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리운 이름 따라

그리운 이름 따라

(명동 20년, 초판본)

이봉구 (지은이), 강정구 (엮은이)
지식을만드는지식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1,100원
19,800원 >
22,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2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400원 -10% 720원 12,240원 >

책 이미지

그리운 이름 따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리운 이름 따라 (명동 20년, 초판본)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전 한국소설
· ISBN : 979113041834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4-06-16

책 소개

'지식을 만드는 지식 소설선집'. 1940∼1960년대, 서울 명동은 대한민국의 문화촌이었다. 지금은 그저 번화가이지만, 당시엔 여러 신문사.잡지사 등이 이곳에 있었고, 문인들이 쉴 만한 조촐한 다방과 값싼 막걸리집이 많았다. 예술가들의 별별 행동이 적힌 기록, 한 시대 예술계의 측면사다.

목차

序文
다방 ‘봉선화’
病든 서울
오랑캐꽃과 南宮蓮
黑人의 친구 裵仁哲
靑春茂盛
樂浪·휘가로·味樂 부근
명동장 시절
一九五О년 봄
廢墟의 달
南城舘 마담
雜草
‘모나리자’의 失踪
포엠
‘夜來香’
‘東邦 싸롱’ 時代
세월이 가면―朴寅煥
달도 하나 해도 하나
金仁洙와 姜菖園
금 간 사람들
술잔 속의 樹州 先生
밤의 ‘은성’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알핀-봐이오ㅤㄹㅔㅌ’―田惠麟
휘나레
故園斷章
明洞 에레지
續·明洞 에레지
책을 내면서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저자소개

이봉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6년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났고, 1932년에 중동학교를 중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문단에 데뷔한 것은 1934년 단편 <출발>을 ≪중앙≫에 발표하면서다. 이후 신문과 잡지에 시와 소설을 다수 게재했다. 1936년에 단편 <광풍객(狂風客)>을 ≪조선문학≫에 발표했고, ‘시인부락’, ‘풍림’, ‘자오선’의 동인으로 활동했다. 1939년부터는 명동을 주요 활동 무대로 삼았고, ‘단층’ 동인인 김이석과 ‘삼사문학’ 동인인 신백수, 이시우, 장서언, 그리고 ‘무기’를 경영하던 이상과 친분이 있었다. 1941년에는 문예 전문 서점을 경영하기도 했고, 1943년에는 매일신보사에 근무했다. 해방이 되자 소설 <도정>을 비롯해서 <속·도정>과 <명동 엘레지>, <언덕>, <부라운과 시계>, <보리와 대포>, <우수> 등 많은 작품을 발표했고, 태양신문사 문화부장, 한성일보사 편집부국장 대우, 사회부장 겸 문화부장, 경기신문사 문화부장 대우 등을 역임했다. 그는 소설 ≪그리운 이름 따라―명동 20년≫을 비롯해서 ≪명동≫, ≪명동 비 내리다≫ 등 명동의 다방과 술집을 배경으로 실제 시인, 소설가, 기자, 화가, 배우가 사는 이야기를 일화 형식으로 썼다. 이러한 작품 경향으로 인해서 그는 ‘명동시장’으로 불렸다. 명동에서 거의 평생을 지낸 그는 1983년에 사망했다.
펼치기
강정구 (엮은이)    정보 더보기
춘천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문 학박사)을 졸업했다. 평론 〈세상을 떠도는 목어들-차창룡의 시세계〉와 시 〈경마공원〉을 발표하면서 평론과 시작 활동을 시작했다. 편운문학상 평론 부분 본상을 수상했다. 주요 논 저로 〈신경림 시의 서사성 연구〉, 《문학과 서정의 이면》, 《신 경림과 민족문학 다시 읽기》, 《한국근현대문학의 민족 표상》, 《다문화시대의 민족문학》, 《산란하는 현실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효민의 밤’이라고 이름을 붙여 그를 한번 봐주자는 데서 열린 모양인데, 술에 취해 늦게 온 정지용(鄭芝溶)이 들이닥치자마자 그 특유의 입담이 홍효민의 비위를 거슬르고야 말았다.
“효민의 밤은 뭐고, ≪인조반정≫은 다 뭐냐. 뭐, 역사소설을 쓴다구. 그 얼굴, 그 수염, 참 가관이다. 효민의 밤을 열어 준 당신네들도 참…”
이건 축사가 아니고 노골적인 무시요, 비방이었다. 매섭고도 재치 있는 정지용의 방담(放談)이 아니고, 의식적으로 까기 위해 술을 마시고 온 것이 틀림없다는 데서 수모 당한 홍효민보다 참석한 사람들이 더 참을 수 없다고 일어났다.
“문학동맹이면 문학동맹이지, 여기까지 와서 이 무슨 행패요.”
젊은 유동준이 정지용을 밖으로 끌어냈다. 이래서 ‘플라워’ 문밖 거리에선 싸움이 벌어지고 ‘효민의 밤’은 어색한 밤이 되고야 말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48995