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책학으로의 초대

정책학으로의 초대

사득환, 최창현, 왕재선, 주성돈 (지은이)
박영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정책학으로의 초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책학으로의 초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07107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학부과정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다양한 시각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정부의 정책과정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서술하였다. 특히 정책의 전반적인 과정에 맞추어 각각의 과정에서 벌어지는 이론적, 실천적 내용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목차

제 1 장 정책학의 기본이해
제 1 절 정책학의 이론적 토대 3
1 정책학 연구의 기초•3
2 정책학의 등장•6
3 정책의 개념 및 구성요소•8
4 정책을 보는 시각•10
5 정책의 유형•15
제 2 절 정책환경과 정치체제 19
1 정책환경의 의의 •19
2 정치체제와 환경 간의 관계•20
3 정책과 정책환경 간의 상호작용•21

제 2 장 정책과정과 참여자
제 1 절 정책과정 25
1 정책과정의 특징•25
2 정책과정의 단계•26
제 2 절 정책과정에서의 참여자 39
1 정책참여자의 의미와 유형•39
2 공식적 참여자•41
3 비공식적 참여자•52
4 정책참여자 네트워크•62

제 3 장 정책의제설정
제 1 절 정책의제설정의 의의 71
1 정책의제설정의 개념과 중요성•71
2 정책의제설정의 과정과 유형•73
제 2 절 정책의제설정의 영향요인 84
1 주도집단과 참여자•85
2 정치적 상황•88
3 문제의 특성과 사건•90
제 3 절 정책의제설정의 전략 91
1 정책의제설정 전략•91
2 정책의제설정에서 편견•93

제 4 장 정책결정
제 1 절 정책결정의 의의와 과정 99
1 정책결정의 의의•99
2 정책결정의 유형•101
3 정책결정의 과정•102
제 2 절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107
1 합리포괄모형•108
2 만족모형•111
3 연합모형•113
4 점증모형•115
5 최적모형•117
6 쓰레기통모형•118
7 앨리슨 모형•122

제 5 장 정책분석
제 1 절 정책분석의 필요성과 정의 129
1 정책분석의 필요성•129
2 정책분석의 정의•129
3 정책분석, 체제분석, 그리고 관리과학의 관계•133
제 2 절 정책분석의 역사 137
1 정책학의 등장과 정책분석•137
2 정책분석의 기본 단계•138
제 3 절 정책대안의 개발과 분석 139
1 정책대안의 개발•139
2 정책대안의 예비분석•140
3 정밀분석•142
4 정책문제의 분석기법•145
제 4 절 정책분석 결과의 제시와 활용 154
1 정책분석 결과의 제시•154
2 정책분석 보고서의 내용 •155
3 정책분석: 정책대안의 비교, 분석, 평가, 결정 사례•157

제 6 장 정책집행
제 1 절 정책집행의 의의 163
1 정책집행의 개념•163
2 정책집행의 유형•164
제 2 절 정책집행연구와 접근방법 167
1 정책집행연구의 흐름•167
2 정책집행의 접근방법•169
제 3 절 정책집행의 영향요인 179
1 정책집행의 성공과 실패의 기준•179
2 정책집행의 영향요인•181

제 7 장 정책평가
제 1 절 정책평가의 의의와 방법 191
1 정책평가의 의의•191
2 정책평가의 논리•198
3 정책평가의 방법•204
제 2 절 정책평가의 실제 211
1 우리나라 정책평가 제도•211

제 8 장 정책변동
제 1 절 정책변동의 의의 223
1 정책변동의 개념과 유형•223
2 정책참여자•227
3 정책학습•228
제 2 절 정책변동 모형 230
1 킹던(Kingdon)의 정책흐름모형•230
2 정책패러다임과 정책네트워크 접근방법•234
3 사바티어(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236
4 신제도주의•242
5 IAD(Institutional Analysis Framework)의 제도분석•244

제 9 장 정책단계별 정책사례
제 1 절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 위원회 사례 253
1 의제설정•253
2 정책결정•253
3 정책집행•254
4 정책평가•256
제 2 절 영유아 무상보육정책 사례 257
1 의제설정•257
2 정책결정•258
3 정책집행•258
4 정책평가와 환류•259

제 10 장 복잡계이론과 정책학
제 1 절 복잡계이론 263
제 2 절 복잡계(복잡적응체계)의 개념과 특질 266
1 복잡계의 개념•266
2 복잡계의 특질•270
제 3 절 복잡계와 정책학 274

제 11 장 복잡계이론의 정책학 적용사례: 시화호 매립사례
제 1 절 정책패러다임의 전환 279
제 2 절 불확실성, 혼돈 그리고 적응모형 281
1 불확실성과 공공정책 연구•281
2 불확실성, 혼돈 그리고 적응모형•287
제 3 절 정부의 정책선택과 시화호 매립사업의 실패 292
1 시화호 매립사업과 정책실패•292
2 시화호 매립사업의 실패원인•297
3 결어 및 함의•304

▣ 색인•307
▣ 참고문헌•314

저자소개

최창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뉴욕주립대학교 행정 및 정책학 박사 현 금강대학교 공공정책학부 초빙교수 전 한반도선진화재단 조사센터 소장 •한국조직학회 회장 •관동대 행정학과 교수 •뉴욕주립대 록펠러 행정대학원 객원교수 •RPI 테크노 경영대학원 초빙교수 •사우스 캐롤라이나 대학 경찰대학 교환교수 •파고다 외국어학원 TOEIC 강사 역임 SPSS, UCINET 활용 조사방법론(2011), Introducing Public Administration: Made Simple for TOEIC(2016), 국력이란 무엇인가(2015), 좋은 정부란 무엇인가?(2012), 복잡계로 바라본 조직관리(2005) 등 40여 권의 저서와 역서가 있고, 논문 4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사득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환경정책, 지속가능발전과 ESG, 공공기관, 복지행정 등이며, 물정책경제포럼 위원장, 한국행정학회 국토교통포럼특별위원장, 한국정책학회 부회장, 한국국정관리학회 부회장, 한국ESG학회 부회장, 한국지방자치학회 지방정부ESG위원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공공부문 ESG 전략』(2024, 공저), 『정책학으로의 초대』(2019, 공저), 『행정학으로의 초대』(2019, 공저),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거버넌스』(2002, 공저), 『한국 환경정책의 이해』(1997), “공공기관의 ESG경영과 정책 방향”(2023), “탄소중립시대 민관협력 산림거버넌스 구축 방안”(2022), “Water Governance Change in South Korea and the Netherlands”(2021), “기후변화에 따른 물관리 정책과 기든스 역설(Giddens’s Paradox)”(2021), “남북 공유하천 갈등과 독일 통합사례”(2018) 등이 있(sdwhan@kduniv.ac.kr).
펼치기
주성돈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1년 가톨릭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 현재 경운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조교수, 현 한국행정학회 총무위원, 현 한국지방자치학회 운영이사, 현 한국도시행정학회 이사, 현 가톨릭대 정부혁신생산성연구소 연구위원, 지방공무원 공개(경력)경쟁임용시험과 경찰공무원 출제위원 등으로 활동 중. 주요 논문으로는 “재난관리 연구영역 확대에 관한 탐색적 논의”, “대테러 협력의 개념과 제도발전”, “일본 정부개발원조의 정책변화 분석”, “정부 금연규제정책의 갈등연구”, “문화예술을 활용한 지역활성화 성공요인 분석”, “문화복지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관리방안”, “문화복지 활성화 방안 연구”, “지방자치단체의 매장문화제 행정체제 개선방안”, “공유재 갈등조정기구에 대한 제도적 실행규칙 분석”, 원자력발전정책의 변동과정 연구” 등이 있음. 주요 연구관심 분야는 공공관리, 문화정책, 환경정책 등이 있음.
펼치기
왕재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8년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호남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대우조교수 역임. 주요 학회활동으로 현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 (사)한국거버넌스학회 총무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사회활동으로 현 국가보훈처 자체평가위원, 전 경기도 정보공개심의회 심의위원, 현 농촌진흥청 정보공개심의위원, 보통징계위원회 위원, 국립식량과학원 고충심사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음. 주요 논문으로는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Attitudes toward Nuclear Power Energy across 27 European Countries by Applying the Multilevel Model”, “공공조직 정보공유 태도에 대한 영향요인: 개인 혹은 조직?”, “Individual perception vs. structural context: Searching for multilevel determinants of science-technology acceptance across 34 countries”, “신뢰와 원자력 수용성”, “전자정부의 효과: 거버넌스 지표를 중심으로” 등이 있음. 주요 연구 관심분야는 정부혁신, 비교정책, 과학기술과 정부신뢰 등이 있음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62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