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동소유에 관한 연구

공동소유에 관한 연구

남효순, 이동진, 이계정 (지은이)
박영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공동소유에 관한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동소유에 관한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30336688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20-10-30

책 소개

공동소유에 관한 연구는 민법의 다른 분야들과 달리 깊이 있는 논의가 적은 분야이어서, 물권법정주의가 공동소유.준공동소유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또 채권의 준공동소유와 수인의 채권자 및 채무자와의 관계가 명확히 규명되고 있지 못하다. 이것이 공동소유에 대한 공동연구를 제안한 계기였다.

목차

제1장 연구의 배경과 요약/1
제2장 민법 중 공유에 관한 규정의 입법론적 고찰
Ⅰ. 서 론 7
Ⅱ. 제262조․제263조 9
1. 현행규정과 개정논의 9
2. 검 토 12
Ⅲ. 제264조․제265조 20
1. 현행규정과 개정논의 20
2. 검 토 25
Ⅳ. 제266조․제267조 41
1. 제266조 41
2. 제267조 44
Ⅴ. 제268조․제269조․제270조 48
1. 현행규정과 개정논의 48
2. 검 토 52
Ⅵ. 결 론 61

제3장 우리 민법상 합유와 준합유의 강제
―학설과 판례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합유의 새로운 해석―
―물권 및 물권적 청구권개념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단초4―
Ⅰ. 서 론 67
Ⅱ. 조합재산의 소유형태에 관한 입법례 70
1. 독일민법 71
2. 일본민법 72
3. 스위스민법 73
4. 대만민법 76
5. 프랑스민법 77
6. 결 어 78
Ⅲ. 민법 제271조 제2항과 물권법정주의 79
1. 물권법정주의 일반 80
2. 제271조 제2항에 대한 통설의 해석의 문제점 83
3. 제271조 제2항에 대한 새로운 해석 84
4. 합유물의 관리에 관한 규정 90
5. 합유물의 보존행위 91
Ⅳ. 조합재산의 소유형태와 조합계약의 자유 93
1. 물권편 제271조 제1항 제1문과 채권편 제704조의 관계 93
2. 조합의 소유형태에 대한 학설과 판례 94
3. 2001년 분과위의 개정시안과 2014년 민법개정위의 개정안 97
4. 결 어 98
Ⅴ. 물권법의 합유규정과 채권법의 조합규정의 충돌 101
1. 물권법과 채권법의 충돌의 영역 101
2. 제272조와 제706조(제2항․제3항)의 관계 102
Ⅵ. 채권(채무)의 준합유 110
1. 서 론 110
2. 채권의 준합유에 대한 입법례 110
3. 판 례 112
4. 채권의 준합유와 다수당사자의 채권의 관계 113
5. 채권의 준합유의 본질과 다수당사자의 채권과의 차이 118
6. 결 어 122
Ⅶ. 결 론 123

제4장 조합인 공동이행방식의 공동수급체의 채권의 귀속형태―준합유
―분할채권은 조합재산인 채권의 귀속형태가 될 수 있는가?―
―대법원 2012. 5. 17. 선고 2009다105406 전원합의체 판결―
Ⅰ. 판결개요 131
1. 사건의 개요 131
2. 소송의 경과 133
3. 대법원의 판결요지―파기환송 136
Ⅱ. 해 설 138
1. 쟁 점 138
2. 관련 판례 141
3. 관련 학설 144
4. 결 론 157

제5장 총유 규정의 개정 여부와 비법인사단의 규율
Ⅰ. 서 론 165
Ⅱ. 총유의 개념 167
1. 연 혁 167
2. 우리 민법상 총유의 의의 168
Ⅲ. 총유 규정의 문제점 172
1. 문제의 제기 172
2. 총유 규정이 법인 아닌 사단의 실제를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 173
3. 총유 규정이 재판규범으로서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 177
4. 총유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부당한 결과 183
5. 소 결 188
Ⅳ. 총유 규정의 폐지에 대한 반론에 대한 검토 188
1. 문제의 제기 188
2. 총유 규정의 폐지에 대한 주요 반론과 그 타당성에 대한 검토 191
3. 소 결 201
Ⅴ. 총유 규정의 폐지와 비법인사단의 규율 202
1. 문제의 제기 202
2. 비법인사단의 부동산에 관한 대표자의 처분권 제한 공시 여부 202
3. 분배조항의 신설이 타당한지 여부 205
4. 해산 시 잔여재산 처리에 관한 분과위안의 타당성 207
5. 사원의 연대책임 규정의 타당성 207
6. 소 결 208
Ⅵ. 결 론 209

색 인
판례색인 219
사항색인 225

저자소개

남효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수료 프랑스 낭시(Nancy) 제2대학교 법학박사 프랑스 낭시(Nancy) 제2대학교 교수 역임 법무부 민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 분과위원장 한국민사법학회 회장 역임 한불민사법학회 회장 역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펼치기
이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1998) 서울대학교 법학박사(2016) 서울중앙지방법원 등 판사, 사법연수원 교수(2002-2013) 미국 U. C. Berkeley LL.M.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신탁의 기본법리에 관한 연구(2017), 민사법실무강의(2024) 그 외 저서와 논문 다수
펼치기
이동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판사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민법, 의료법 등을 연구, 강의하고 있다.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 등 공저 20여 권, 논문 120여 편이 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법학박사 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북부지방법원 판사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민법주해[III]>, <주석민법[총칙2] 제5판>, <주석민법[채권각칙2] 제5판>, 그 외 논문 다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67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