遷鶯)
채상자(采桑子)
장상사(長相思)
유지(柳枝)
어부(漁父)
어부(漁父)
도련자령(搗練子令)
사신은(謝新恩)
사신은(謝新恩)
사신은(謝新恩)
사신은(謝新恩)
사신은(謝新恩)
청평악(淸平樂)
채상자(采桑子)
우미인(虞美人)
오야제(烏夜啼)
임강선(臨江仙)
파진자(破陣子)
망강남(望江南)
망강남(望江南)
망강남(望江南)
망강남(望江南)
완랑귀(阮郞歸)
상견환(相見歡)
후정화파자(後庭花破子)
도련자(搗練子)
자야가(子夜歌)
낭도사(浪淘沙)
삼대령(三臺令)
우미인(虞美人)
낭도사(浪淘沙)
상견환(相見歡)
장상사(長相思)
접련화(蝶戀花)
완계사(浣溪沙)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이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주(徐州) 출신으로, 초명은 종가(從嘉), 자는 중광(重光), 호는 종은(鍾隱)이다. 오대십국 시기 남당(南唐) 중주(中主) 이경(李璟)의 여섯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송(宋) 건륭(建隆) 2년(961) 금릉[지금의 난징(南京)]에서 즉위해 15년간 남당을 통치했기 때문에 세칭 이 후주(李後主)라고 한다. 이욱이 즉위할 때부터 남당은 이미 송의 연호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971년부터는 송에 대해 ‘칭신(稱臣)’했다. 개보(開寶) 7년(974) 송 태조가 여러 차례 이욱을 변경(?京)으로 오도록 했으나 끝내 가지 않자, 10월에 군대를 끌고 강남 토벌을 시작했다. 다음 해 11월에 금릉이 함락되고 항복한 후주는 포로의 신분으로 변경으로 압송당해 위명후(違命侯)에 봉해졌다. 포로가 된 지 3년째 되던 해(978), <우미인> 사의 “故國不堪回首月明中”, “一江春水向東流” 등의 구절이 문제가 되어 독살당하고 말았다. 향년 41세였다. 후에 오왕(吳王)에 추증되었고, 낙양(洛陽) 망산(邙山)에 장사 지내졌다. 17세에 남당의 원로대신 주종(周宗)의 딸인 아황(娥皇)과 결혼했다. 이 여인이 바로 대주후(大周后)라고 불리는 소혜황후(昭惠皇后)였다. 결혼 후 10년 정도 지나서 대주후가 병이 들자 언니를 간호하러 궁정에 들어왔던 대주후의 동생과 눈이 맞았고, 소혜황후가 죽자 이욱은 이 여인을 황후에 봉했으며 언니보다 더 큰 사랑을 주었다. 이 여인이 바로 소주후(小周后)다. 소주후는 후주가 송에 항복한 후에도 변경에서 함께 생활했으며, 송 태종에게 개인적으로 멸시를 많이 받았다고 전해진다. 후주가 독살당하자 소주후도 슬픔 끝에 같은 해에 숨을 거두었다.
펼치기
이기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중인문학교류연구소를 운영하며, 한국인이 배우기 편한 중국학 교재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원굉도 문학 사상》(한국학술정보)이 있고, 대표 논문으로는 〈명말청초 이단 문학론의 실학적 이해〉, 〈명말청초 방외 문학론의 근대 지향성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문성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중국어 작품의 한국어 번역에 매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번역서로는 《금익-근세 중국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고려대학교 출판부), 《류짜이푸의 얼굴 찌푸리게 하는 인간 25종》(예문서원), 《잃어버린 천국 1, 2》(플래닛), 《거인의 시대-명 말 중국 예수회 이야기》(지식을만드는지식)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
바람 타고 향 가루 날리는 이 누구인가?
취해서 난간 두드리니 흥취 더욱 절절해지네
돌아갈 때 촛불은 밝히지 말아야지
청량한 달빛 타고 말발굽 소리 울려 퍼지도록
― <옥루춘>에서


2.
앵두꽃 다 지고 달빛은 계단 앞에 가득한데
상아 침대에서 시름에 겨워 향로에 기대어 있자니
이 그리움의 고통은 작년의 오늘처럼 여전하구나
양 갈래 쪽 찐 머리 흐트러지고 구름 같던 머릿결 거칠어졌는데
흐르는 눈물은 붉은 앞섶을 적시네
어디라야 이 사랑의 고통을 풀어 놓으리
비단 창문 아래서 술에 취할거나 꿈을 꿀거나…
― <사신은>에서


3.
봄바람은 수면을 간질이고 태양은 서산에 걸렸네
봄은 왔어도 한적한 지 오래라
떨어진 꽃잎 낭자하고 취흥도 가시어
취한 듯 꿈속인 듯 노래 부르네
― <완랑귀>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95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