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30323114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목차
PART 1 먹방과 한국인의 소통 문화
CHAPTER 1 한국인의 일상적 표현
1. 먹고 살기 힘들지? 12
2. 밥은 먹고 다니냐? 14
3. 영화 <살인의 추억> “밥은 먹고 다니냐?” 16
4. 밥과 관련된 한국인의 소통 18
CHAPTER 2 밥심과 밥상머리 문화
1. 한국인과 밥심 22
2. 밥상공동체 문화 25
3. 밥상의 상징성 28
4. 밥상머리 대화 30
PART 2 먹방과 한국 음식 방송
CHAPTER 3 한국 음식 방송 콘텐츠
1. 한국, 푸드 전문 채널이 없는 나라 38
2. 한국의 음식 방송과 먹방 41
3. 한국 음식 방송의 특성 46
CHAPTER 4 온라인 먹방 콘텐츠
1. 온라인 먹방과 밥상머리 대화 50
2. 온라인 먹방의 유형 54
3. 아프리카TV와 유튜브 먹방 59
PART 3 먹방Mukbang의 시작과 영향
CHAPTER 5 먹방Mukbang의 탄생과 성장
1. 먹방이라는 조어의 탄생 66
2. Mukbang 단어의 사전 등재와 의미 68
3. Mukbang의 글로벌 확산 75
CHAPTER 6 방송 시장으로 먹방의 경제학
1. 국내외 먹방 시장 81
2. 먹방과 식품 소비 85
3. 유튜브 경제의 활성화와 먹방 시장 88
4. 먹방의 파급효과 90
5. 먹방 인플루언서와 미디어 경제 94
PART 4 먹방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
CHAPTER 7 먹방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1. 먹방과 가상 음식지형(virtual foodscape) 103
2. 먹방과 정서적 식욕(emotional eating) 108
3. 먹방과 일탈행동(deviance) 111
4. 먹방과 대리 경험(vicarious experience) 114
5. 먹방과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117
CHAPTER 8 먹방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고찰
1. 한국 문화와 음식 철학 124
2. 정서적 교류와 한국의 의례음식 128
3. 현대 사회 정서적 교류와 음식 131
4. 혼밥, 혼술, 그리고 먹방 134
CHAPTER 9 먹방 시청에 대한 방송학적 고찰
1. 먹방 시청에 대한 이용과 충족 138
2. 먹방을 통한 오락 및 즐거움 141
3. 먹방을 통한 현실 도피와 스트레스 해소 144
4. 먹방을 통한 정보탐색 동기 146
5. 먹방을 통한 대리 충족 148
6. 먹방을 통한 정서적 교류 151
7. 먹방에 대한 이용과 충족의 특이점 153
CHAPTER 10 먹방과 헬스커뮤니케이션
1. 먹방이 식문화에 미치는 영향 157
2. 먹방이 식습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159
3. 헬스리터러시와 먹방 시청 165
PART 5 결론
CHAPTER 11 먹방의 순기능과 역기능
1. 디지털 미디어 시대 여가 활동 172
2. 먹방의 순기능 178
3. 먹방의 역기능 185
4. 먹방에 대한 사회적 논의 193
CHAPTER 12 먹방과 결핍, 그리고 충족
1. 먹방을 통한 한국 밥상문화의 전파 196
2. 먹방과 결핍 201
3. 먹방과 충족 206
4. 먹방이라는 헤테로토피아 211
5. 맺음말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