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07107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목차
제 1 장 정책학의 기본이해
제 1 절 정책학의 이론적 토대 3
1 정책학 연구의 기초•3
2 정책학의 등장•6
3 정책의 개념 및 구성요소•8
4 정책을 보는 시각•10
5 정책의 유형•15
제 2 절 정책환경과 정치체제 19
1 정책환경의 의의 •19
2 정치체제와 환경 간의 관계•20
3 정책과 정책환경 간의 상호작용•21
제 2 장 정책과정과 참여자
제 1 절 정책과정 25
1 정책과정의 특징•25
2 정책과정의 단계•26
제 2 절 정책과정에서의 참여자 39
1 정책참여자의 의미와 유형•39
2 공식적 참여자•41
3 비공식적 참여자•52
4 정책참여자 네트워크•62
제 3 장 정책의제설정
제 1 절 정책의제설정의 의의 71
1 정책의제설정의 개념과 중요성•71
2 정책의제설정의 과정과 유형•73
제 2 절 정책의제설정의 영향요인 84
1 주도집단과 참여자•85
2 정치적 상황•88
3 문제의 특성과 사건•90
제 3 절 정책의제설정의 전략 91
1 정책의제설정 전략•91
2 정책의제설정에서 편견•93
제 4 장 정책결정
제 1 절 정책결정의 의의와 과정 99
1 정책결정의 의의•99
2 정책결정의 유형•101
3 정책결정의 과정•102
제 2 절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107
1 합리포괄모형•108
2 만족모형•111
3 연합모형•113
4 점증모형•115
5 최적모형•117
6 쓰레기통모형•118
7 앨리슨 모형•122
제 5 장 정책분석
제 1 절 정책분석의 필요성과 정의 129
1 정책분석의 필요성•129
2 정책분석의 정의•129
3 정책분석, 체제분석, 그리고 관리과학의 관계•133
제 2 절 정책분석의 역사 137
1 정책학의 등장과 정책분석•137
2 정책분석의 기본 단계•138
제 3 절 정책대안의 개발과 분석 139
1 정책대안의 개발•139
2 정책대안의 예비분석•140
3 정밀분석•142
4 정책문제의 분석기법•145
제 4 절 정책분석 결과의 제시와 활용 154
1 정책분석 결과의 제시•154
2 정책분석 보고서의 내용 •155
3 정책분석: 정책대안의 비교, 분석, 평가, 결정 사례•157
제 6 장 정책집행
제 1 절 정책집행의 의의 163
1 정책집행의 개념•163
2 정책집행의 유형•164
제 2 절 정책집행연구와 접근방법 167
1 정책집행연구의 흐름•167
2 정책집행의 접근방법•169
제 3 절 정책집행의 영향요인 179
1 정책집행의 성공과 실패의 기준•179
2 정책집행의 영향요인•181
제 7 장 정책평가
제 1 절 정책평가의 의의와 방법 191
1 정책평가의 의의•191
2 정책평가의 논리•198
3 정책평가의 방법•204
제 2 절 정책평가의 실제 211
1 우리나라 정책평가 제도•211
제 8 장 정책변동
제 1 절 정책변동의 의의 223
1 정책변동의 개념과 유형•223
2 정책참여자•227
3 정책학습•228
제 2 절 정책변동 모형 230
1 킹던(Kingdon)의 정책흐름모형•230
2 정책패러다임과 정책네트워크 접근방법•234
3 사바티어(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236
4 신제도주의•242
5 IAD(Institutional Analysis Framework)의 제도분석•244
제 9 장 정책단계별 정책사례
제 1 절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 위원회 사례 253
1 의제설정•253
2 정책결정•253
3 정책집행•254
4 정책평가•256
제 2 절 영유아 무상보육정책 사례 257
1 의제설정•257
2 정책결정•258
3 정책집행•258
4 정책평가와 환류•259
제 10 장 복잡계이론과 정책학
제 1 절 복잡계이론 263
제 2 절 복잡계(복잡적응체계)의 개념과 특질 266
1 복잡계의 개념•266
2 복잡계의 특질•270
제 3 절 복잡계와 정책학 274
제 11 장 복잡계이론의 정책학 적용사례: 시화호 매립사례
제 1 절 정책패러다임의 전환 279
제 2 절 불확실성, 혼돈 그리고 적응모형 281
1 불확실성과 공공정책 연구•281
2 불확실성, 혼돈 그리고 적응모형•287
제 3 절 정부의 정책선택과 시화호 매립사업의 실패 292
1 시화호 매립사업과 정책실패•292
2 시화호 매립사업의 실패원인•297
3 결어 및 함의•304
▣ 색인•307
▣ 참고문헌•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