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공부문 ESG 전략

공공부문 ESG 전략

홍형득, 박보식, 사득환, 양세훈, 오수길 (지은이)
대영문화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40원 -2% 0원
690원
21,850원 >
23,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300원
20,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3,000원 -10% 1150원 19,550원 >

책 이미지

공공부문 ESG 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공부문 ESG 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9306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02-28

목차

머리말/3

제1장 공공부문 ESG경영의 개념과 의의 (홍형득)

제1절 ESG의 등장과 확대 15
제2절 ESG의 개념과 구성요소 22
제3절 ESG와 CSR 및 SD의 유사점과 차이점 24
1. ESG와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24
2. ESG와 SD(지속가능발전)/26
제4절 ESG경영의 특징과 공공부문의 역할 30
제5절 공공부문 ESG경영 필요성과 사례 34
제6절 공공부문 ESG경영의 미래와 과제 37

제2장 SDGs와 ESG: 목표체계의 전환 (오수길)

제1절 서론 45
제2절 세계지속가능발전사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48
제3절 SDGs 달성과 목표 간의 연계(Nexus Approach) 57
제4절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기업부문의 역할과 ESG 경영 62
제5절 SDGs의 달성과 공공부문의 ESG 대응 69

제3장 ESG와 성과관리 (박보식)

제1절 서론 83
제2절 공공부문에서의 ESG 전략 87
제3절 성과관리의 개념과 목표 91
1. 정부 성과관리의 목적/92
2. 성과관리의 미션 및 목표/94
제4절 정부의 성과관리 유인체계와 체계도 95
1. 계획 수립/98
2. 집행․점검/98
3. 평가(자체평가 등)/98
4. 평가결과의 환류/99
제5절 정부의 성과관리와 기본원칙 99
제6절 공공부문의 성과측정시스템의 활용방안 101
제7절 ESG 성과창출을 위한 기반 구축 103
제8절 성과관리의 미래 105
1. 미래의 행정환경/105
2. 예측가능한 미래/106

제4장 ESG 주요 공시 (박보식)

제1절 서론 113
1. ESG의 중요성/113
2. 공공기관의 ESG 경영/115
제2절 ESG 공시의 의의 118
1. ESG 공시의 개념/118
2. ESG 공시의 중요성/120
제3절 ESG 정보공시의 6가지 원칙 122
1. 정보의 정확성(Accuracy)/122
2. 정보의 명확성(Clarity)/122
3. 비교가능성(Comparability)/123
4. 정보의 균형(Balance)/123
5. 정보의 검증가능성(Verifiability)/123
6. 정보의 적시성(Timeliness)/124
제4절 공공부분에서 ESG 공시 124
제5절 ESG 정보공개가 필요한 이유 127
제6절 국내 ESG 공시제도 현황 129
1. 환경정보공개 제도 및 환경정보공개시스템/131
2. 기업공시내 환경정보/132
3. 지속가능보고서의 자율공시/132
4. 기업지배구조 보고서의 의무공시/132
5. 향후 ESG 정보공개 의무화 확대방안/133
제7절 ESG 공시 확대의 필요성과 방향성 134
제8절 ESG 기업공시 개선방안 136

제5장 E 영역의 주요 지표와 성과관리 (오수길)

제1절 서론 143
제2절 E 영역 공시에 대한 국제 동향 146
제3절 E 영역의 주요 지표 151
1. GRI 가이드라인의 환경적 성과 관련 지표/151
2. 한국ESG기준원의 평가지표/153
3. 관계부처 합동 K-ESG 가이드라인의 평가지표/154
제4절 환경 거버넌스에서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로 156
제5절 E 영역에서 공공부문의 대응 159

제6장 S 영역의 주요 지표와 성과관리 (사득환)

제1절 서론 173
제2절 ESG의 S 영역에서의 주요 지표 176
1. S 영역의 중요성 및 정의/176
2. S 영역의 주요 지표/179
제3절 공공부문에서의 성과관리 방법 190
1. ESG 평가절차/190
2. ESG 성과관리 방법 및 전략/192
3. ESG 성과평가 및 관련사례/195
제4절 S 영역에서 성과관리 과제 199

제7장 G 영역의 주요 지표와 성과관리 (양세훈)

제1절 서론 207
1. 공공영역의 ESG 적용/207
2. 한국 기업의 G 평가 수준/210
3. 신뢰받지 못하는 ESG 평가기관/ 213
제2절 지배구조(G) 성과관리 222
1. 공공기관의 ESG 대응 미흡/222
2. 공공기관 비상임이사 역할 증대/226
3. 거버넌스(G) 성과관리 방안/232

제8장 ESG와 리스크 관리 (양세훈)

제1절 ESG 적용과 생존 241
1. 공공기관 ESG 현실적 환경/241
2. 기업의 생존과 ESG 불가분의 관계/244
3. CSR, CSV, ESG 고도화/246
제2절 지방자치단체 조례 248
1. ESG 법률과 조례 제정/248
2. ESG 조례 특징 비교/254
제3절 공공기관 리스크 관리 260
1. 기타공공기관 ESG 평가 확대/260
2. 기업의 의지와 ESG 리스크관리/268
3. 공공기관 ESG 리스크 관리/271

제9장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와 ESG 전략 (사득환)

제1절 ESG시대의 도래 279
제2절 공공기관의 ESG경영 및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282
1. 공공기관의 ESG경영 필요성/282
2. 주주자본주의에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284
제3절 공공기관의 ESG 경영평가 현황 및 문제점 287
1. 공공기관의 ESG 경영평가 현황/287
2.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문제점/292
제4절 공공기관의 ESG 전략 298
1. SDG는 목표, ESG는 수단/298
2. 전략적 ESG경영 도입․활동/299
3. 공공기관 ESG 지표 개발(안)/300
4. ESG 공시제도 확대․시행/301
5. 총리실 산하 ‘ESG위원회’ 설치 및 ‘한국ESG진흥원’ 운영/303
제5절 공공기관 ESG평가의 과제 304

찾아보기/311

저자소개

오수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고려사이버대학교 정보관리보안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행정철학 등이며, 한국NGO학회 회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부회장,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위원장, 한국환경민간단체진흥회 이사장, SDSN Korea 사무총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지역정책 ESG 전략』(2024, 공저), 『공공부문 ESG전략』(2024, 공저), 『에코뮤지엄』(2022, 공저), 『환경행정학』(2020, 공저), 『환경사회학』(2015, 공저) 등이 있다(soogiloh@cuk.edu).
펼치기
박보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국정관리전략연구소 박사급 연구원과 수원과학대학 비서행정과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경동대학교 행정학과 강사와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로 있다. 관심분야는 다문화 정책, 리더십, 거버넌스, 환경정책, ESG 등이며, 주요 저서로는 ��리더십 5판��(2023), ��지적 대화를 위한 품격의 스피치��(2015), ��사회복지실천기술론��(2013)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정책과 상호문화주의”(2022), “의성군의 교통약자이동편의 증진에 관한 연구”(2013) 등이 있다(bosik0514@hanmail.net).
펼치기
홍형득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Manchester(UK)에서 박사학위(Meta-Evaluation of National Large-Scale R&D Programmes)를 취득하고, 현재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과학기술정책, 연구개발 평가 및 정보화 정책분야이며, 최근 연구논문으로는 “글로벌과학기술지식네트워크의지형변화에관한연구:G20국가를대상으로”(2013), “Operational-Efficiency Improvement of Public R&D Management Agencies in South Korea”(2019), “지역혁신체제와혁신클러스터의역동성변화분석”(2023) 등이 있다(hdhong@kangwon.ac.kr).
펼치기
사득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환경정책, 지속가능발전과 ESG, 공공기관, 복지행정 등이며, 물정책경제포럼 위원장, 한국행정학회 국토교통포럼특별위원장, 한국정책학회 부회장, 한국국정관리학회 부회장, 한국ESG학회 부회장, 한국지방자치학회 지방정부ESG위원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공공부문 ESG 전략』(2024, 공저), 『정책학으로의 초대』(2019, 공저), 『행정학으로의 초대』(2019, 공저),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거버넌스』(2002, 공저), 『한국 환경정책의 이해』(1997), “공공기관의 ESG경영과 정책 방향”(2023), “탄소중립시대 민관협력 산림거버넌스 구축 방안”(2022), “Water Governance Change in South Korea and the Netherlands”(2021), “기후변화에 따른 물관리 정책과 기든스 역설(Giddens’s Paradox)”(2021), “남북 공유하천 갈등과 독일 통합사례”(2018) 등이 있(sdwhan@kduniv.ac.kr).
펼치기
양세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ESG전략연구원장 및 한신대학교 대학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광운대, 경희대, 한국외대, 한세대 겸임교수와 한국정책분석평가원장을 역임하였고, 주요 관심 분야는 ESG, 사업평가, 성과관리, 생태환경이다. 저서로는 『지역정책 ESG 전략』(2024, 공저), 『공공부문 ESG 전략』(2024, 공저), 『지방정부 ESG』(2023, 공저), 『서울둘레길 숲이야기』(2022, 공저), 『생산과 소비의 플랫폼 협동조합』(2017),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거버넌스』(2012), 논문으로는 “Building energy commons: Three mini-PV installation cases in apartment complexes in Seoul(2021, 공저) 등이 있다(kbc8927@naver.com).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6449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