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언어를 둘러싼 문제들

언어를 둘러싼 문제들

(언어학·일본어론으로의 초대)

마쓰모토 가쓰미 (지은이), 박종후 (옮긴이)
박영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720원
23,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2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언어를 둘러싼 문제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언어를 둘러싼 문제들 (언어학·일본어론으로의 초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3031295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2-02-20

목차

제1부 언어와 민족 _1
제1장 세계의 언어: 현황과 미래 _3
01 머리말 3
02 세계 언어의 지역적 분포 5
03 세계 언어의 계통적 분포 6
04 언어의 계통과 그 시간적 깊이 12
05 언어와 화자 인구 16
06 언어와 국가 23
07 위기에 빠진 언어 33
08 세계 언어권 선언 38

제2장 유럽의 언어와 민족 _47
01 머리말 47
02 인도-유럽(인구)어족 48
03 근대 유럽의 인구제어 50
(1) 로망스어 51
(2) 게르만어 53
(3) 슬라브제어 56
(4) 그 밖의 인구제어 58
(5) 비인구제어 60
04 유럽에서 근대 국어의 성립 62
(1) 글말과 입말 62
(2) 근대 문어의 발달 66
(3) 동유럽의 경우 71
(4) 유럽의 언어 내셔널리즘 72
(5) 중·동유럽과 발칸의 국가들 76
05 유럽 언어들의 공통 특징 : 다양성 속의 통일성 78
(1) 국어의 분립과 국제화 78
(2) 유럽 언어들의 문법적 특징 80
(3) 고전 문어의 유산 85

제2부 언어의 유형과 역사 _89
제3장 언어유형론과 역사언어학 _91
01 고전적 유형론과 그로부터의 탈각(脫却) 91
02 일본어 음운사와의 관련성 94
03 언어유형론과 언어보편성 97

제4장 일본어와 인구어 _99
01 머리말 99
02 유럽의 인구어와 아시아의 인구어 100
03 표준·평균적 유럽어(SAE) 102
04 맺음말 105

제5장 어순 이야기 _107
01 머리말 107
02 어순의 유형론 108
03 세계 언어 속의 일본어 111

제6장 어순의 데이터베이스: 나의 컴퓨터 사용기 _115
01 머리말 115
02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117
03 맺음말 124

제7장 언어사에서 60년이란 _125
01 언어사에서 연대의 문제 125
02 언어 변화에서 60년이란 131
03 말의 흔들림: 진행 중인 언어 변화 132

제8장 역사언어학 입문 _137
01 말의 변화상 138
02 음운 변화와 그 규칙성 139
03 비교방법 141
04 언어의 수렴적 발달 143
05 내적 재구 144
06 보충 질문 145
(1) ‘음운 법칙’ 또는 ‘음운 대응의 법칙’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십시오. 145
(2) ‘언어연합’의 실례를 좀 들어 주십시오. 145
(3) ‘내적 재구’에 대하여 좀 더 설명해 주십시오. 146
07 역사언어학의 참고서 147

제3부 언어의 구조와 인지 _149
제9장 수(數)의 문법화와 그 인지적 기반 _151
01 수 표시의 양상들 151
02 수에 관한 보편성 156

제10장 언어 연구와 ‘의미’ _161
01 머리말 161
02 구조주의와 의미 연구 162
03 통사론과 의미론 168

제11장 언어현상에서 중심과 주변 _175
01 언어의 구조와 불균형성 175
02 공시태와 통시태 178
03 언어의 다양성과 보편성 180
04 언어와 인지 182

제12장 능격성에 관한 약간의 보편적 특징
: 심포지엄 「능격성을 둘러싸고」를 끝맺으며 _185
01 머리말 185
02 능격성의 정의 186
03 능격성의 실현 188
04 능격성과 대격성의 공존 189
(1) 명사의 격 표시와 동사의 일치(인칭 표시) 189
(2) 능격성과 동사의 시제(tense)와 상(aspect) 190
(3) 격 표시와 명사의 의미 계층 191
(4) 격 표시와 동사의 의미 192
05 형태론과 통사론의 관계 193
(1) 능격성과 통사법 194
(2) 능격성과 “anti-passive” 196
(3) 능격성과 담화 구조 197
(4) 능격성과 단어 구성 198
(5) 능격성/대격성의 발생 기반 200
06 능격성과 어순의 유형 202
(1) 능격형 어순이란? 202
(2) 능격성과 주어·목적어의 어순 203
(3) 능격성과 SVO형 어순 205

제4부 일본어와 일본인의 뿌리를 찾아서 _211
제13장 ‘벼·쌀’ 어원에 대한 고찰 _213
01 인도의 벼·쌀 213
02 동아시아의 벼·쌀 : ‘자포니카’종 214
03 동남아시아의 벼·쌀 215
(1) 오스트로네시아제어 215
(2) 따이·까다이제어 215
(3) 오스트로아시아제어 216
04 한어(漢語)의 벼·쌀 217
05 일본어의 벼·쌀 220
06 한국어의 벼·쌀 222

제14장 벼·쌀의 비교언어학 _225
01 머리말 227
02 지금으로부터 5천 년 전 동아시아에서 사용되었으리라 추정되는 언어의 분포 227
03 오스트로네시아제어의 벼·쌀 어휘와 그 분포 230
04 오스트로아시아제어의 벼·쌀 어휘 235
05 따이·까다이제어의 벼·쌀 어휘 238
06 먀오·야오제어의 벼·쌀 어휘 240
07 티베트·버마제어의 벼·쌀 어휘 242
08 한어권의 벼·쌀 어휘와 그 기원 246
09 한어, 한국어, 일본어의 벼농사 관련 어휘 249
(1) 일본어의 벼농사 관련 어휘 251
(2) 한국어의 벼·쌀 어휘 253
10 맺음말 254

제15장 나의 일본어 계통론: 언어유형지리론에서 유전자계통지리론으로 _257
01 들어가며 257
02 유형지리론으로 탐구하는 언어의 먼 친족 관계 260
03 인칭대명사를 가지고 도출해 낸 세계 언어의 계통 분류 269
04 언어의 계통과 그 유전자적 배경 276
05 동아시아 여러 집단들에서 Y염색체 유전자 계통의 분포 281
06 태평양 연안계 집단이 환동해·일본해으로 도래한 시기 295

찾아보기 303
저자후기 311

표 차례

표 1.1 세계 언어의 언어 수와 지역 분포 5
표 1.2 세계 언어의 계통 분류 8
표 1.3 세계의 여러 언어들과 화자 인구의 비율 18
표 1.4 화자 인구에 따른 상위 100개 언어(1) 20
표 1.5 상위 약 100개 언어의 지역 분포(식민언어를 제외) 23
표 1.6 상위 약 100개 언어의 어족 분포 23
표 1.7 세계의 국가별 언어 자료 (1) : 아시아(46개국) 24
표 1.8 세계의 국가별 언어 자료 (2) : 유럽(43개국) 25
표 1.9 세계의 국가별 언어 자료 (3) : 아프리카(53개국) 29
표 1.10 국가 공용어로 인정받은 토착어의 수 31
표 1.11 다국적 공용어 상위 10개 언어 33
표 9.1 토크·피진어의 인칭대명사 156
표 2.1 유럽의 언어들 64
표 12.1 명사의 격 표시와 동사의 일치 190
표 12.2 능격성과 시제·상 191
표 12.3 능격성과 통사법 195
표 14.1 오스트로네시아제어의 벼·쌀 관련 어휘1 : 타이완·필리핀 231
표 14.2 오스트로네시아제어의 벼·쌀 관련 어휘2 : 인도네시아 232
표 14.3 오스트로아시아제어의 벼·쌀 관련 어휘1 235
표 14.4 오스트로아시아제어의 벼·쌀 관련 어휘2 236
표 14.5 따이·까다이제어의 벼·쌀 관련 어휘 239
표 14.6 먀오·야오제어의 벼·쌀 관련 어휘 240
표 14.7 먀오·야오제어의 어두 /*n-/의 대응 예 241
표 14.8 타이제어의 찹쌀 242
표 14.9 오스트로아시아제어의 찹쌀 242
표 14.10 티베트·버마제어의 벼·쌀 관련 어휘1 242
표 14.11 티베트·버마제어의 벼·쌀 관련 어휘2 243
표 14.12 한어권에서 ‘벼’, ‘쌀’, ‘조’의 방언적 변이 247
표 14.13 벼농사와 관계된 한어, 한국어, 일본어의 주요 어휘 250
표 14.14 드라비다제어 255
표 14.15 인도권의 벼의 주요 품종명 255
표 14.16 인도·아리아제어 256
표 15.1 유형적 특징의 지역·어족적 분포: 아프리카·유라시아·오세아니아 263
표 15.2 언어유형지리론으로 본 유라시아 언어들의 계통 분류 267
표 15.3 인칭대명사로 본 ‘환태평양언어권’의 윤곽 270
표 15.4 유라시아 태평양 연안제어의 인칭대명사 272
표 15.5 유로·알타이제어의 인칭대명사 273
표 15.6 인칭대명사에 의한 세계 언어들의 계통 분류 274
표 15.7 동북아시아·시베리아 집단들의 Y염색체 유전자 계통 282
표 15.8 한어계 집단들의 Y염색체 유전자 계통 283
표 15.9 티베트·버마계 집단의 Y염색체 유전자 계통 283
표 15.10 환동해·일본해 지역(일본열도, 한반도, 만주)의 Y염색체 유전자 계통 284
표 15.11 태평양 연안 남방군 1(오스트로·먀오계)의 Y염색체 유전자 계통 286
표 15.12 태평양 연안 남방군 2a(오스트로·타이계)의 Y염색체 유전자 계통 287
표 15.13 태평양 연안 남방군 2b(오스트로네시아계)의 Y염색체 유전자 계통 287
표 15.14 양쯔강 유역 인류 화석의 뼈에서 검출된 Y염색체 유전자 계통 288

그림 차례

그림 1.1 세계언어 분포 약도 14
그림 14.1 지금으로부터 5천 년 전의 아시아의 언어 분포 추정도 228
그림 14.2 선사 중국 대륙부의 4어족(B1, B2, B3, C)의 현재의 분포도 230
그림 15.1 유음 유형의 지리적 분포 264
그림 15.2 형용사 유형의 지리적 분포 264
그림 15.3 유별 유형의 지리적 분포 265
그림 15.4 후기 구석기 시대의 태평양 연안부의 지형 265
그림 15.5 Y염색체 유전자의 계통 약도 277
그림 15.6 Y염색체 D, C, O 계통의 분기 약도 279
그림 15.7 Y염색체 유전자 계통의 지리적 분포-1 289
그림 15.8 Y염색체 유전자 계통의 지리적 분포-2 290
그림 15.9 Y염색체 O계통과 태평양 연안 언어권 292

저자소개

마쓰모토 가쓰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9년 일본 나가노현 출생, 도쿄대학 문학부 언어학과 졸업. 가나자와대학, 쓰쿠바대학, 시즈오카현립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가나자와대학, 시즈오카현립대학 명예교수, 전 일본언어학회 회장. 전공은 역사비교언어학, 언어유형론. 주요 저서:『古代日本語母音論:上代特殊仮名遣の再解釈』ひつじ書房 1995, 『世界言語への視座:歴史言語学と言語類型論』 三省堂 2006, 『世界言語のなかの日本語:日本語系統論の新たな地平』 三省堂 2007, 『世界言語の人称代名詞とその系譜:人類言語史5万年の足跡』三省堂 2010, 『歴史言語学の方法:ギリシア語史とその周辺』 三省堂 2014.
펼치기
박종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8년 서울 출생.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일본 도쿄외국어대학ISEP(International Student Exchange Program) 참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일본 도시샤대학 강사를 거쳐, 현재 일본 독협대학 특임준교수. 전공은 현대 한국어 문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옮긴 책으로는, 『언어유형지리론과 환태평양 언어권:유형지리론으로 탐구하는 언어의 친족 관계』(역락, 2014), 『역사언어학과 언어유형론』(역락, 2016).
펼치기

책속에서

일러두기

① 이 책은 松本克己의 『ことばをめぐる諸問題:言語学·日本語論への招待』(三省堂, 2016)을 첨삭하지 않고 한국어로 옮긴 것이다.
② 역주는 [옮긴이]라고 표시하여 원주와의 혼란을 피했으며, 이를 작성하는 데는 위키피디아 영어판·한국어판·일본어판,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두산백과사전, 일본의 산세이도(三省堂)에서 발행한 『言語学大事典』 등을 참고하였다. 단, 역주에 있는 잘못은 전적으로 옮긴이의 책임임을 밝혀 둔다.
③ 외국어를 한국어로 옮겨 적을 때는 가급적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 그리고 표준국어대사전 온라인판을 따랐다. 단,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는 언어명이나 지명 등의 경우에는 위키피디아 한국어판과,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두산백과사전 등을 참고하여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는 표기를 따랐다.
④ 일반 독자에게 생소할 것 같은 언어명이나 지명에 대해서는 괄호 안에 로마자 또는 한자를 덧붙였다. 또 마지막 부분에 언어명 색인을 추가하였는데, 이는 모두 옮긴이에 의한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