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역정책 ESG 전략

지역정책 ESG 전략

(지방자치단체의 환경·사회·거버넌스 행정 사례)

양세훈, 사득환, 오수길, 홍형득, 박보식, 김성균, 김현정, 지선진, 박명분, 마희정, 고광용, 허남식, 김연, 박금옥 (지은이)
대영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28,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800원
2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8,000원 -10% 1400원 23,800원 >

책 이미지

지역정책 ESG 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역정책 ESG 전략 (지방자치단체의 환경·사회·거버넌스 행정 사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9504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4-07-10

목차

서문/3

PART01 복지․지역․행정

CHAPTER01
동물복지와 ESG [양세훈] 21
제1절 서론 21
1. 반려동물의 사회적 가치 위상/21
2. 반려동물 관련 법률 제정 현황/24
제2절 환경(E) 관점의 정책과 사례 27
1. 반려동물의 환경 요인/27
2. 환경(E) 사례: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30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34
1. 반려동물의 사회 요인/34
2. 사회(S) 사례: 대전반려동물공원/36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정책과 사례 41
1. 반려동물의 거버넌스 요인/41
2. 거버넌스(G) 사례: 경기도동물보호복지플랫폼/43
제5절 결론 48
1. 소결/48
2. 정책 제언/51

CHAPTER02
사회복지와 ESG [오수길] 55
제1절 서론 55
1. 사회복지 분야의 ESG 연계/57
제2절 환경(E) 사례: 명륜종합사회복지관(강원도 원주시) 61
제3절 사회(S) 사례: 갈산종합사회복지관(인천광역시 부평구) 66
제4절 거버넌스(G) 사례: 범물종합사회복지관(대구광역시 수성구) 71
제5절 결론 75

CHAPTER03
산림복지와 ESG [마희정] 78
제1절 서론 78
1. 산림복지의 필요성/78
2. 산림복지 정책 현황/80
제2절 환경(E) 관점의 정책과 사례 82
1. 산림복지의 환경 요인/82
2. 환경(E) 부문 사례: 광양시 휴양림 태교 숲교실/84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87
1. 산림복지의 사회 요인/87
2. 사회(S) 부문 사례: 인천 만수산 무장애 도시숲/89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정책과 사례 92
1. ESG 관점의 산림복지/92
2. 거버넌스(G) 부문 사례: 충청 금산군 미세먼지 차단숲/96
제5절 결론 99
1. 소결/99
2. 정책 제언/100

CHAPTER04
전통주택과 ESG [박명분] 102
제1절 서론 102
1. 전통주택이 주목받는 이유/102
2. 한옥마을의 정의/104
제2절 환경(E) 관점의 정책과 사례 107
1. 한옥 자산의 진흥을 위한 지자체 환경/107
2. 환경(E) 부문 사례: 전주한옥마을/110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113
1. 한옥마을의 유형/113
2. 사회(S) 부문 사례: 경주 교촌한옥마을/114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정책과 사례 116
1. 한옥 관련 조례 제정 현황/116
2. 거버넌스(G) 부문 사례: 서울 은평한옥마을/120
제5절 결론 122

CHAPTER05
지역소멸과 ESG [박금옥] 126
제1절 서론 126
1. 지역소멸 정의 및 원인/126
2. ESG 관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소멸 대응/131
제2절 환경(E) 관점의 정책과 사례 135
1. 지역소멸과 환경(E) 요인/135
2. 환경(E) 부문 사례: 빈집 재생 프로젝트/140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142
1. 지역소멸과 사회(S) 요인/142
2. 사회(S) 부문 사례: 다문화가족 지원사업/145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정책과 사례 148
1. 지역소멸 대응 거버넌스(G) 요인/148
2. 거버넌스(G) 부문 사례: 고향사랑기부제/151
제5절 결론 153
1. 소결/153
2. 제언/156

CHAPTER06
지방공기업과 ESG [홍형득] 158
제1절 서론 158
1. ESG 개념과 정부지원정책/158
2. 지방공기업 ESG 추진 현황/161
제2절 환경(E) 관점의 도입경향과 사례 164
1. 지방공기업 ESG 환경 관점/164
2. 환경 부문 사례: 서울시설공단과 서울교통공사/166
제3절 사회(S) 관점의 도입경향과 사례 169
1. 지방공기업 ESG 사회(S) 관점/169
2. 사회 부문 사례: 인천시설관리공단과 경북개발공사/170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도입경향과 사례 172
1. 지방공기업 ESG 거버넌스(G) 관점/172
2. 거버넌스 부문 사례: 울산시설공단과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173
제5절 소결 및 정책 제언 177

CHAPTER07
지방행정과 ESG [허남식] 180
제1절 서론 180
1. ESG 행정의 의의/180
2. ESG 행정의 추진 방향/181
3. 광역자치단체의 ESG 행정 정책과 사례/183
4. 기초자치단체의 ESG 행정 정책과 사례/188
5. 행정기관의 ESG 교육 사례/190
제2절 환경(E) 관점의 정책과 사례 191
1. 지방행정의 환경(E) 요인/191
2. 환경(E) 사례: 광주광역시/191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195
1. 지방행정의 사회(S) 요인/195
2. 사회(S) 사례: 세종특별자치시/195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정책과 사례 197
1. 지방행정의 거버넌스(G) 요인/197
2. 거버넌스(G) 사례: 대구광역시 달서구/198
제5절 결론 202
1. 소결/202
2. 정책 제언/203

PART02 경제․도시․환경

CHAPTER08
대중교통과 ESG [박보식] 209
제1절 서론 209
1. 대중교통 정책/209
제2절 환경(E) 관점의 전기 저상버스 213
1. 서론/213
2.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213
3. 전기버스의 장점/214
4. 전기버스의 단점/215
5. 인천광역시 전기 저상버스 사례/215
제3절 사회(S) 관점의 100원 버스 217
1. 목포시의 초․중․고등학생 100원 시내버스 운영 현황/217
2. 목포시 교통카드 이용 시 버스요금 100원 내용/217
3. 운영 현황(2022년도 10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예산집행금액 및 이용건수)/217
4. 문제점과 개선방안/220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100원 택시 220
1. 아산시의 도시형 공공형 택시/220
제5절 결론 223
1. 소결/223
2. 정책 제언/224

CHAPTER09
전통시장과 ESG [김 연] 227
제1절 서론 227
1. 전통시장 정책/227
2. ESG 관점의 전통시장 정책/231
제2절 환경(E) 관점의 정책과 사례 232
1. 전통시장의 환경 요인과 해법/232
2. 환경(E) 부문 사례: 양양전통시장/233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236
1. 전통시장의 사회 요인/236
2. 사회(S) 부문 사례: 구리전통시장/238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정책과 사례 241
1. 전통시장의 거버넌스 요인/241
2. 거버넌스(G) 부문 사례: 진주전통시장/242
제5절 결론 244
1. 소결/244
2. 정책 제언/248

CHAPTER10
지역경제와 ESG [고광용] 251
제1절 서론 251
1. 지역경제/251
2. ESG 관점의 지역경제/252
제2절 환경(E) 관점의 정책과 사례 253
1. 지역경제의 환경 요인/251
2. 환경(E) 부문 사례: 제주도 가시리마을/255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256
1. 지역경제의 사회 요인/256
2. 사회(S) 부문 사례: 거창 승강기 밸리/261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정책과 사례 262
1. 지역경제의 거버넌스 요인/262
2. 거버넌스(G) 부문 사례: 전북 고창군 ESG 대상/263
제5절 결론 266
1. 소결/266
2. 정책 제언/268

CHAPTER11
도시계획과 ESG [김성균] 270
제1절 서론 270
1. 도시계획과 우리의 일상/270
2. 지속가능성을 수용한 도시계획/271
3. 도시계획과 ESG/273
제2절 환경(E) 관점의 정책과 사례 276
1. 도시계획의 환경 요인/276
2. 환경(E) 부문 사례: 세종시를 중심으로/277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280
1. 도시계획의 사회 요인/280
2. 사회(S) 부문 사례: 청주시를 중심으로/281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정책과 사례 285
1. 도시계획의 거버넌스 요인/285
2. 거버넌스(G) 부문 사례: 수원시를 중심으로/286
제5절 결론 289
1. 소결/289
2. 정책 제언/291

CHAPTER12
지역관광과 ESG [지선진] 295
제1절 서론 295
1. 관광과 ESG/295
2. 지속가능한 관광과 ESG 관련 정부정책/297
3.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입한 관광부문 ESG 조례/301
제2절 환경(E) 관점의 지역관광 정책과 사례 302
1. 환경(E) 관점의 지역관광 정책 동향/302
2. 환경(E) 부문 사례: 제주특별자치도/306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308
1. 사회(S) 관점의 지역관광 정책/308
2. 사회(S) 부문 사례: 안산시/310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지역관광 정책과 사례 312
1. 거버넌스(G) 관점에서 지역관광 정책/312
2. 거버넌스(G) 부문 사례: 강릉커피축제/315
제5절 결론 317
1. 소결/317
2. 정책 제언/318

CHAPTER13
비선호시설과 ESG [사득환] 321
제1절 서론 321
1. 비선호시설의 정의와 유형/321
2. ESG 관점의 비선호시설/325
제2절 환경(E) 관점의 정책과 사례 326
1. 비선호시설의 환경 요인/326
2. 환경(E) 부문 사례: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328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331
1. 비선호시설의 사회 요인/331
2. 사회(S) 부문 사례: 교도소 유치/333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정책과 사례 335
1. 비선호시설의 거버넌스 요인/335
2. 거버넌스(G) 부문 사례: 쓰레기와 하수처리 빅딜/336
제5절 결론 339
1. 소결/339
2. 정책 제언/341

CHAPTER14
순환경제와 ESG [김현정] 345
제1절 서론 345
1. 순환경제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345
2. 순환경제 정책/348
3. ESG 관점의 순환경제 이해/352
제2절 환경(E) 관점의 순환경제 정책과 사례 352
1. 순환경제의 환경 요인/352
2. 환경(E) 부문 사례: 다회용기 선순환 시스템/354
제3절 사회(S) 관점의 정책과 사례 357
1. 순환경제의 사회 요인/357
2. 사회(S) 부문 사례: 클린예천 보물마차/358
제4절 거버넌스(G) 관점의 정책과 사례 363
1. 순환경제의 거버넌스 요인/363
2. 거버넌스(G) 부문 사례: 순환골재 활용/365
제5절 결론 366
1. 소결/366
2. 정책 제언/367

부록/370
찾아보기/372

저자소개

오수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고려사이버대학교 정보관리보안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행정철학 등이며, 한국NGO학회 회장,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부회장,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위원장, 한국환경민간단체진흥회 이사장, SDSN Korea 사무총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지역정책 ESG 전략』(2024, 공저), 『공공부문 ESG전략』(2024, 공저), 『에코뮤지엄』(2022, 공저), 『환경행정학』(2020, 공저), 『환경사회학』(2015, 공저) 등이 있다(soogiloh@cuk.edu).
펼치기
박보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국정관리전략연구소 박사급 연구원과 수원과학대학 비서행정과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경동대학교 행정학과 강사와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로 있다. 관심분야는 다문화 정책, 리더십, 거버넌스, 환경정책, ESG 등이며, 주요 저서로는 ��리더십 5판��(2023), ��지적 대화를 위한 품격의 스피치��(2015), ��사회복지실천기술론��(2013)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정책과 상호문화주의”(2022), “의성군의 교통약자이동편의 증진에 관한 연구”(2013) 등이 있다(bosik0514@hanmail.net).
펼치기
홍형득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Manchester(UK)에서 박사학위(Meta-Evaluation of National Large-Scale R&D Programmes)를 취득하고, 현재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과학기술정책, 연구개발 평가 및 정보화 정책분야이며, 최근 연구논문으로는 “글로벌과학기술지식네트워크의지형변화에관한연구:G20국가를대상으로”(2013), “Operational-Efficiency Improvement of Public R&D Management Agencies in South Korea”(2019), “지역혁신체제와혁신클러스터의역동성변화분석”(2023) 등이 있다(hdhong@kangwon.ac.kr).
펼치기
김성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생태공동체를 꿈꾸는 공간사회학자 김성균은 현장에서 삶의 이야기를 듣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해법을 찾고자 노력하는 연구자이다. 지역사회개발, 지역개발, 도시계획을 공부한 그는 생태공동체, 커뮤니티, 마을공동체, 지역정치, 도시재생, 사회적경제, 아나키즘, 에코 뮤지엄, 트랜지션 타운, ESG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지역의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해법을 모색해왔다. 특히, 지역사회개발, 지역 개발, 도시계획이 갖는 학문적 한계를 넘어서고자 생태철학을 시작으로 서양철학을 비롯하여 공간과 사회를 관통하는 학문의 근원을 찾아 현장 중심연구를 오늘도 이어가고 있다. 저자는 한신대학교 학술원 연구교수, 성결대학교 겸임교수를 비롯하여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이화여자대학교, 아주대학교, 한신대학교, 현도사회복지대학교, 숭실대학교 대학원에서 지역사회학, 환경사회학, 도시사회학, NGO와 시민 사회학 등을 주제로 오랜 시간 강의를 한 바 있다. 저자는 오늘도 자기 주제를 가지고 연구와 컨설팅을 하면서 자신의 기록을 위한 글쓰기에 몰두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지역정책 ESG 전략》(2024). 《지방정부 ESG》(2023). 《에코뮤지엄: 지붕 없는 박물관》(2022). 《더불어 피는 마을 꽃 논골》(2018). 《한국, 한국인을 말하다》(2017).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2015). 《분명한 전환》(2015). 《지리산에 길을 묻다》(2014). (2014 문광부 세종도서 교양도서 부분) 《녹색당과 녹색정치》(2013). (2014 문광부 세종도서 학술부문) 《만안의 기억》(2013). 《지금, 여기의 아나키스트》(2013). 《똥이 밥이다》(2012).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2011). (2011년 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 학술지원도서) 《에코뮤니티》(2009).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https://brunch.co.kr/@community https://www.facebook.com/ecocommunity
펼치기
사득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환경정책, 지속가능발전과 ESG, 공공기관, 복지행정 등이며, 물정책경제포럼 위원장, 한국행정학회 국토교통포럼특별위원장, 한국정책학회 부회장, 한국국정관리학회 부회장, 한국ESG학회 부회장, 한국지방자치학회 지방정부ESG위원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공공부문 ESG 전략』(2024, 공저), 『정책학으로의 초대』(2019, 공저), 『행정학으로의 초대』(2019, 공저),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거버넌스』(2002, 공저), 『한국 환경정책의 이해』(1997), “공공기관의 ESG경영과 정책 방향”(2023), “탄소중립시대 민관협력 산림거버넌스 구축 방안”(2022), “Water Governance Change in South Korea and the Netherlands”(2021), “기후변화에 따른 물관리 정책과 기든스 역설(Giddens’s Paradox)”(2021), “남북 공유하천 갈등과 독일 통합사례”(2018) 등이 있(sdwhan@kduniv.ac.kr).
펼치기
양세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ESG전략연구원장 및 한신대학교 대학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광운대, 경희대, 한국외대, 한세대 겸임교수와 한국정책분석평가원장을 역임하였고, 주요 관심 분야는 ESG, 사업평가, 성과관리, 생태환경이다. 저서로는 『지역정책 ESG 전략』(2024, 공저), 『공공부문 ESG 전략』(2024, 공저), 『지방정부 ESG』(2023, 공저), 『서울둘레길 숲이야기』(2022, 공저), 『생산과 소비의 플랫폼 협동조합』(2017),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거버넌스』(2012), 논문으로는 “Building energy commons: Three mini-PV installation cases in apartment complexes in Seoul(2021, 공저) 등이 있다(kbc8927@naver.com).
펼치기
고광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행정학 박사수료,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원, 자유기업원 입법정책실장, 광운대 강사, 한국외대 행정학과 강사로 재직한 바 있다. 현재는 고향으로 돌아와 고창군 출연(연) 고창식품산업연구원 지역발전전략팀 재직 중이다. <대안으로서의 지역순환경제>(2023, 공저) 저서가 있고, <지역시민사회 거버넌스 주도 지역경제회복 사례 분석 및 전략 개발 연구>(2022, NGO연구), <지역발전특별회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2018, 정치정보연구), <한국정부의 지방분권화 성과와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2015, 한국지방자치학회보) 등의 연구논문이 있다. 주요 관심 연구 분야는 지방자치와 지방재정, 지역소멸과 지역(순환)경제, ESG이다.
펼치기
김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행복하고 지속 가능한 공동체 마을 만들기에 대한 관심을 갖고 조경학과 관광학을 전공하였다. 대학원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시작으로 지속가능발전 실천협의회 활동 등 연구와 실천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주민주도의 지속 가능한 관광 및 지역개발 프로젝트를 기획, 컨설팅하며, 커뮤니티 디자인, 문화기획, 사회적경제 등을 주민들과 함께 구현하며 현장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련 저서로는 《사회적기업 창업 길라잡이: 사회적기업가의 사회혁신을 위한 도전》, 《사회적기업 사업계획 수립 가이드 : 비영리 조직의 혁신적 도전》, 《2022 개발협력 파트너국과 함께하는 사회적경제 사업 가이드북(키르기즈공화국편, 네팔편)》 등을 공저하였다. 최근 얼룩소 등에 그동안 지역사회 주민들과 함께 지속가능발전 활동들과 연구 경험을 연재하고 있다. https://alook.so/users/ZBtO6Z
펼치기
마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영학 박사 학위 수료, 한세대학교 사회적경제 학과에서 외래교수로 후학양성에 매진했다. (사)파주시공유경제네트워크 이사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기, 21기 부회장 등 지역사회 발전에 관심이 많다. 30여 년 기업경영을 토대로 경기도 여성경제인협회 이사, 전경련 ESG 전문가 자격 취득 후 컨설턴트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지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관광학 박사, 전경련ESG전문가, SMAT1급(서비스경영자격). 경기도 세계도자기엑스포조직위원회 관광진흥본부, 서울시 관광과, 서울관광마케팅(現서울관광재단) 에 재직했으며, 경기대, 가천대, 명지대 등 대학에서 관광경제학, 지역관광론, 국제관광연구, 관광사회경제론, 관광자원론, 관광산업연구, 관광개발론 등의 교과목을 강의했다. 현재는 용인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강사, 오산시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연구논문으로 “문화관광에서 창조성과 창조적 경험의 의미: 북촌한옥마을 관광객의 관점에서 근거이론 접근”, “Contribution of Islamic Culture and its Impact on the Asian Tourism Market”, “탈근대 관광의 개념과 그 사회적 형성: 국내 관광상품 기획판매자 심층인터뷰의 해석”, “A Case Study of Social Tourism Policies in Republic of Korea” 등이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지속가능한 관광, community-based tourism, 관광현상의 사회문화적 트렌드, 관광서비스 경영 등이다.
펼치기
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영학 석사, 전경련 ESG 전문가, 경기도교육청 주민참여예산 자문위원회 운영위원, 경기구리지역자활센터 운영위원, 구리시사회적경제협회 사무국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시 사회적경제 관련 중간지원조직 협치 활성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ESG 전략체계 수립 및 성과지표 개발, 구리시 사회적경제 확산을 위한 전략, 성남시 사회적경제・창업보육 D/B구축 용역 연구조사, 화성시 사회적경제 정책 거버넌스 활성화 연구 등 공동연구원 실적이 있다. 주요 관심 연구 분야는 사회적경제, ESG, 거버넌스다.
펼치기
박금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영학 석사, CSR 경영관리사, 전경련ESG전문가로 서영대학교 사회적경제과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파주시 사회적경제, 마을공동체지원센터에서 사회적경제 분야 담당(사회적경제 컨설팅. 교육 사업 운영)으로 재직, 경기도 양평군 사회적경제 5개년 계획연구 등 다수 연구 실적이 있다.
펼치기
박명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영학 박사, 한세대학교 외래교수, 경기도마을기업협회장과 한국마을기업협회장을 역임했다. 경기도와 화성시 사회적경제육성위원회 위원, 행정안전부 마을기업 중앙컨설팅단 위원 활동을 했다. 화성시 자원봉사센터 이사와 남부노인복지관 운영위원으로 지역복지에 관심이 많다. 전경련ESG전문가 자격을 취득하고 ESG 컨설턴트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허남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6449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